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9:32:00

여왕(스타크래프트)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VoraciousWaggishCoolButton|토론]]을 통해 문단의 제목이나 기술 설명 표에서 기술명은 정식 번역 혹은 게임 내 표기를 원칙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VoraciousWaggishCoolButton|토론]] - 문단의 제목이나 기술 설명 표에서 기술명은 정식 번역 혹은 게임 내 표기를 원칙으'''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
#!if 문서명2 != null
, [[여왕(스타크래프트 2)]]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음성
2.1. 성능
2.1.1. 장점2.1.2. 단점
2.2. 스킬
2.2.1. 테란 사령부 감염2.2.2. 기생충2.2.3. 공생충 소환2.2.4. 속박
2.3. 멀티 플레이2.4. 유즈맵과 AI2.5. 상성
3. 스타크래프트 2
3.1. 공허의 유산 캠페인3.2. 협동전 임무

1. 개요

|
파일:external/orig12.deviantart.net/og_queen_by_mr__jack-d604xt7.jpg
루크 만치니의 원화
|<table bordercolor=#505><table align=center><-2> 여왕, 女王, Queen, ||
역할 군락 감시자 (Hive Warden)
출신 종족 아라크니스 종족 사육자 (Arachnis Brood-keeper)
주 무기 없음(비무장)[1][2]
저그 종족의 여왕은 이름과는 달리 애벌레를 낳지는 않는다. 하지만 여왕의 지위는 기생충을 닮은 여러 가지 동물을 낳을 수 있는 능력에서 얻어진 것이다. 여왕은 스스로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연약한 갑옷 때문에 적의 공격에 대단히 취약하므로, 주로 군락의 중앙에 거주하며 다른 저그의 성장을 지켜보곤 한다.

스타크래프트 저그의 유닛, 건물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1px"
<colbgcolor=#eee,#000>
비생산
유닛
{{{#!wiki style="margin:-16px -11px"<colbgcolor=#eee,#000>기타
건물
캠페인유즈맵 전용
유닛{{{#!wiki style="margin:-16px -11px"
}}}
건물{{{#!wiki style="margin:-16px -11px"
}}}}}}
타 종족 틀: 테란 목록 | 프로토스 목록}}}}}}}}}

디파일러와 더불어 저그의 특수 스킬 유닛 가운데 하나. 괜찮은 특수 능력들이 있으나 멀티플레이에서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다. 영웅 유닛으로 메이트리아크가 있는데, 기능적으로 특별히 달라지는 건 없고 초상화나 울음소리도 똑같다.

출시부터 현지화가 완료된 스타 2와는 달리 스타크래프트에서는 리마스터 이전까지 번역이 되지 않았으므로 주로 ''이라고 음차해서 부른다.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800px-Queen_SC1_Art1.jpg
▲ 매뉴얼 CG 모델링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U-Queen.gif파일:zqueen.gif파일:Queen_Cartooned_Portrait1.gif
초상화[3][4] 리마스터 초상화[5] 카봇모드 초상화[6]

저그 특유의 사나움과는 거리가 멀지만 똘망똘망한 눈동자와 돋보이는 주둥이 때문에 오히려 저그 유닛 중에서도 흉측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리마스터에서는 원작보다 사나운 느낌이 줄어들었지만, 반대로 특유의 외모가 더 선명하게 보여 여전히 흉측한 비주얼을 자랑한다.

2. 음성

성우: 라니 미넬라

2.1. 성능

파일:SCR_046_queen_crop.png
정지
파일:SCR_046_queen.gif
이동
파일:SCR_046_queen_attack.gif
기술 사용

<colcolor=#13FF1D> 기본 정보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100
파일:SC_Vespene_P.png100
파일:SC_Vespene_Z.png100
파일:SC_Supply_T.png2
파일:SC_Supply_P.png2
파일:SC_Supply_Z.png2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50
<colcolor=#13FF1D> 생산 유닛 애벌레
단축키 Q 필요 건물 여왕의 둥지
생명력 파일:SC_Icon_HP.png 120 방어력 0 (+1)
공격 대상 - 공격력 -
사거리 - 공격 주기 -
피해 유형 - 특성 공중, 생체
크기 중형 수송 칸 -
이동 속도 3.126 시야 10
에너지 50/200 → 62.5/250
장비
파일:SCR_Icon_298_Flyer_Carapace.png 저그 비행체 장갑
Zerg Flyer Carapace
기술 및 연구
파일:SCR_Icon_313_Infest_Command_Center.png 테란 사령부 감염 Infest Terran Command Center [I]
여왕의 가장 두려운 능력은 테란의 사령부를 감염시켜 거주자들을 초월체의 종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여왕은 심하게 손상을 입은 사령부를 기생 생체 독소로 감염시킨다. 일단 감염된 사령부의 거주자들은 초월체의 지령에 따라 움직이는 자살 공격대로 변한다.
파일:SCR_Icon_271_Parasite.png 기생충 Parasite [R]
파일:SC_Energy.png 75
여왕은 자그마한 빨판상어를 닮은 기생충을 다른 유닛에 흡착시킨다. 초월체는 이 기생충을 통해 적 유닛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기생충은 쉽게 눈에 띄지 않으며, 오직 그 숙주를 죽여야만 제거된다.[7]
파일:SCR_Icon_040_Broodling.png 공생충 소환 Spawn Broodlings[8] [B]
파일:SC_Energy.png 150 / 여왕의 둥지 / [B] /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100
파일:SC_Vespene_P.png100
파일:SC_Vespene_Z.png10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80

여왕은 적의 지상 유닛을 향해 조그만 포자 덩어리를 발사한다. 종류를 불문하고 접촉하는 생물체라면 어느 것에서든 수정을 이루려 하는 이 포자는 적의 전차나 골리앗의 두꺼운 장갑마저도 뚫고 들어가 그 내부에 있는 생체에서 부화한다. 희생자는 즉각 한 쌍의 공생충의 먹이가 되며, 곧 그 안에서 공생충이 부화한다. 공생충의 폭발적인 탄생은 불운한 숙주의 죽음을 의미한다. 공생충은 작지만 잔인하며, 즉시 가까이에 있는 적을 공격한다.
파일:SCR_Icon_267_Ensnare.png 속박 Ensnare [E]
파일:SC_Energy.png 75 / 여왕의 둥지 / [E] /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100
파일:SC_Vespene_P.png100
파일:SC_Vespene_Z.png10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80

여왕은 희생자를 향해 진한 점액을 뿌려 전진 혹은 후퇴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 점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분해된다.
파일:SCR_Icon_294_Gamete_Meiosis.png 생식 분열 Gamete Meiosis
여왕의 둥지 / [G] /
파일:SC_Mineral.png150
파일:SC_Vespene_T.png150
파일:SC_Vespene_P.png150
파일:SC_Vespene_Z.png15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67

여왕에게 봉사하는 공생체 및 기생 생물의 번식 속도를 높임으로써 여왕의 산란 능력을 증가시킨다.[9]

스타크래프트에서 사거리가 가장 긴 마법유닛이다. 사실 퀸의 몇 기술[10]를 제외하면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마법은 사거리가 9로 동일하며 이는 인스네어, 브루들링도 마찬가지지만 퀸의 압도적인 기동성[11]과 생존성[12]을 앞세워 멀리 숨어있다가 기습적으로 튀어나와 저격하고 다시 멀리 튀어버리는 식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체감상의 사거리는 훨씬 길다. 날아다니는 거리까지 감안하면 사실상 사거리가 무한이라 봐도 과언이 아닌 수준.

얼굴 보기가 워낙 힘들어서 준 예능유닛, 입스타 취급을 받긴 하지만 스펙만 놓고 봤을 땐 꽤 다재다능한 편이며 이래봬도 나름 AI가 쓸 때 기준 성능캐에 속하는 유닛이다.

적 유닛의 시야를 엿보는 기생충[13], 적의 공격과 이동 속도를 모두 떨어뜨릴 뿐더러 탐지기 없이도 은폐한 유닛을 일시적으로 노출시키는 속박, 지상 유닛을 일격에 격파하며 공생충을 만드는 공생충 소환, 테란사령부를 뺏는 감염과 같은 뛰어난 특수 능력이 많은 장점이 있다. 주 에너지 스킬인 기생충이 브루드 워 최고의 사거리를[14] 가지는 에너지 스킬이기에 상대를 귀찮게 하는 데도 좋다. 브루드 워에서는 메딕이 패러사이트를 정화할 수 있지만 그 이전에는 아예 정화 수단이 없어 성가신 존재였다.

일단 공중 유닛이고 이동 속도도 빠른 편이라 에너지 스킬로 치고 빠지는 데는 최고다. 디파일러보단 생존성이 훨씬 높다. 값도 싼 편.

섬맵에서는 하늘의 여왕. 투명 레이스도, 떼거지 커세어도 인스네어와 스커지의 지원만 있으면 무섭지 않다. 퀸 자체는 디텍터가 아니지만, 인스네어로 인해 느려짐 + 인스네어를 걸어 클로킹 노출의 이중고를 겪게 만드는 무서운 유닛.

매우 강력하지만 비싼 시즈탱크를 시간과 치환되는 에너지와 교환할수 있기 때문에 저그 게이머들이 레메를 상대로 꺼내들게 되었다. 그 결과로 수비형 레이트 메카닉 체제를 사장시킨 유닛으로 재발견되기에 이른다.

이전까진 40:60 수준으로 압도적으로 불리했던 저테전 상성을, 테란의 강력한 후반 선택지를 하나 줄임으로 인해 45:55까지는 끌어올리는 데 기여한 유닛이다. 생각보다 쓰기도 쉬운데, 스커지를 쓰는 것처럼 메카닉 유닛에 찍어맞춰주면 된다. 주력 기술인 브루들링이 사거리가 매우 길기에 운용 난이도는 생각보다 그렇게 높지 않다. 기동성도 좋고, 퀸 하나와 시즈탱크 하나를 교환해도 자원 이득을 본다.

퀸의 에너지 스킬들 성능만 보자면 전투에서 매우 쓸모 있지만 에너지 소모가 큰 편이다. 기본 스킬인 패러사이트는 공격 스킬이 아니며 전투에 유용한 인스네어는 개발을 따로 해야 해서 가뜩이나 낮은 사용성을 더욱 떨어뜨린다.[15][16] 게다가 퀸이 에너지 스킬을 쓰려면 이동을 멈춰야 하기 때문에 기술을 쓰는 데까지 상당한 딜레이가 걸린다. 그러다 보면 낮은 체력 때문에 적진에서 이미 살해 당한다. 그에 비하면 디파일러는 기본 스킬이 다크 스웜과 같은 접근전 유닛에게 유리한 스킬이고 컨숨을 써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다.

2.1.1. 장점

2.1.2. 단점

상술된 여러 가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퀸이 반쯤은 예능 유닛이라는 이미지가 박히게 된 이유는 수많은 단점들의 임팩트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물론 아주 성능이 나쁜 유닛은 아니지만, 스타크래프트1 특유의 불편한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가지고 있는 스킬들의 애매함 때문에 푸대접을 받는 유닛. 테란의 고스트나 프로토스의 다크 아칸과 비슷한 처지의 유닛이라 볼 수 있다.

2.2. 스킬

스킬을 4개 가진 몇 안 되는 유닛이다. 여왕 외에는 인페스티드 케리건(컨숨, 사이오닉 스톰, 인스네어, 클로킹) / 디파일러 (컨숨, 다크 스웜, 플레이그, 버로우)가 있다.

2.2.1. 테란 사령부 감염

파일:SCR_Icon_313_Infest_Command_Center.png 테란 사령부 감염 Infest Terran Command Center [I]
여왕의 가장 두려운 능력은 테란의 사령부를 감염시켜 거주자들을 초월체의 종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여왕은 심하게 손상을 입은 사령부를 기생 생체 독소로 감염시킨다. 일단 감염된 사령부의 거주자들은 초월체의 지령에 따라 움직이는 자살 공격대로 변한다.

