미이라 시리즈의 악역에 대한 내용은 이모텝 문서 참고하십시오.
9왕조의 파라오에 대한 내용은 임호텝(파라오) 문서 참고하십시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엔네아드(Ennead) | |||
아툼 (라, 케프리) | ||||
슈 | 테프누트 | |||
게브 | 누트 | |||
오시리스 | 이시스 | 세트 | 네프티스 | |
하토르 (세크메트, 바스테트) | ||||
호루스 | ||||
아누비스 | ||||
토트 | 마아트 | 세스헤트 | 프타 | |
아문 | 무트 | 콘수 | 아무네트 | |
아포피스 | 암무트 | 타와레트 | 눈 | |
네이트 | 세베크 | 사티스 | 아누케트 | |
크눔 | 헤케트 | 멘히트 | 넵프누트 | |
세르케트 | 민 | 우라에우스 | 아톤 | |
메제드 | 마프데트 | 베누 | 웨프와웨트 | |
바넵데데트 | 베스 | 세커 | 메렛세게르 | |
네크베트 | 카 | 후 | 하피 | |
바제트 | 네페르툼 | 넴티 | 아나트 | |
임호텝 |
[clearfix]
1. 개요
이집트 미술에서 묘사한 모습 |
네페르툼으로 신격화된 모습 |
Imhotep. 임호테프라고 쓰지만 사실 발음은 '임호텝'에 더 가깝다.
고대 이집트의 실존인물. 이집트 고왕국 시대 중 제3왕조 조세르 왕(기원전 2668년 ~ 2649년/2611년)[1] 때의 재상이자 건축가. 이집트 최초의 계단식 피라미드[2]를 설계한 위인으로 건축학뿐만 아니라 의술, 천문학, 철학에도 뛰어났다. 또한 임호텝은 제3왕조를 개창한 조세르의 심복 측근 겸 개국공신으로 신왕조를 건국하고 안정시켰으며 쿠푸 왕대까지 활약했던 정치적 능력도 탁월한 명재상이었다.
이로 인해 후세에 신격화되어 건축과 공학의 신으로 추앙받았고, 나중에는 멤피스의 최고(最古) 3신(神) 중 하나이자 농작물의 신과 질병 치유의 신으로 불리는 네페르툼(Nefertum)과 동일시되었다. 이 정도로 신적까지 추앙된 실존 인물은 많지 않다.[3] 이집트 벽화나 사료에는 의자에 앉아있는 서기관의 모습이나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무릎 위에 걸치고 있는 머리 깎은 승려의 모습 등으로 그려져 있다.[4]
2. 임호텝의 저주?
도시전설에 의하면 투탕카멘 왕의 관에는 도굴꾼들에게 경고를 내리기 위해 "사자(死者)의 안녕을 방해하는 자에게 저주가 있으라." 또는 "왕의 잠을 깨우는 자, 임호텝의 저주를 받으리라."는 말이 쓰여 있었는데, 발굴 작업에 참가했던 사람들이 잇따라 목숨을 잃으면서 저 말이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이다.하지만 실제로 침입자에 대한 저주의 문구가 유행한 것은 고왕국 시대로, 그 후의 시대의 무덤에도 간간이 저주의 문구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주로 저런 왕의 안식을 방해하는 자는 죽음(의 날개가)이 닿으리라 식의 근사한 은유적 비유보다는 구체적으로 어떠어떠한 질병과 증상과 불행이 닥칠 것이며 누구도 치유할 수 없으리라는 직접적인 저주의 구절이 써져 있었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의 파라오인 투탕카멘의 관에는 어떠한 저주의 문구도 적혀 있지 않다. 투탕카멘의 관에 실제 적혀 있었던 문구는 "왕의 이름(사인)을 알리는 자에게 축복이 있으라."이다.
3. 대중 매체에서
역사계에서는 나름 알려져 있었던 이집트사의 위대한 대재상이자 학문과 의술의 신으로 추대되기까지 했던 위인이었는데 엉뚱하게도 투탕카멘의 저주가 잘못 퍼진 탓에 영화 미이라 시리즈[5]에 나오는 악역 이모텝의 모티브가 되면서 전국구적으로 유명해졌다.Warhammer 40,000의 등장인물 이모테크도 임호텝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1] 아직 파라오라고 칭할 때는 아니다.[2] 쿠푸의 대피라미드에서 볼 수 있는 피라미드의 대명사라 여겨지는 피라미드.[3] 후세의 인물로 비유를 들자면 이순신이나 관우와 비슷하다.[4] 어찌 보면 임호텝은 모습은 바뀌었을지언정 수천 년 뒤까지 초상화를 남길 수 있게 된 셈이다.[5] 1, 2편 한정. 3편은 중국을 배경으로 하며 진시황이 악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