패러사이트처럼 퀸이 가진 기본 능력으로 체력이 750 미만으로 떨어진 테란의 커맨드 센터를 감염시켜 저그가 차지할 수 있다. 이렇게 감염시켜서 만든 인페스티드 커맨드 센터에서는 인페스티드 테란을 뽑을 수 있다. 조건 충족 시 자동 시전이 된다는 점도 독특하다.[18] 단, 아군, 중립, 동맹군 소속 사령부는 반파 시킨 후에 직접 찍어줘야 감염시키며(이동 명령이나 사령부 감염 아이콘을 찍은 후 사령부에 클릭), 적의 것만 자동으로 감염시킨다. 예전엔 커맨드 센터의 체력이 1/3 이하일 때에는 근처에 있는 퀸이 자동으로 감염을 시도하고, 1/3 이상 ~ 1/2 이하일 경우에는 수동으로 감염 명령을 내려야 했다. 하지만 현재에는 1/3 이상 ~ 1/2 이하여도 퀸이 자동으로 감염을 시도한다.

퀸이 일단 사령부를 감염시키려고 진입하면 일시적으로 맵에서 사라져 사실상 무적 판정이 된다. 테란 입장에서 감염을 막는 방법은 퀸이 사령부에 들어가기 전에 격추하던지, 아니면 SCV로 열심히 사령부를 고쳐야 한다. 퀸이 들어갔더라도 감염에 시간이 좀 걸리니 다수의 SCV로 수리하는데 성공하면 감염을 막을 수 있다. 감염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퀸은 사령부의 상공에 다시 나타나며 무적 판정이 끝나게 된다. 간혹 커맨드 센터의 피해가 너무 심할 때 감염시키려 하면 들어가자마자 커맨드 센터가 먼저 파괴되어 버리기도 한다. 커맨드 센터는 터지더라도 안에 들어갔던 퀸은 아무런 피해(?)없이 생존한다. 이륙한 상태의 사령부도 마찬가지로 감염시킬 수 있으나, 이륙한 사령부와 착륙한 사령부가 각각 다른 개체로 전환되는 스타크래프트 시스템의 한계[19]로 인해 퀸이 감염을 시도할 때 테란 측에서 이착륙을 반복하는 행위를 하면 감염이 실패되는 버그도 있다.

할루시네이션 퀸으로도 커맨드 센터를 감염시킬 수 있는, 흡사 상상임신 같은 현상이 있다. 뒷날 패치로 일부 막혔는데 직접 클릭해서 감염시키는 것만 막아 놨는지라 자동으로 감염시키는 경우 지금까지도 유효하며 다른 공격 유닛과 묶어서 A버튼으로 강제 공격하는 식으로 여전히 감염시킬 수 있다.[20] 유즈맵에서는 감염 능력을 일부러 없애놔도 반파된 커맨드에 이동 명령(단순 우클릭)만 내리면 잘만 감염시킨다. 이 정도면 도통 없앨 수가 없는 고유의 능력이라 봐야 할지도 모르겠다.[21]

반드시 적의 커맨드 센터여야 한다는 조건이 없고 팀원은 물론 자신의 것도 감염시킬 수가 있어, 홀리월드와 같이 커맨드 센터가 중립 건물로 배치된 경우 저프전에서도 감염된 테란이 생산될 수 있고, 팀 섬멸전에서는 직접 커맨드를 만들어 절반만 공격하고 써먹을 수 있다.

팀플레이에서도 동맹이 테란이면 그 동맹에게 요청 후 승낙하면 동맹이 보내준 것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디파일러의 컨숨과 함께, 스타크래프트 유닛의 기술 가운데 에너지가 전혀 안 드는 몇 안 되는 기술이다.[22]

오로지 테란전에만 쓸 수 있기 때문에 용도가 너무 제한된다는 것이 게임성 차원에서도 조금 걸리는 부분이다. 프로게이머 이성은도 이에 대한 개선을 블리자드에 건의하기도 했다. 다만 프로토스는 칼라의 영향으로 감염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설정이다.

여기서 부가적으로 생산해 활용할 수 있는 인페스티드 테란이 영 활용하기 어려운 물몸의 근접 자폭 유닛이기 때문에 요긴하게 쓰기는 어렵다. 기술의 특성상 테란전에서만 활용되기 마련인데 달려가는 도중에 시즈 탱크에게 죽임을 당하기 마련. 그나마 이동 속도가 빠른 편이라는게 위안할 점.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오히려 상대방의 커맨드 센터를 장악하는 준마패 용도로 쓰일 때가 많다. 일단 체력이 절반(750) 이하로 남아도 신속하게 리페어하지 않으면 퀸이 접근하자마자 끝장나니 테란 입장에서는 매우 성가신 기술이다. 저그가 퀸을 운용하는 것은 드물지 않은 일이고 브루들링이나 인스네어처럼 따로 개발하지 않아도 퀸만 뽑으면 즉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전략적 가치는 있다. 뽑아놓은 퀸이 있다면 어차피 박살날 사령부를 빼앗으면 사령부의 남은 체력을 깎기 위해 집중해야 할 딜을 다른 건물/유닛에 분산시킬 수도 있고 이렇게 뺏은 사령부를 정찰이든 장식이든 자신의 멀티에 입막을 시키든 활용할 수 있다. 어디까지나 주력으로 노리고 쓸만한 전략까지는 아니고 브루들링 용도로 뽑은 퀸이 있다면 1번 써보는 보조 전략 정도.

하지만 이것을 의도적으로 주력삼아 커맨드 먹방을 하기엔 테란이 뉴클리어를 주력으로 삼는 전략만큼이나 터무니없는 하이리스크로, 자기 방어 능력이 약한 퀸이 적진 상공에 오래 머물러야 하고 상대가 대놓고 사령부를 노리고 들어오는 퀸을 가만두고 볼리 없기 때문에 이 짓을 하자고 작정해서 퀸만 뽑는 저그면 이미 승기를 잡고서 행하는 관광용 쇼타임의 가능성이 크다. 그것도 마패관광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은 수준이다. 만약 반파된 사령부에 퀸이 진입하는데 성공했더라도 바로 다수의 SCV가 붙어 빠른 속도로 사령부의 체력을 750 이상으로 올려버리면 사령부는 감염되지 않고 퀸만 밖으로 나온다. 그리고 어렵게 사령부의 체력을 낮출 수 있어도, 그냥 커맨드 이착륙을 반복하면 퀸의 감염을 무조건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커맨드 감염은 입스타로 전락해버렸다.

무한맵에서는 커맨드 센터를 합의하에 대량 만들고 띄워서 배럭스와 엔지니어링 베이처럼 지상 유닛들을 가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슬의 이레디에이트는 가려진 인페스트 커맨드 센터 때문에 걸지 못하므로 디파일러를 어느 정도 보호해 줄 수 있으며 럴커도 어느 정도 생존율이 올라간다.[23]

스타 2에서는 감염된 테란이 건물이 아닌 감염충이 에너지를 소비하여 꺼내는 유닛으로 바뀌어 이 기술도 건물과 함께 자연스레 사라졌다. 초기 공개 시기에는 한 술 더 떠서 멀쩡한 상태의 병영을 액체를 뿌려 외부에서 감염시키는 형태였는데 에너지 스킬로 바뀌면서 묘하게도 감염충 내부에 감염된 테란을 이미 품고 있는 식이 돼버렸다.[24] 일단은 "테란의 DNA를 이미 흡수해서 바로바로 만들 수 있게 됐다"라는 설정이다.[25]

에디터에서의 이름은 감염(infestation)이다.

2.2.2. 기생충

파일:SCR_Icon_271_Parasite.png 기생충 Parasite [R]
파일:SC_Energy.png 75
여왕은 자그마한 빨판상어를 닮은 기생충을 다른 유닛에 흡착시킨다. 초월체는 이 기생충을 통해 적 유닛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기생충은 쉽게 눈에 띄지 않으며, 오직 그 숙주를 죽여야만 제거된다.[26]

파일:1000009925.gif

퀸의 기본 능력. 대상 유닛에게 기생충(패러사이트)을 감염시켜 해당 유닛의 시야를 반영구적으로 얻는다. 원래부터 시야가 제공되는 아군이나 동맹 유닛에 패러사이트에 감염시키는 것이 가능하긴 해도 별다른 의미가 없는 행동이며, 주로 적 유닛이나 필드의 중립 동물을 감염시켜 간접 정찰을 할 수 있게 한다. 퀸을 생산하자마자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스킬이며 기술 자체는 괜찮다고 볼 수 있다. 에너지 소비가 50만 되었어도 퀸 몇 기만 뽑고 맵에 보이는 유닛에게 족족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는 플레이가 유행했을 것이다. 사실 오리지널 초창기에는 패러사이트의 에너지 소모가 50이었고 사거리도 14로 지금보다 훨씬 길었는데, 이게 너무 사기여서 이후 패치로 대폭 너프되어 에너지 소모 75, 사거리 12가 되었다.

어떤 유닛에게 사용하든 효과를 즉시 볼 수 있지만 고급 적 유닛에게 사용할수록 그 가치는 더 올라간다. 왜냐하면 상대는 어떤 자신의 유닛이 패러사이트에 감염되었는지 뻔히 아는데, 질럿 같은 값싸고 덩치 작은 소형 유닛이면 적진에 찔러넣어 자살특공대로 산화시키면 그만이지만 캐리어아비터 같은 덩치 크고 값비싼 고급 유닛이 패러사이트에 감염되면 그 자체만으로도 계륵이다. 상대에게 감시당하는 것을 뻔히 알더라도 자원이나 시간에 여유가 없다면 고급 유닛은 함부로 버릴 수도 없다. 일단 아비터는 패러사이트에 감염되면 리콜 전술이 사실상 반 봉인당해 기습하려는 전략의 성공가능성도 낮아지고 게다가 아비터는 함부로 버리기엔 매우 값비싼 유닛이라서 버리는것은 더 큰 손해다. 그 밖에도 가스 브레이커들인 하이 템플러리버, 아칸, 다크 아칸 등에게 패러사이트를 사용하는것은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런 고급 유닛들은 단지 패러사이트에 감염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버리기엔 너무 아까운 유닛들이기 때문이다. 추가로 하술하겠지만 패러사이트는 사실상 프로토스를 상대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스킬이다.

하지만 테저전에서는 레이트 메카닉을 사장시키는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퀸의 이름값에 비해 생각보다 매우 쓸모 없다. 결정적으로 테란에게는 어떠한 디버프 상태든 한큐에 다 풀어버릴 수 있는 메딕회복(리스토레이션)이 있다. 배틀크루저사이언스 베슬 같은 값비싼 유닛들한테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기 매우 좋은 대상이긴 하나, 테저전이라면 바이오닉 병력과 함께 다니면서 절대로 안 나올 일이 없는 메딕이 리스토레이션으로 패러사이트를 단칼에 다 치료시켜 버릴테고, 메카닉만 운용한다 해도 패러사이트 감염을 눈치챘다면 일부러 메딕을 뽑아 리스토레이션을 개발해서라도 어떻게든 제거하려고 할 것이다. 혹은 고급유닛이 아니라면 그냥 적진에 버리거나. 게다가 리스토레이션은 패러사이트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25 더 낮다. 이런 이유로 테란을 상대로는 패러사이트의 가치가 사실상 거의 없다. 게다가 오히려 역으로 메딕의 광학 섬광탄(옵티컬 플레어)이라도 맞게되면 퀸은 한순간에 자신이 했던 짓을 거울치료 당하게 된다.

저그도 패러사이트를 치료할 방법이 없지만 애초에 저저전에서도 퀸은 자주 구경할 수 있는 유닛이 아니다. 적 유닛으로 가장 많이 만나게 될 저글링, 히드라, 뮤탈, 스커지는 물량으로 마구 생산하는 유닛이기 때문에 패러사이트 대상으로서의 가치가 너무 없다. 지상 유닛들 중에서 스펙이 강력하거나 고급 유닛인 울트라리스크, 러커, 디파일러에게 패러사이트를 사용하는것 보다는 공생충(브루들링)으로 저세상에 보내버리는 것이 훨씬 더 이득이며 특히 고스펙의 공중 유닛들인 가디언디바우러는 저저전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잘 나오지 않는 유닛이라서 패러사이트를 사용해볼 기회조차도 없다. 그나마 디바우러는 극후반의 경우엔 한 번 뽑기 시작하면 대량으로 쏟아내기에 한번쯤 써볼 법하지만, 이 시기라면 이미 속박(인스네어)을 개발해놓은 상태일 것이라 그냥 인스네어를 사용하고 덮쳐서 몰살시키는 쪽이 더 낫다. 디텍터오버로드에게 감염시키는 것을 생각해 볼법도 하지만, 마찬가지로 저저전에서 퀸은 극후반에서야 고려하는 유닛인데 이 때쯤이면 오버로드는 사실상 머릿수가 무한이라서 패러사이트에 감염되면 적진에 버릴것이다. 사실상 같은 저그를 상대로는 상대의 퀸이 아닌 이상 패러사이트를 써먹을 이유가 없지만 저저전에서 퀸 끼리 마주칠 확률은 사실상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러사이트를 저그를 상대로 사용하고 싶다면 퀸끼리 만났을때 서로에게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고 작별하면 된다.

저프전에서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기 제일 좋은 유닛은 셔틀이다. 셔틀은 대개의 경우 기동성이 최악인 리버를 항상 수송해서 대동하기에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기 최적의 대상이다. 이 방법으로 리버 아케이드를 방지함에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셔틀과 리버는 브루들링으로 저격할 수 없는 순수 기계 유닛들이기도 하다. 아비터를 상대로도 패러사이트는 매우 좋지만 아비터 자체가 저그전에서 구리기에 잘 안나온다. 옵저버에게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면 효율적일것 같아 보이지만 일단 옵저버는 자체 은폐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패러사이트에 감염시키기 쉽지 않다. 하지만 옵저버를 패러사이트에 감염시키기만 하면 다크템플러 또는 아비터가 은폐장으로 은폐시킨 유닛들을 디텍터인 옵저버가 역으로 탐지하게 해주는 부수적인 효과는 있다. 하지만 정상적인 경우라면 옵저버가 패러사이트에 감염될 경우 그 옵저버는 버리기 마련이다.

패러사이트 사용의 또 다른 좋은 팁으로 중립 동물을 감염시키면 상대가 직접 클릭해 보지 않고서는 패러사이트 감염 여부를 모르는데다 중립 동물은 강제공격을 시키지 않는 이상 적으로 인식되는 존재도 아니기에 상대 병력의 움직임을 간접적으로 감시할 수도 있다. 눈에 거슬리지 않는한 어지간하면 크리처를 공격하지도 않을테니 나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특히 유일한 비행 크리처인 카카루에게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면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맵 곳곳을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며 자동으로 간접적인 정찰을 해주기에 효과 만점이다. 상대 입장에선 패러사이트에 감염된 카카루에게 몰래 세워둔 멀티라도 들켰다간 정말로 낭패다.

패러사이트에 감염된 유닛은 클릭 시 기생충 감지됨(Parasite Detected)이라는 표시가 초록색 글씨로 표시되는데다 부대 지정시에도 그 유닛만 테두리색이 기존의 파란색에서 녹색으로 바뀌니 감염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27] 패러사이트의 대처법으로는 패러사이트에 감염된 유닛을 따로 골라내 한적한 곳에 배치시키거나 교전 때 1순위로 소모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 외 테란 한정으로 메딕의 회복(리스토레이션)으로 패러사이트를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이로 인해 유독 테란전에서는 패러사이트의 가치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심지어 메딕은 테저전 필수 유닛에다 대량으로 뽑을 수 있는 값싼 유닛이라서 더욱 효과를 보기 힘들다. 그나마 패러사이트는 따로 개발하지 않아도 쓸 수 있는 기본 능력이라 테란을 상대로 사용해 볼 수는 있겠지만 차라리 그럴바에야 탱크 하나라도 더 직접 제거 할 수 있는 브루들링에 에너지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캠페인이나 컴퓨터 대전에서 컴퓨터가 퀸으로 패러사이트를 플레이어에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인공지능 설정상 이미 플레이어의 일거수 일투족을 다 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옵저버, 다크 템플러 같은 은폐 유닛들은 컴퓨터도 디텍터 없이는 못 보기 때문에 해당 유닛들이 패러사이트에 감염되면 은폐 기능이 무력화되니 조심해야 한다.

반대로 플레이어가 컴퓨터에게 패러사이트를 사용하면 합법적인 맵핵을 체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자신의 유닛이 패러사이트에 감염되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않기 때문이다. 다만 컴퓨터의 다크 아칸은 필히 주의해야 한다. 다크 아칸이 가지고 있는 기술 3가지 전부가 즉발기인 것도 모자라 효과 하나하나가 퀸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것들 뿐이다. 컴퓨터는 인공지능상 퀸이 자신의 다크 아칸 스킬 사거리내에 들어오는 즉시 피드백 같은 스킬을 시전하기에 그냥 마주치는 순간 끔살당하므로 맵에 다크 아칸이 보인다면 퀸은 투입하지 않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컴퓨터의 저그를 상대하는 경우에는 오버로드 아무거나 골라서 패러사이트를 감염시키면 자기가 알아서 컴퓨터의 기지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보여준다. 게다가 디텍터인 것은 덤.

후속작 스타크래프트 2프로토스 유닛 예언자의 스킬 중 하나인 계시도 패러사이트와 비슷하게 시야를 공유할 수 있다. 이 쪽은 지속시간 제한이 있는 대신 광역으로 걸리고 유닛뿐만 아니라 구조물에게도 적용된다.

2.2.3. 공생충 소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CR_Icon_040_Broodling.png 공생충 소환 Spawn Broodlings[28] [B]
파일:SC_Energy.png 150 / 여왕의 둥지 / [B] /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100
파일:SC_Vespene_P.png100
파일:SC_Vespene_Z.png10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80

여왕은 적의 지상 유닛을 향해 조그만 포자 덩어리를 발사한다. 종류를 불문하고 접촉하는 생물체라면 어느 것에서든 수정을 이루려 하는 이 포자는 적의 전차나 골리앗의 두꺼운 장갑마저도 뚫고 들어가 그 내부에 있는 생체에서 부화한다. 희생자는 즉각 한 쌍의 공생충의 먹이가 되며, 곧 그 안에서 공생충이 부화한다. 공생충의 폭발적인 탄생은 불운한 숙주의 죽음을 의미한다. 공생충은 작지만 잔인하며, 즉시 가까이에 있는 적을 공격한다.

파일:1000009808.gif
비겁한 놈들, 정정당당히 싸워라! 공생충 없이는 날 상대하기 두려운 게냐?![29] - 피닉스(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설정상 브루들링의 알을 지상의 생체 유닛에 쏘아 넣으면, 그 즉시 브루들링이 부화해 안을 파먹고 뚫고 나오는 구조라고 한다. 게다가 브루들링의 알을 쏘는 힘이 매우 강해서 갑각이나 장갑이 얼마나 크고 단단하든, 심지어 무적 치트를 쓰든 상관없이 내부를 파먹고 즉시 튀어나온다. 그래서 울트라리스크같은 대형 유닛도 얄짤없이 즉사한다. 또한 유저와 상대 컴퓨터가 마나 제한 없이 마법을 무한으로 쓸 수 있는 'the gathering' 치트키를 입력한 경우에는 컴퓨터 저그가 퀸으로 무한 브루들링을 쏴대면서 지상 유닛들을 죄다 학살하기 때문에 호러가 따로 없다.

설정상 감염시킬 수 있는 생체 생물이기만 하면 전부 통하기에 에그는 물론 엄청난 내구성의 라바조차도 한 방이다. 저그 건물은 설정상 생물이긴한데 이것까지 브루들링의 대상이 되면 밸런스가 망가져서 건물을 상대로는 불가능하다.[30] 기계 유닛도 안에 생체 유닛인 조종사가 타고 있으면 무조건 브루들링 타겟 대상이 되는지라 프로토스용기병은 물론 테란메카닉 유닛조차도 브루들링 피격시 확정 사망이다. 하지만 프로브, 리버, 스파이더 마인같은 생체 유닛이 아닌 순수 기계 유닛에게는 브루들링이 통하지 않는다. 예외로 트랩은 순수 기계임에도 브루들링이 통한다.[31] 아칸다크 아칸은 생물의 몸을 버린 정신체라는 특수한 개념의 유닛이라 브루들링이 통하지 않는다. 워크래프트 2에서 같은 즉사기 취급을 받던 변이는 공중유닛에 사용 시 대놓고 즉사판정으로 취급했던 전적이 있었으나, 스타크래프트에서는 내부에 생체가 있는 유닛이더라도 그 유닛이 공중 유닛이면 브루들링이 통하지 않는다.

브루들링의 스킬 사거리는 9여서 꽤 멀리서 브루들링을 쏘고 도망가는게 가능하며, 브루들링 적중에 성공할 때마다 킬 수가 1씩 올라가는데 아군 유닛을 브루들링으로 팀킬해도 킬 수가 올라간다. 숙주로부터 튀어나오는 공생충(브루들링) 2마리는 사실상 즉사기에 추가로 얹어주는 덤 수준이라 공격유닛으로서의 큰 활약은 기대하기 힘들다. 하지만 테란을 상대로 사용하는 경우, 브루들링이 태어난 자리에 시즈 탱크스파이더 마인의 2차 스플래시 데미지를 유도할 수 있어서 테란 입장에서는 상당히 성가신 존재로 변모한다. 하지만 브루들링 유닛의 자체 스펙만 보면 노업 저글링보다도 약하고 게다가 수명이 정해져 있어서 게임 속도 보통(normal)일 때 2분, 매우 빠름(fastest)일 때 75초가 지나면 브루들링은 어떤 경우에라도 반드시 자연사한다.

어느 게임이건 즉사기가 다 그렇듯 단점이 꽤 많다. 우선 첫째로, 150이라는 막대한 에너지 소모량이다. 퀸의 에너지 업그레이드를 해도 절반 이상의 에너지가 브루들링 스킬 사용만으로 증발해버리기 때문에 한 번 브루들링을 쏘고 나면 곧 바로 뒤로 도망가서 에너지를 다시 비축해야 한다. 두 번째로, 브루들링 스킬 사용의 선딜레이가 크다. 브루들링을 사용하려고 적에게 다가간 퀸은 적에게 격추당하는 경우가 잦다. 게다가 브루들링은 인스네어와 패러사이트와는 달리 발사된 투사체가 목표에게 적중하기 전에 퀸이 죽으면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셋째로, 컨트롤이 어렵다. 타겟팅 스킬이라 퀸을 한꺼번에 선택하고 브루들링을 단일 유닛에게 사용하면 여러 마리의 퀸이 같은 대상에게만 브루들링을 동시에 발사하여 에너지를 낭비하기 때문에 세심한 컨트롤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가장 큰 단점으로는, 브루들링을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이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공중 유닛에게는 브루들링이 안 통하며, 지상 유닛 중에서도 순수 기계 유닛이나 정신체 유닛에겐 브루들링이 안 통한다. 이렇다보니 굳이 퀸까지 뽑아가면서 브루들링으로 저격을 해야 할 정도의 가치가 있는 있는 타겟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 대상으로는 하이 템플러, 시즈 탱크, 디파일러, 울트라리스크 정도가 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지 않은 브루들링 타겟 중에 시즈 탱크가 있다는 점이 주목을 받았고, 이 점을 통해 목동 저그로도 뚫기 힘든 테란의 탱크밭을 철거하는 데 맹활약하기 시작하면서 퀸의 브루들링 주가가 엄청나게 올랐다. 테란 입장에선 안그래도 멀리서 탱크만 쏙쏙 브루들링으로 저격하는 퀸이 얄미워 죽겠는데[32] 앞서 상술했듯, 테란 유닛이 밀집된 진형 속에서 브루들링 유닛까지 테란 진형 가운데에 나타나서 탱크스파이더 마인으로 인한 아군의 스플래시 데미지를 유도하니 테란 입장에선 정말로 골치아프다.# 여기에 스파이더 마인 역대박이라도 터지면 설상가상이다. 저그를 운용하는 입장에서는 공짜로 얻어지는 브루들링 유닛따위는 없어도 그만인데 테란에게 2차피해까지 추가로 줄 수 있으니 가성비는 어마어마한 셈이다. 사이언스 베슬로 퀸을 상대할 수는 있지만, 방사선(이레디에이트)을 퀸에게 사용해도 퀸이 탱크 하나를 잡고 죽으면 이미 자원이득에 베슬의 에너지까지 빼는 셈이 되고, EMP 충격파는 스킬의 사정거리와 퀸의 이동속도 때문에 EMP로 퀸을 저격하기란 쉽지않다. 현실적으로는 탱크와 같이 다니는 골리앗으로 엄호하는 수 밖에 없는데, 퀸의 브루들링 사정거리(9)가 골리앗 사정거리(8)보다 약간 더 길다. 게다가 퀸이 탱크에게 접근이 힘든 경우 골리앗에게 브루들링을 쏘는것도 전혀 손해가 아니다. 브루들링은 에너지만 채워지면 어찌되었던 계속해서 자원소모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기 때문. 결국 저그가 다수의 퀸을 갖춘다면 퀸이 살아있는 한 탱크를 비롯한 테란 병력이 계속해서 브루들링에 터져나가며, 이 상태에서 교전시 탱크를 많이 잃은 테란은 화력부족으로 교전에서도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퀸은 에너지만 채우면 브루들링을 다시 쏠 수 있기에 테란의 메카닉을 카운터 치는데에 있어 퀸은 가장 크게 공헌한 유닛이다. 바이오닉 테란 상대로도 브루들링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이오닉은 원체 체력이 낮은데다 우르르 몰려다니고 무엇보다 값싼 유닛들이여서 브루들링 사용 가치가 메카닉 유닛에 비해서 많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바이오닉에게는 브루들링보다는 후술할 인스네어를 사용하는게 훨씬 더 좋다. 결국 퀸의 브루들링으로 인해 한때 저테전 메타였던 네오 SK 테란과 레이트 메카닉 운영은 완전히 사장되고, 대신 SK 테란을 주축으로 하되 소수 전투순양함을 섞어서 저그의 가스소비를 강요하는 운영방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다.[33]

오래된 유서깊은 게임인만큼 유저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퀸 1기당 타겟 1기씩을 쉽게 브루들링 지정하는 컨트롤도 발견되었다.[35] 순서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퀸만 모아서 부대로 지정하고, 교전 장소와 충분히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에서 에너지가 충분히 찰 때까지 대기한다.
  2. 교전 장소의 시야를 밝혀 놓는다.
  3. 부대지정된 모든 퀸을 선택한 후, 아래 과정을 퀸 1마리만 남을 때까지 반복한다.
    1. 타겟팅이 안 된 상대 유닛 하나를 골라 선택된 퀸 전체에게 브루들링 스킬 사용 명령을 내린다.
    2. Shift+클릭으로 선택된 퀸 중 하나를 제외한다.
  4. 부대지정된 모든 퀸을 선택하고 브루들링 사용 후 귀환할 지점 한 곳을 선택하여 Shift+우클릭으로 웨이포인트를 지정한다.

이렇게 하면 퀸이 떼거지로 몰려가서 상대를 하나씩 쏙쏙 브루들링으로 저격하고 그대로 도주하는 퀸 부대를 볼 수 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선택된 퀸은 _굵은 밑줄_로 표시.
_퀸1_ _퀸2_ _퀸3_ _퀸4_
타겟1 타겟1 타겟1 타겟1
퀸1 _퀸2_ _퀸3_ _퀸4_
타겟1 타겟2 타겟2 타겟2
퀸1 퀸2 _퀸3_ _퀸4_
타겟1 타겟2 타겟3 타겟3
퀸1 퀸2 퀸3 _퀸4_
타겟1 타겟2 타겟3 타겟4
11:53부터 퀸 브루들링 설명 시작

역대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캠페인들을 통틀어서 플레이어가 퀸의 브루들링으로 직접 죽여볼 수 있는 네임드 영웅들은 감염된 케리건[36], 제라툴[37], 피닉스[38], 사미르 듀란[39] 이렇게 4명 뿐이다. 물론 이들 중에서 플레이어가 브루들링을 사용해 미션 클리어가 가능한 경우는 피닉스 하나밖에는 없다.[40] 나머지 영웅들은 플레이어가 브루들링을 사용해 직접 죽이는 순간 모두 해당 영웅이 죽었다는 메세지가 출력되면서 저절로 게임 오버. 실제로 피닉스를 제외한 다른 영웅들은 아군 영웅으로 등장하기에 그들을 브루들링을 사용해 제거하는 것은 무의미한 단순 재미행위에 그치지 않는다. 그리고 브루드워 저그 첫 번째 미션에서 헌터 킬러들을 조종하는 미션과 저그 두 번째 미션에서 토라스크, 헌터 킬러, 디바우어링 원 등 3종류의 저그 유닛 영웅들을 조종할 수 있는 미션에서는 퀸을 통해 브루들링을 사용하여 그들을 죽이더라도 미션 실패 메세지가 뜨지 않는다.[41]

또한 캠페인 한정으로 컴퓨터가 조종하는 퀸은 피아를 불문하고 영웅 유닛에겐 브루들링을 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는 난이도 조정을 위한 조치이므로 만약 컴퓨터의 퀸이 영웅에게도 브루들링을 사용했다면 유저의 영웅 유닛은 전투에 참여도 못하고 벙커안에 숨거나, 수송 유닛에 탑승한 채로 숨어지내야 했을 것이다.[42] 블리자드의 후속작 워크래프트 3처럼 전사한 영웅 유닛을 만약 재생산할 수 있었다면 이러한 제약이 없었을 수도 있다.[43]

재미있는 점은 아비터의 정지장(스테이시스 필드)이 한 유닛에게 브루들링보다 늦게 시전되었다면 스테이시스 필드로 얼어붙은 유닛이더라도 브루들링을 통해 죽일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브루들링을 사용하기 전에 이미 스테이시스 필드로 이미 얼어버린 유닛에게는 스킬 시전 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아 브루들링을 사용해 죽이는게 불가능하다.브루들링 맞기 전에 얼리면 살 수 있을까를 실험한 영상. 심지어 건물을 지으려는 드론이 건물로 변하기 직전에 브루들링을 그 드론에게 사용했다면 해당 드론이 이미 건물로 변이중인 상태더라도 확정 사망한다. 또한 하이 템플러아칸으로 변신하기 직전에 브루들링을 그 하이 템플러에게 사용하면 50%의 확률로 합체하는 도중 브루들링으로 인해 터져 죽는 모습을 볼 수 있다.[44]

스타크래프트 2 에서는 무리 군주가 자체 생성하여 공생충을 발사한다. 또한 캠페인, 협동전 한정으로 등장하는 스타 1 시절의 퀸이 여전히 브루들링을 남발한다. 여전히 영웅한테는 공생충을 사용하지 않지만 대신 생체 유닛 뿐만 아니라 100% 무인기계나 에너지 생명체도 얄짤없이 공생충의 대상이 되도록 바뀌었다. 이는 스타 2로 넘어오면서 바뀐 시스템과 판정으로 인해 생긴 현상이다. 이와 비슷하게 스타 2에서 다시 나온 거미 지뢰집정관 같은 호버 유닛에게 반응한다.

이 기술이 스타2 여왕에게도 계승되었다면 고급 지상유닛인 공성 전차, 토르, 불멸자, 울트라리스크를 일격에 처치할 수 있었을테니 대단히 유용한 기술이 되었을것이다.[45] 물론 스타2 여왕은 스타1과는 달리 비행 유닛이 아닌데다 점막 밖에서는 이동속도가 크게 감소하는 페널티까지 있으니 사용 난이도는 스타1보다 훨씬 상승할 것이다. 이후 SC Evo Complete의 등장으로 이 글은 퀸이 스타크래프트 1의 스펙을 그대로 계승하여 반쯤 현실화가 되었고, 해당 문서에도 적혀 있듯 스타1의 퀸이 저그 주가 상승의 1등 공신이 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46]

여담으로 옆동네인 워크래프트 3와 붙을 수 있는 WC3 Evolution에서도 스타1의 저그가 워크래프트 진영을 흔드는 용도로 퀸을 사용한다. 나이트[47], 타우렌, 곰[48], 코도, 어보미[49]같은 체력이 매우 높은 생체 유닛이 많은 워크래프트 3 유닛도 브루들링 스킬에는 얄짤없이 즉사하니 말 그대로 야언좆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50] 특히 언데드는 모든 일반 유닛이 저그처럼 생체이기 때문에 브루들링 스킬이 통한다. 그리고 브루들링은 엄연히 마법에 속하기 때문에 두꺼운 가죽주문 면역에는 막힌다.

2.2.4. 속박

파일:SCR_Icon_267_Ensnare.png 속박 Ensnare [E]
파일:SC_Energy.png 75 / 여왕의 둥지 / [E] /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100
파일:SC_Vespene_P.png100
파일:SC_Vespene_Z.png10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80

여왕은 희생자를 향해 진한 점액을 뿌려 전진 혹은 후퇴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 점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분해된다.
파일:SCR_383_ensnare.gif
속박 이펙트 (50% 크기)[51]
파일:SCR_386_ensnare_l.gif 파일:SCR_385_ensnare_m.gif 파일:SCR_384_ensnare_s.gif
속박에 걸렸음을 나타내는 이펙트, 크기별로 대 - 중 - 소

발사체를 날려 가로, 세로 128픽셀의 정사각형 안의 모든 유닛(건물 제외)에게 녹색의 점액질 액체를 묻힌다. 최대 사거리는 9고, 맞은 유닛은 75틱(최대 600프레임, Normal 40초/Fastest 25초)동안 지속되고 지속시간 동안 가속도, 회전률, 이동 속도, 공격 속도가 하락한다. 잠복된 유닛은 인스네어에 맞지 않지만, 이미 맞았다면 제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적용된다. 은폐된 대상일지라도 인스네어에 맞게되어 점액이 묻어있는 동안에는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별명으로는 특유의 녹색 이펙트 때문에 와사비라고도 불리며, 끈적한게 묻어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본 따 일명 끈적이라고도 불린다.

[ 소스 펼치기 · 접기 ]
	fp8 get_modified_unit_speed(const unit_t* u, fp8 base_speed) const {
		ufp8 speed = base_speed.as_unsigned();
		int mod = 0;
		if (u->stim_timer) ++mod;
		if (u_speed_upgrade(u)) ++mod;
		if (u->ensnare_timer) --mod;
		if (mod < 0) speed /= 2u;
		if (mod > 0) {
			if (unit_is_scout(u)) {
				speed = ufp8::integer(6) + (ufp8::integer(1) - ufp8::integer(1) / 3u);
			} else {
				speed += speed / 2u;
				ufp8 min_speed = ufp8::integer(3) + ufp8::integer(1) / 3u;
				if (speed < min_speed) speed = min_speed;
			}
		}
		return speed.as_signed();
	}

	fp8 get_modified_unit_acceleration(const unit_t* u, fp8 base_acceleration) const {
		ufp8 acceleration = base_acceleration.as_unsigned();
		int mod = 0;
		if (u->stim_timer) ++mod;
		if (u_speed_upgrade(u)) ++mod;
		if (u->ensnare_timer) --mod;
		if (mod < 0) acceleration -= acceleration / 4u;
		if (mod > 0) acceleration *= 2u;
		return acceleration.as_signed();
	}

	fp8 get_modified_unit_turn_rate(const unit_t* u, fp8 base_turn_rate) const {
		ufp8 turn_rate = base_turn_rate.as_unsigned();
		int mod = 0;
		if (u->stim_timer) ++mod;
		if (u_speed_upgrade(u)) ++mod;
		if (u->ensnare_timer) --mod;
		if (mod < 0) turn_rate -= turn_rate / 4u;
		if (mod > 0) turn_rate *= 2u;
		return turn_rate.as_signed();
	}

	int get_modified_weapon_cooldown(const unit_t* u, const weapon_type_t* weapon) const {
		int cooldown = weapon->cooldown;
		if (u->acid_spore_count) {
			cooldown += std::max(cooldown / 8, 3) * u->acid_spore_count;
		}
		int mod = 0;
		if (u->stim_timer) ++mod;
		if (u_cooldown_upgrade(u)) ++mod;
		if (u->ensnare_timer) --mod;
		if (mod > 0) cooldown /= 2;
		if (mod < 0) cooldown += cooldown / 4;
		if (cooldown > 250) cooldown = 250;
		if (cooldown < 5) cooldown = 5;
		return cooldown;
	} 

[52]

인스네어 피격 시 이동 속도에 있어서 기본 상태 유닛이면 이동 속도가 50% 감소하고, 이동 속도 업그레이드를 했거나[53] 스팀팩을 사용한 상태의 마린, 파이어뱃이라면 기본 상태의 이동 속도로 다시 줄어든다. 즉 일정시간동안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아간다는 뜻이다. 따라서 오버로드만 빼고 보면 이동속도를 -50%p 만큼 깎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마법으로 간주되는 메딕의 치료(힐) 속도에는 인스네어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실험을 통해 밝혀진 상태. 실험결과 만약 메딕의 치료 속도까지 영향을 주었다면 바이오닉 테란을 상대로 퀸을 더 적극적으로 생산하게 되었을 것이다.

공격 쿨타임[54]에 있어서는, 공격 주기가 감소된 유닛(스팀팩 사용한 바이오닉 테란 유닛, 공격속도가 업그레이드된 저글링)은 인스네어에 맞은 동안 원래의 공격 속도로 되돌아간다.

쿨다운 증가 공식은 기본적인 데이터 수치에서 1/4배에서 소수점 이하를 버린 값이 추가된다. 기본 상태 유닛이면 대략 공격 쿨타임이 1/4배(25%)가 증가해서 5번 공격할 시간에 4번을 공격하게 되니 DPS는 20%가 증가하는 셈. 250을 초과하면 250으로 고정되지만 여기에 해당되려면 9중첩 애시드 스포어에 인스네어까지 걸린 디바우러뿐이다.

물론 실제로 실험해 보면 "공격 주기 무작위 지연[55]" 시스템 때문에 기본 상태 및 인스네어가 걸린 상태에서 모두 각각 평균 0.5프레임의 공격 주기가 늘어난다. 위에 예로 든 수치는 "공격 주기 무작위 지연" 시스템을 넣지 않은 수치이다.

유닛을 생성해서 내보내는 방식의 캐리어인터셉터리버스캐럽의 출격 자체에는 영향이 가지 않는다. 물론 캐리어 본체가 아닌 인터셉터가 인스네어에 직접 맞을 경우 쿨다운이 조금 증가한다. 또 공격만을 담당하는 상부와 몸체에 붙어 이동만을 담당하는 시즈 탱크골리앗같은 유닛에게는 인스네어가 그들의 공격 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대와의 전면전에서 뭉쳐있는 적군 다수에게 인스네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아군 유닛이 후퇴할 때 사용하거나 적을 추격하는 용도로 사용할 때 그 위력이 발휘된다. 부가적인 기능으로 은폐한 유닛에게 인스네어를 맞추면 별도의 디텍터 없이도 인스네어 효과가 사라질 때까지는 그 모습이 드러나니 디텍터가 없는 경우 이런식으로도 임시방편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저그 유닛 중에서는 어떻게든 적에게 완전히 접근해야만 자폭 공격할 수 있는 스커지와의 궁합이 좋다.

스팀팩을 쓰며 달려오는 바이오닉 유닛과 프로토스의 지상 병력에게 인스네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스팀팩을 사실상 무효로 만들어 버리니 저글링, 러커, 뮤탈이 달려들어 제거하기 편하고[56] 적의 멀티를 치는 동안 발업한 질럿이나 드라군, 아칸의 발을 묶어서 적의 지원을 지연시키기에도 좋기 때문이다.

이렇게만 보면 꽤 유용한 스킬이지만 퀸 자체가 사실 많이 등장하지 않으며, 따로 인스네어 개발도 해야하니 생각보다는 잘 쓰이지 않는다. 테저전이라면 바이오닉 유닛을 상대로 간혹 쓰이지만, 같은 종족전인 저저전에서는 퀸은 매우 보기 힘든 유닛이다. 왜냐하면 뮤탈저글링의 박빙 싸움으로 끝나는 저저전의 특성 때문인데 저저전에서는 시간 및 자원적으로도 퀸을 생산할 여력이 없다. 그리고 인스네어 특성상 피아를 가리지않고 인스네어에 걸리기 때문에 컨트롤을 실수하면 아군까지도 인스네어에 휘말린다. 이런 이유로 즉사기인 브루들링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잘 사용한다면 대박을 노릴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구름베슬의 카운터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단 사이언스 베슬이 인스네어에 맞은 경우 스커지 자폭이나 일점사에 매우 취약해지므로 운용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된다. 자원적으로도 퀸 1~2기와 베슬 1기를 맞바꿔봐야 전략적으로 저그가 더 이익이다.[57] 테란의 대저그전 베슬의 용도는 집단으로 방사선(이레디에이트)을 저그 유닛에게 걸어대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뭉쳐져있는 다수의 베슬이 인스네어에 맞게되면 잘못하다간 한순간에 전멸할 수도 있다. 그래서 2020년대의 테란들은 베슬을 최대 8-9기 정도만 운영하고 대신 남는 가스를 배틀크루저 생산에 투자하는 편이다.

또한 테란이 저그를 상대로 투스타 레이스 같은 운영을 할 때, 이 인스네어가 디파일러의 역병(플레이그) 개발 테크보다 훨씬 더 빨리 개발할 수 있어서 요즘 테란들은 이러한 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58] 그렇기에 지상맵이 아닌 스파클 같은 완전 섬맵이라면 인스네어의 효용이 더욱 증폭된다. 이런 맵들은 지상군 수송전 또는 공중 유닛간의 싸움이 주가 되는데, 특히 공중 유닛끼리의 전투에서 디바우러의 애시드 스포어와 더불어 퀸의 인스네어가 사실상 공중전 저그의 정석이라고 자리잡았을 정도. 아래에도 후술하겠지만, 이 인스네어가 공중 유닛의 핵심인 기동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레이스처럼 은폐된 유닛도 인스네어에 맞으면 그 모습이 드러나기 때문에 저그가 좀 더 수월하게 공중 전투를 하게 만들어주는 매우 유용한 스킬이기 때문.

인스네어가 적절하게 잘 사용된 방송 경기
인스네어에 맞은 드론이 건물로 변태할 경우 건물 건설의 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건물로 변태중임에도 인스네어는 사라지지 않는 기현상을 보여준다. 생산 속도를 빠르게 하는 치트키인 'operation CWAL'을 미리 입력해 놓고 드론에게 인스네어를 걸어서 그 드론으로 성큰 콜로니스포어 콜로니를 건설하면 그 건물에도 여전히 인스네어가 걸려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인스네어가 완전히 풀리기 전까지는 일반 유닛처럼 공격 속도가 느려진다.실험 영상 다만 DPS가 아주 크게 떨어지진 않는 수준.

디파일러의 역병(플레이그)과 퀸의 인스네어를 유닛에게 함께 뿌리면 효과가 뒤섞여 알록달록한 색깔이 나온다.[59] 이 임팩트가 컸던지 먼 과거 임정호가 '매직 저그'라는 별명을 얻었었다.

스타크래프트 2 에서는 인스네어와 비슷한 스킬인 감염충의 진균번식이 있다. 진균번식이 스타2 역사상 역대 최악의 사기 스킬로 오랜기간 군림했었던 것을 볼 때, 만약 스타크래프트 1 퀸에게 진균 번식이 있었다면 밸런스는 나락갔을지도 모른다.

2.3. 멀티 플레이

스타판에서는 정석적인 운영의 일부가 아니라, 깜짝 전략의 하나로만 남아 있던 유닛. 오리지널 시절만 해도 최적화된 운영보다는 창의적인 플레이가 주를 이루었기에 "저그의 눈", "퀸 없는 저그는 장님과 마찬가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널리 쓰였으나, 브루드워가 발매되고 레어 위주의 빌드와 운영이 정립되면서 이미 스타리그가 정착될 시점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 유닛이 되었다. 주력 기술이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고, 물량과 회전력으로 승부보는 저그와 딱히 궁합이 좋지 않아 더 고성능의 디파일러가 주력으로 사용되었다.

그래도 유닛 자체가 구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쓰레기는 아니고 분명 쓰면 좋은 구석이 없지 않았기에 유닛의 쓰임새를 논하는 사람들은 많았다. 스타리그 초창기만 하더라도 곧잘 모습을 드러냈으나 날이 갈수록 게임 템포가 빨라지고 한가하게 퀸이나 뽑을 시간이 없어지면서 설 자리를 잃었고, 퀸을 활용하여 이기면 입스타의 실현이라는 말과 함께 높은 평가를 받았다.[60]

2011년 4월부터 테란이 운용하는 레이트 메카닉에 대항할 유닛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가만히 앉아서 탱크로 선만 긋던 수비형 레메는 퀸의 재발견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컨트롤 자체가 상당히 어렵고, 공격형 레메를 상대로는 퀸 체제를 갈 타이밍을 잡기 힘들고, 다수가 뭉쳐있다가 베슬의 EMP 한 방에 무력화 되는 등 약점도 여럿 있지만,[61] 탱크 부대를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큰지라 저그 유저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레메를 상대하는 카드 중 하나로서 자리매김 했다. 인터넷 방송으로 넘어온 스타판에서는 김정우가 퀸을 제일 잘 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활용도와 전술이 발전함에 따라 메카닉 테란 상대로는 프로토스의 캐리어 급의 최종병기로 격상하게 된다. 테란 입장에선 공격형이든 수비형이든 퀸이 뜨면 최소한 탱크가 그만큼 줄어든단 뜻이며, 베슬의 이레디를 퀸에게 걸어도 브루들링 쓸 에너지가 없는게 아니기에 탱크는 사라진다. 한데 광물 150에 가스 100인 탱크 vs 광물 100에 가스 100인 퀸을 1:1로 바꾸기만 해도 자원상 저그가 오히려 이익이고 베슬의 마나소모는 덤이다. 퀸을 잡으려다 실수로 베슬이 노출돼서 맞아죽기까지 하면 테란은 광물 100에 가스 225가 추가로 손해이다. 노출된 베슬이 이레디로 퀸 두마리를 잡고 죽어도 저그는 광물 200에 가스 200 + 스커지 두마리를 베슬과 맞바꾼 셈이라 오히려 이득이다. 만약 베슬은 터지고 방사능 걸린 퀸은 브루들링을 탱크나 전방의 유닛 밀집지역에 쏘고 죽었다면 테란이 굉장한 손해다. 셔틀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 하이 템플러와 다르게 탱크는 시즈 모드 되 있을 가능성이 높기에 모드 푼 상태 아니면 드랍쉽으로 브루들링 오폭시키지 못한다. 그렇다고 EMP를 쏘기엔 스커지를 상대로 저그의 시야망을 뚫고 들어가 EMP를 적중시키기 어렵다. 억지로 파고들어 명중시켰다 해도 퀸 한 두기의 마나와 베슬 1기를 바꾸는 수준이면 오히려 테란이 굉장한 손해다.[62]

만약 퀸의 브루들링으로 이렇게 탱크라인이 한번 뚫리고나면 레메 특성상 병력 충원과 기동에 크게 어려움을 겪기에, 손해가 누적될수록 저그가 기동성을 앞세워서 여기저기 휘젓고 다니는 걸 막을 수 없다. 일명 홍구식 퀸.

레메뿐만 아니라 생메카닉을 상대로도 뮤탈 히드라 이후 테란이 베슬을 섞어주면서 3멀티를 가져가는 동안 멀티를 잔뜩 째고 퀸을 준비하면서 맞춰가는 대응법이 발견되면서 최상위권에서 레메 이후 생메카닉마저 사장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유닛이다. 최근 바이오닉 상대로 떠오른 저그 빌드 중 하나가 뮤탈로 견제하다 베슬이 뜨면, 스팀팩을 상쇄하는 인스네어에 울트라리스크 다수와 저글링 조합으로 타이밍을 만들어 미는 신형 목동빌드가 있다. 인스네어 빌드사용 경기영상, 홍구 상대로 사용

메카닉에 대항하는 퀸을 깊게 연구한 유저들 중엔 브루들링 개발에 이어서 상대를 느려지게 하는 초록색 인스네어(속박)을 같이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다수 퀸을 뽑는 빌드서 인스네어를 함께 개발해 두면 반드시 그 이상 효과를 뽑는데 첫번째론 베슬을 느려지게 방해하여 스커지나 일점사 등에 의한 격추를 쉽게 만든다. 두번째는 베슬의 방사능에 걸린 상태서 퀸이 150 마나로 브루들링부터 사용한 후, 75 마나 이상이 남았을 때 탱크를 보호하는 벌쳐 등이[63] 밀집한 곳에 쏴주고 죽으면 연사력과 이동력이 떨어져 진형붕괴에 상당한 효과가 나온다. 안티메카닉 빌드에서 인스네어까지 개발한 퀸은 굉장히 테란 유저를 곤란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일단 퀸에 방사능을 걸려고 접근한 순간 베슬도 인스네어를 맞고 느려지는 것이 확정이므로, 베슬이 진영을 벗어나 자유롭게 여기저기 날아다니며 견제하는 것이 굉장히 힘들어진다. 퀸에게 방사능을 거는 순간 인스네어로 인해 느려져서 베슬을 잃을 확률도 올라가므로 시간이 갈수록 심리적 압박이 심해지거나 상당한 피해가 누적된다.

물론 생메카닉 아닌[64] 레이트 메카닉일때 퀸에 대응할 엔베 혹은 배럭[65]을 많이 지은 뒤 띄워서 탱크를 가리고 보는데 브루들링으로 탱크 잡으려다 엔베나 배럭에 클릭미스나서 생고생하는 것보다 차라리 인스네어로 대응하는 것이 좋다.

다만 정석적인 SK 테란 상대로는 여전히 잘 안 쓰인다. 이론상 인스네어가 마메와 베슬에게 모두 강력한 스킬이긴 하지만, 디파일러의 우선순위가 훨씬 앞서기 때문이다. 마나가 떨어지면 다시 찰 때까지 잉여가 되는 퀸과 달리 디파일러는 컨숨으로 빠르게 마나를 재수급할 수 있고, 다크스웜으로 얻을 수 있는 수비력은 인스네어로는 따라갈 수 없다. 인스네어의 군중제어 능력도 치명적인 도트 대미지를 주는 플레이그에게 밀린다.

토스전에서도 덤달아 재발견 되었는데 브루들링 아닌 패러사이트로 셔틀에 거는 것이다. 퀸은 업그레이드 하지 않아도 패러사이트를 쓸 수 있으며 당연히 브루들링 아닌 인스네어를 준비해 둔다. 리버는 순수 기계라 브루들링에 걸리진 않지만 셔틀에 패러사이트 걸어둔다는 것은 토스의 활동 범위가 좁아진다는 뜻이며 토스 입장에서는 패러사이트 걸린 셔틀을 내다버리기에는 광물 200이 날라간다는 것이다.[66] 옵저버에게도 걸 수 있는데, 상대에게 디텍터 기능까지 생기기 때문에 역시 제거 1순위이다.[67] 커세어 다크라도 다크 아칸으로 합체시켜봤자 히드라 사냥할 다크 템플러 두 기가 줄어든다는 의미이며 커세어는 뭉쳐다니는 특성상 인스네어에 약하며 빠르게 스파이어 올릴 가성비 대신 인스네어로 대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68]

무한맵에선 인스네어가 낫다. 브루들링으로 잡아봤자 비싼 지상유닛들이 얼마 안가서 또 다시 대량 나오기 때문에 엘리전 못하는 퀸은 인스네어 쓸 숫자만 남기던가 해야한다. 패러사이트 걸어도 상대 팀이 테란이면 기생충 지워버리거나 아예 상대가 밀어붙이는 식으로 쳐들어오면 패러사이트는 쓸모없어지게 된다.

2.4. 유즈맵과 AI

에너지 무한인 유즈맵에서는 하이 템플러만큼은 아니지만 지상 병력을 싹쓸이하는데 일조한다. 브루들링을 난사하면 지상 유닛이 남아나는 것이 없다. 인스네어로 지상군의 발을 묶고 멀리서 브루들링을 쏘아대면 그 스테이지는 클리어. 발이 느린 하이 템플러가 이동하다가 죽는 경우를 생각하면 이동 속도가 높고 지형을 무시하는 공중 유닛이라 경우에 따라서는 하이 템플러보다 더 좋은 유닛.

AI와의 대전에서 AI가 이 퀸을 운용한다면 그야말로 사람의 인내심이 어디까지 가나 시험해 볼 수 있는 녀석이다. 툭하면 진격 속도를 늦춰서 플레이어를 답답하게 만드는 인스네어와 에너지만 찼다 싶으면 언제든지 툭툭 뱉어대는 브루들링[69]은 그야말로 악마스러움의 결정체. 그래도 인공지능인지라 허점만 잘 이용해서 떼거지로 몰살시키면 최고의 희열을 느낄 수 있다. 그 꼴 보기 싫다면 공중 유닛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계속 보이는 족족 응징해주는 것 이외에는 딱히 별다른 대안이 없다. 그나마 프로토스는 아콘 위주로 병력을 짜면 브루들링 걱정은 없지만, 그렇다고 브루들링 무서워서 아콘만 뽑을 수는 없지 않은가. 결국 테란은 레이스, 프로토스는 커세어나 스카웃을 적극적으로 굴리는 수 외에 뾰족한 수는 없다. 보통 해처리 계열 건물 위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 바람. 공식 설정에 따라 군락을 관리하는 것 때문에 그런 듯.[70]

독특하게도 캠페인 인공지능과 미션, 커스텀 인공지능간의 AI 스크립트에 차이가 있다. 일단 아무 인공지능도 적용시키지 않으면 퀸은 에너지가 되는 한 공격한 유닛을 브루들링하며[71], 많은 유닛이 뭉쳐있을 때에는 인스네어도 종종 쓴다. 그리고 캠페인 인공지능을 적용시키면 브루들링은 어느 정도 값비싼 유닛들을 대상으로 사용하며, 패러사이트는 극히 낮은 확률로 사용한다.[72] 그러나 일부 미션의 인공지능에서는 패러사이트를 꽤 자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브루들링과 함께 패러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5. 상성




3. 스타크래프트 2

파일:attachment/zerg_classic_queen_by_phillgonzo-d5xrdje.jpg파일:SC2Pic_3LOTV_etc_queen_classic.png
여기에서는 캠페인, 협동전 등에서 나오는 공중 유닛을 설명한다. 지상 유닛으로 재설계되어 섬멸전에 등장하고 있는 유닛은 여왕(스타크래프트 2) 항목 참고.

설정상으로는 스타크래프트2에 나온 여왕들이 이 여왕의 진화형이라고 한다.

3.1. 공허의 유산 캠페인

파일:btn-unit-zerg-queenclassic.png 여왕 Queen
공중 지원 유닛입니다. 기생충, 속박, 공생충 생성, 점막 종양 생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
파일:SC2_Mineral_Terran.png
파일:SC2_Mineral_Protoss.png
파일:SC2_Mineral_Zerg.png
파일:SC2_Mineral_Terran.png100
파일:SC2_Mineral_Protoss.png100
파일:SC2_Mineral_Zerg.png100
파일:SC2_Vespene_Terran.png
파일:SC2_Vespene_Protoss.png
파일:SC2_Vespene_Zerg.png
파일:SC2_Vespene_Terran.png100
파일:SC2_Vespene_Protoss.png100
파일:SC2_Vespene_Zerg.png100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Supply_Terran.png2
파일:SC2_Supply_Protoss.png2
파일:SC2_Supply_Zerg.png2
파일:SC2_Time_Terran.png
파일:SC2_Time_Protoss.png
파일:SC2_Time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
파일:SC2_Time_Protoss.png
파일:SC2_Time_Zerg.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체력 120 방어력 0 [87]
이동 속도 2.5 시야 9
에너지 초기/최대: 50/200 특성 생체
특수 능력
파일:btn-ability-zerg-viper-ocularparasite.png 기생충 Parasite (R)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 75
대상 유닛을 기생충에 감염시켜, 감염된 유닛의 시야를 공유합니다.
파일:btn-ability-zerg-fungalgrowth-color_테.png 속박 Ensnare (E)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 75
대상 지역의 유닛 이동 속도를 6초 동안 50%만큼 감소시킵니다. 은폐하거나 잠복한 유닛은 모습이 드러납니다.
파일:btn-ability-zerg-swarmseeds-color_테.png 공생충 생성 Spawn Broodlings (B)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 150
대상 생체 유닛을 처치하고 공생충 2마리를 생성합니다.
파일:btn-building-zerg-creeptumor.png 점막 종양 Creep Tumor (C)
파일:SC2_Time_Zerg.png 3 / 재사용 대기시간: 15
땅속에서 점막을 생성하는 종양을 만들어냅니다. 점막은 주위 저그 구조물에 양분을 공급합니다. 점막 종양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추가 효과: 점막 위에서 저그 유닛의 이동 속도 증가

파일:IsjsHVF.jpg 기생충은 사거리가 무려 12로 쓰면 유닛의 머리 위에 기생충이 둥둥 떠있는데 사실 이것도 군단의 심장 개발 당시 살모사의 스킬이었던 안구 기생충[88]을 재활용 한 것이다. 아이콘도 마찬가지.

속박은 사거리 9, 에너지 75를 소모하며, 반경 2.0의 범위 내 적의 이동속도를 6초 동안 50% 낮춘다. 전작보다 많이 구린 편인데, 전작과 달리 공격 속도를 느려지게 하는 기능은 없으며 은폐, 잠복한 유닛들은 모습이 드러난다고 설명되어 있지만 만들다 말아서인지 막상 당해도 모습이 드러나지 않는다. 투사체 속도 또한 전작보다 느려졌다.

공생충 생성은 사거리 9, 에너지 150을 소모하여 적의 생체 유닛 하나를 즉사시키고 공생충 2마리를 생성시킨다. 기계 유닛이어도 생체 유닛의 특징을 같이 가지면[89] 사용이 가능하던 전작과는 다르게 기계 속성의 유닛에게 아예 통하지 않는다. 다만 생체와 기계 판정을 동시에 받는 건설로봇과 화염기갑병에게는 사용이 가능하다. 반대로 기계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집정관은 전작과는 달리 공생충 생성이 통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말았다.

테란 사령부 감염은 구현되지 않았는데 만들다만 흔적은 남아있다.


첫 아이어 임무인 '아이어를 위하여!'와 정화자 임무인 '과거의 봉인을 풀고' 등에서 전작의 비행 개체의 모습을 한 여왕이 몇 마리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체력 120 방어력 0으로 내구는 전작과 동일한데, 방어 속성이 생체만 달랑 하나 달려있어 웬만한 추가 대미지는 전부 받지 않는다.[90] 이동 속도는 2.5로, 뮤탈리스크 수준의 이속을 가졌던 전작과는 다르게 느린 편이다. 전작의 기본 인공지능 고증에 비교적 충실했는지 군락 위에 가만히 떠 있다가 일정 거리 내에 적이 접근하면 속박을 사용한다. 다행히도 플레이어들의 기분을 나쁘게 하는 스킬인 기생충과 공생충 생성은 막상 사용하지 않는다.

전쟁 의회에서 사이오닉 전사의 진영을 네라짐으로 선택했다면, '과거의 봉인을 풀고' 미션이나 '숙주' 미션 등에서 암흑 집정관의 정신 제어를 통하여 직접 다뤄볼 수 있다. 에너지가 꽉 차있어 공생충 생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잠복을 풀고 튀어나오는 울트라리스크에게 사용해주면 매우 좋다. 점막 생성은 캠페인에선 건물 건설로 취급돼서 정신 제어를 통해 사용할 수 없다. 제작사 특유의 우려먹기 습관 때문인지 초상화는 식충의 것을 그대로 쓰며 스킬 아이콘들 중 새로 만든 것이 없다.

3.2. 협동전 임무

파일:btn-unit-zerg-classicqueen.png 무리 여왕 Brood Queen
공중 지원 유닛입니다. 시각 공생과 공생충 생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
파일:SC2_Mineral_Terran.png
파일:SC2_Mineral_Protoss.png
파일:SC2_Mineral_Zerg.png
파일:SC2_Mineral_Terran.png100
파일:SC2_Mineral_Protoss.png100
파일:SC2_Mineral_Zerg.png100
파일:SC2_Vespene_Terran.png
파일:SC2_Vespene_Protoss.png
파일:SC2_Vespene_Zerg.png
파일:SC2_Vespene_Terran.png100
파일:SC2_Vespene_Protoss.png100
파일:SC2_Vespene_Zerg.png100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Supply_Terran.png2
파일:SC2_Supply_Protoss.png2
파일:SC2_Supply_Zerg.png2
파일:SC2_Time_Terran.png
파일:SC2_Time_Protoss.png
파일:SC2_Time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32
파일:SC2_Time_Protoss.png32
파일:SC2_Time_Zerg.png32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생산 건물 감염된 우주공항 단축키 U
요구 조건 부착된 기술실
체력 120 방어력 0 [91]
이동 속도 3.75 시야 9
에너지 초기/최대: 50/200 특성 생체
특수 능력
파일:btn-ability-zerg-viper-ocularparasite.png 시각 공생 ocular Parasite (E)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 25
아군 유닛의 시야범위를 5 증가시키고 아군 유닛에게 180초 동안 은폐 및 잠복한 유닛을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파일:btn-ability-zerg-swarmseeds-color_테.png 공생충 생성 Spawn Broodlings (B)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 100
대상 적 지상 또는 공중 유닛에게 300 피해를 주고 시체로부터 2기의 공생충을 생성합니다.
업그레이드
파일:SC2_Coop_Stukov_researchqueenfungalgrowth.png 진균 번식 Fungal Growth (F)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 75
적 유닛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4초에 걸쳐 80의 피해를 줍니다. 은폐하거나 잠복된 유닛은 모습이 드러납니다.
파일:SC2_Coop_Stukov_queenenergyregen.png 향상된 미토콘드리아
무리 여왕의 에너지 재생 속도가 100%만큼 증가합니다. 무리 여왕이 에너지가 가득찬 상태로 생성됩니다.

3.4 패치 이후 아몬측 저그에서 스타크래프트 1 시절의 여왕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 후 광부 대피 등의 다양한 협동전 시나리오에서 모습을 비추며, 등장을 예고했다.

3.9 패치에서 스투코프에게 스타 1 시절의 여왕이 Brood Queen(한글 번역판에서는 '무리 여왕')이라는 이름으로 추가되었다. 전작의 기생충과 속박 능력이 시각 공생과 진균 번식으로 바뀌었으며, 공생충 산란은 공중 유닛과 영웅 대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즉사 판정이 아니라 300의 피해를 입히고 공생충 산란에 피격되어 사망 시 공생충이 생기도록 변경되었다. 사실상 저그 버전 야마토 포. 다만, 테란 사령부 감염 능력은 삭제되었다.

스투코프가 테란 기반 사령관이기 때문에 전작과는 달리 우주공항에서 생산한다. 고급 유닛이기 때문에 기술실을 붙여야 한다.

4.9.2 패치로 아몬의 공세에 합류하게 되었다. 공생충 부화 능력은 거의 사용하진 않지만, 남는 에너지로 점액을 난사하기 때문에 은근히 성가신 편. 사이오닉 능력이 붙어있어서 데하카의 섭취 능력을 용이하게 쓸 수 있다.

공성전차를 사용하는 스완과 레이너 한정으로 굉장히 성가신 유닛이다. 무리 여왕이 공생충을 아예 안 사용하는 것은 아닌데, 트리거를 뜯어보면 공성 전차에게만 공생충을 쓰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항상 에너지가 남아도는 여왕이 공성 전차만 보면 눈이 뒤집어져서 공생충 산란을 쓴다. 전차가 상당히 비싼 유닛이므로 잃으면 뼈아프고, 특히 스완의 탱크는 공생충 산란에 죽으면 불멸 프로토콜도 못쓴다. 웃긴 건 다른 테란 사령관들인 노바, 멩스크, 스투코프(감염된 테란)의 전차에게는 공생충을 쏘지 않는다.[92]

그나마 다행인건 협동전은 아군 오폭이 없지만 그래도 성가신 것은 마찬가지므로 전차를 쓸 때 광부대피처럼 여왕이 존재하는 맵이나 여왕이 공세에 섞여 쳐들어오는 침공 저그 조합은 주의.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if external != "o"
[[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uuid=aeeb0849-79b2-47c4-80a1-26a15ba5955d|r76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uuid=aeeb0849-79b2-47c4-80a1-26a15ba5955d#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from=76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if external != "o"
[[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uuid=aeeb0849-79b2-47c4-80a1-26a15ba5955d|r76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uuid=aeeb0849-79b2-47c4-80a1-26a15ba5955d#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여왕(스타크래프트 시리즈)?from=76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설정상 현재 뮤탈리스크가 쓰던 무기는 원래 여왕의 무기였고 뮤탈리스크는 애시드 스프레이라는 단일 타겟 공격하는 대미지 30의 폭발형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뮤탈리스크의 무기가 비효율적이다라는 초월체의 판단에 의해 뮤탈리스크의 무기가 쐐기벌레로 변하게 된다.[2] 설정 외부적으로는 무기가 있는 유닛은 시스템상 공격 우선도가 높게 지정되기 때문에 있으나마나한 약한 공격을 없애서 마법유닛의 생존률을 올리는게 효율적이라서 없앤거며, 파멸충, 고위 기사도 이러한 이유로 베타 버전을 거치며 정식판에서는 무기가 삭제되었다. 다만 중재자는 비전투 유닛이 공격을 받으면 도망치는 스타크래프트 유닛 설계상 무기가 없으면 전장에서 이탈해 은폐장을 제대로 쓸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무기를 장착하고 내구도를 높인 상태로 출시됬다.[3] 초상화의 화질이 낮아서 여왕 뒤의 배경을 얼굴 뒤쪽에 있는 날개막으로 오인하는 사람들이 많다.[4] 자세히 보면 얼굴이 좌우 비대칭 형태인것을 알 수 있는데 리마스터에서는 그런 디테일이 사라졌다.[5] 화질이 좋아지고 어두웠던 배경색이 밝아졌다.[6] 파일:Empress_Cartooned_Game1.JPG.jpg
머리 위에 있는 한 쌍의 큰 앞발 때문에 토끼처럼 그려졌다. 다만 전체 모습을 보면 날개 때문에 마치 박쥐처럼 보인다.
[7] 유닛 설명은 이렇게 되어 있지만, 사실 의무관의 리스토레이션으로 치료할 수 있다. 물론 이 설정이 만들어진 오리지널 시절에는 의무관이 없었다.[8] 매뉴얼에는 공생충 생성, 설정상 소환보다는 생성이 더 알맞다. 또한 여왕의 둥지에서 진화 명칭은 Spawn Broodling으로 s가 없는 미묘한 차이점이 있다. 이름은 공생충이면서 하는 짓은 영락없는 기생충이다. 이는 스2의 번역을 따왔기 때문인데 스2의 브루들링은 저그의 건물이나 무리 군주에 공생하고 있기 때문.[9] 게임 효과는 여왕의 최대 에너지량 증가, 초기 보유 에너지량 증가다.[10] 패러사이트의 사거리는 시즈탱크와 동급이고 반대로 인페스트의 경우 그냥 근접기술이다.[11] 이동속도가 무려 레이스, 뮤탈과 동일하며 저들과는 달리 시스템 상의 관성도 없어서 쏘고 바로 튈 수 있다 보니 오히려 짤짤이 효율은 그 뮤탈보다도 좋다.[12] 일단 비행유닛인 것도 그렇지만 중형이라 낮은 체력에 비해 은근히 안 죽는다. 또한 뮤탈과는 달리 뭉쳐서 쓰는 유닛도 아니다 보니 이레디를 맞아도 출혈이 크지 않은 편이다.[13] 이걸 적의 디텍터 유닛에 걸면 그 유닛을 통해 은폐 유닛들을 볼 수 있다.[14] 본래 14였다가 12로 하향되었지만 그래도 길다.[15] 비슷하게 그 자체로는 별 역할을 하지 못하고 스킬을 개발해야 하는 하이템플러나 디파일러는 플레이그와 사이오닉 스톰이 광역기인데다 디파일러는 컨숨, 하이템플러는 아칸 합체가 있지만 퀸은 그런 거 없고 추가스킬 역시 전투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16] 이런 점 때문인지 프로토스 프로게이머인 장윤철이 '퀸은 인스네어를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하게끔 적용시키고, 패러사이트는 업그레이드를 필수로 요구하도록 하면 사용하기 괜찮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17] 다만 이 쪽은 미묘한 편인데, 인스네어는 보통 광역으로 거는데, 메딕으로 이를 일일이 하나하나 푸는 것은 마법력 낭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18] 스타크래프트에서 자동 시전이 가능한 건 이 스킬과 메딕의 힐 뿐이다.[19] 참고로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도 모드를 전환할 때 각각 다른 유닛으로 치환되는 것이다. 이런 시스템의 증거는 캠페인 에디터로 무적 판정인 탱크 유닛을 만들어놓고 인게임에 들어와 모드전환을 하면 무적 판정이 사라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20] 핵을 조준할 때 은폐가 비활성화된 고스트를 핵을 조준하지 않는 다른 고스트와 함께 묶는다면 은폐가 되는 것과 비슷하다.[21] 시스템상 커맨드 센터 감염을 퀸의 공격 무기로 구현했기 때문. 자동 시전이 가능한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EUD를 사용하여 퀸에게 무기를 억지로 쥐어줘도 반피 이하의 커맨드 센터 이외의 유닛은 공격하지 못한다. 이는 퀸의 외형을 다른 유닛으로 바꿔도 마찬가지. 반대로 다른 유닛의 외형을 퀸으로 바꾸고 무기를 주면 정상적으로 공격이 가능하다.[22] 이런 스킬들은 아이콘 테두리에 「」와 같은 낫표가 없다.[23] 단 시즈 탱크 앞에서는 알짤없으므로 주의하자. 배틀의 경우도 어택땅만 찍어도 인페스트 커맨트 센터 따위 씹어버리고 유닛부터 공격한다.[24] 실제로 야전교범에서 나오는 감염충의 설정화에 배주머니가 있고, 실제로 거기다가 감염된 숙주를 저장한다고 서술하기도 했다.
파일:SC_FM_Infestor.jpg
[25] 이 설정의 일환으로 탄생된 유닛이 변형체이다.[26] 유닛 설명은 이렇게 되어 있지만, 사실 의무관의 회복(리스토레이션)으로 치료할 수 있다. 물론 이 설정이 만들어진 오리지널 시절에는 의무관 유닛이 없었다.[27] 단, 영웅 유닛은 패러사이트에 감염되더라도 테두리가 계속 하얀색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독으로 직접 해당 영웅을 선택해야 확인이 가능하다. 물론 유즈맵이 아닌 이상에야 의미는 없다.[28] 매뉴얼에는 공생충 생성, 설정상 소환보다는 생성이 더 알맞다. 또한 여왕의 둥지에서 진화 명칭은 Spawn Broodling으로 s가 없는 미묘한 차이점이 있다.[29] 용기병이 된 피닉스와 싸우는 퀘스트 미션에서 유저들이 전투 유닛으로 정정당당하게 싸워주기는커녕 공생충 원샷으로 피닉스를 허무하게 잡아댄 것을 패러디한 대사.[30] 물론 아래 실험영상에 나오듯 본래는 저그 건물에게도 통해야 함이 맞다.[31] 트랩이 나오는 시설 맵은 캠페인 한정으로만 사용된 맵인 관계로 누락된 것이다.[32] 심지어 퀸은 시즈 탱크보다 가격이 싸기에 시즈 탱크와 맞교환을 하면 할수록 저그에게는 자원상 이득이다. 심지어 브루들링 업그레이드마저 시즈모드 업그레이드보다 더 싸다.[33] 전투순양함의 체력도 체력이거니와 전투순양함을 방어하기 위해 스포어콜로니+다수 스커지를 뽑아야 하므로 저그 입장에서는 손해가 꽤 크다.[34] 특히 상대가 메카닉 테란 체제라면 효율성이 더 커진다.[35] 정확히는 테란이 다수의 사이언스 베슬로 방사선(이레디에이트)을 쓰는 컨트롤을 그대로 응용한 것이다.[36] 오리지널 저그 미션에서 감염된 케리건으로 나왔을때 한정. 테란 시절 케리건은 해당사항이 없다.[37] 브루드워 프로토스 마지막 미션 한정. 다크 아칸의 마인드 컨트롤로 적의 퀸을 포섭한 뒤 제라툴을 퀸의 브루들링으로 직접 죽일 수 있다.[38] 이쪽은 피닉스를 브루들링으로 죽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한 미션인데다 브루드워 저그 3번째 미션에서 아군으로 나왔을 때도 브루들링을 사용해 죽이는 것도 가능하다.[39] 브루드워 저그 7번째 미션 한정. 이때는 감염된 듀란이라는 영웅으로 나온다.[40] 그마저도 피닉스가 적으로 나온 미션에서만 가능하고, 피닉스가 아군으로 나온 저그 미션에서는 클리어를 위해 그를 절대 죽여서는 안된다.[41] 단, 저그 첫 번째 미션에서는 헌터 킬러들을 전부 잃게 되면 무조건 미션 실패 메세지가 뜬다.[42] 사실 컴퓨터는 즉사형 스킬은 영웅에게 직접 사용하지 않는다. 범위형 스킬도 마찬가지로 영웅 유닛을 직접 겨냥해서 사용하지는 않는다.[43] 다만 워크래프트 3에서는 영웅이 즉사 스킬에 허무하게 죽지 않도록 레지스턴트 스킨을 가지고 있다.[44] 정확히 말하자면 두 하이 템플러 중 나중에 생산된 하이 템플러에게 브루들링을 쏘면 합체 도중 터지고, 먼저 생산된 하이 템플러에게 브루들링을 쏘면 터지지 않는다.[45] 토르와 불멸자도 설정상 내부에 조종사(생체)가 있는 유닛이라 공생충을 피할 수가 없다. 다만, 토르의 경우에는 설정집에 따르면 공생충과 같은 침투형 스킬을 막기 위해 한 층 더 강화된 중장갑으로 무장되어있다고 설명한만큼 중장갑 안에 생체 유닛인 인간이 있다한들 공생충이 소용 없었을지도 모르지만, 정작 비슷한 침투계 스킬인 신경기생충신경지배엔 얄짤없이 뚫린다는걸 생각해보면 반드시 소용없을거라는 보장은 없다.[46] 스타 2의 인터페이스라 다수 유닛을 지정해도 스킬을 한 마리씩에게만 사용하기 때문에 윗 문단처럼 유닛을 부대 지정하여 빼는 컨트롤도 필요없게 된다. 이런 이유로 스타1의 저그가 스타2의 테란 메카닉 유닛 사용을 봉인시켜 버리게 된다.[47] 퀸이 워크래프트 3 타종족과 다르게 휴먼 상대로 너무 힘을 못쓰는 이유는 언휴전 정석 체제인 플머도 끼여있기 마련이라 브루들링은 커녕 플랙 캐논 업그레이드라도 하는 날엔 퀸들이 다 터져나간다. 나이트플머 안쓰더라도 스타1의 저그가 퀸을 적극적으로 쓰는게 보이면 곧바로 언데드 대하듯이 휴먼은 그리폰 체제로 전환해 버린다.[48] 윈드도 섞여있으면 요주의 대상이다.[49] 비비면서 독을 묻히는 역할이므로 뒤늦게 어보미를 브루들링으로 잡아봤자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50] 피전트는 금광에 왔다갔다하며, 피언은 오크 진지로 대피할 수 있고, 위습은 나무에 있지 않는 한 금광 내부에 있는데다가 생체가 아니라 정신체이기 때문에 브루들링 스킬이 통하지 않는다.[51] 리마스터 파멸충의 역병(플레이그)과 색만 다른 동일한 이펙트[52] 쉽게 소스 코드를 설명하자면, 내부적으로 공격 속도와 이동 속도 파라미터에 단계가 있는데 기본 유닛은 0단계고 이동 속도와 공격 속도가 증가한(스팀팩, 아드업 저글링 등) 유닛은 +1단계로 친다. 속박은 이 단계를 -1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그러므로 이동 속도, 공격 속도가 기본 상태보다 증가한 유닛은 다시 0단계가 되어 기본상태로 돌아가버리는 것. 0단계에서 -1단계가 되는 유닛은 이동 속도는 50%, 가속력 및 회전률은 25%가 된다.[53] 속업 벌처, 질럿, 셔틀, 옵저버, 스카웃, 저글링, 오버로드, 히드라리스크, 울트라리스크, 러커(러커는 기본으로 이동속도가 업그레이드 되어있다는 판정)[54] 측정값 참조 링크, EUD 터보와 오프셋 구조를 통한 EUD 활용으로 공격 쿨다운 인식 알고리즘[55] -1, 0, 1, 2 중 랜덤으로 선택한 값 만큼 공격 주기가 늘어남[56] 실제로 이제동이 이런 식으로 정명훈을 한 경기에서 세번이나 잡아버린 전적이 있다.[57] 베슬 1기의 가스비용이 퀸 2기보다 더 많이 나가며 생산속도도 퀸이 베슬보다 빠르다.[58] 그래서 최근 테란들은 투스타를 하더라도 레이스를 최대 8-9기 정도만 생산한다.[59] 여기에 디바우러의 애시드 스포어까지 추가하면 연두색, 빨간색, 보라색이 함께 뒤섞이게 된다.시각적으로 아름답다[60] 2009년 7월 8일, 퀸의 아들큰 코 다치게 한 승리가 좋은 예. 이론적으로는 저저전에서 뮤탈 대전이 벌어질 때 인스네어 1방이면 엄청난 효과를 거둘 수도 있지만 저 상황에서 퀸 테크 + 인스네어 업그레이드까지 찍을 여유가 없으니 문제다. 그래서 실제로 튀어나오면 명경기다. 이 전술을 이용한 경기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1라운드 4주차 홍진호 VS 이제동.[61] 대표적으로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A조 1경기 정명훈 vs 어윤수33분 14초부터.[62] 게다가 잃은 마나는 시간이 지나면 다시 차오른다.[63] 골리앗은 이동속도만 느려져서 도주와 무빙샷을 막는 정도라 효율이 떨어진다. 여담으로 바이오닉일 경우엔 인스네어가 마린의 스팀팩을 무효화하므로 효율이 좋다.[64] 생메카닉이면 엔베 다수 짓기 힘들다.[65] 레이트 메카닉이면 배럭 몇기 제외하고 전부 띄우고 본다.[66] 질럿 2기를 그냥 내다버리는 것과 같다.[67] 웬만하면 옵저버 보이면 바로 격추시키는게 보통이기 때문에 그런 상황은 자주 나오진 않는다.[68] 하템에 대응할 브루들링도 좋지만 문제는 투사체여서 토스가 브루들링 눈치챘다면 하템을 셔틀로 즉시 싣고 다니면 그만이므로 에너지 150을 허공으로 날리는 꼴이 된다.[69] 다만 AI의 퀸도 아무 유닛한테 막 쓰진 않는다. 주 타겟이 되는 유닛이 정해져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브루들링 문서를 참조.[70] AI가 오버로드를 운용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설정의 영향을 받은 듯한 행동을 보인다. 오버로드가 휘하 병력을 지휘하는 설정을 반영한 듯 굳이 디텍터가 필요없는 상황에도 친히 저그 병력들과 함께 행차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71] 마린 같은 값싼 유닛도 브루들링한다.[72] 스크립트 상 빈도는 1/256 정도이다.[73] 메카닉 대처법으로 퀸이 정석이나 다름없던 시절 정명훈이 EMP로 퀸 부대를 단번에 무력화시켜 그대로 이긴 경기가 나온 이래 동네 테란들도 퀸이 보이면 EMP를 누르는 경우가 잦아졌다.[74] 그래서 레이트 메카닉에 사이언스 베슬말고도 메딕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메딕은 브루들링으로 잡아봤자 오히려 테란 입장에선 땡큐이고 오버로드로 들이대자니 골리앗에게 맡기면 되고 장님에 걸린 퀸은 단독으로 시즈 탱크에 브루들링 쓰기가 어려워진다.[75] 1부대 12마리=1800 미네랄/1200 가스, 2부대 24마리=3600 미네랄/2400 가스.[76] 레이스 생산 시간도 60초라 일시에 잃으면 다시 모으기가 매우 힘들다. 단지 같은 비용으로 탱크 12기나 24기를 뽑는 효율만큼 활약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실전에서 탱크보다 덜 보이는 것이다.[77] 인스네어의 경우 난전 중에 다수가 걸리면 하나하나 일일이 풀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저그 기지 안이나 지상유닛이 갈 수 없는 지역에서 걸리면 꼼짝없이 당해야만 한다. 그렇다고 메딕들과 함께 다니면 기동성을 전혀 활용하지 못해 레이스를 운용하는 의미가 퇴색된다. 설령 메딕과 레이스가 서로 가까이 있었다고 해도 리스토레이션 업이 미리 되어있어야 효과를 보며, 그렇다고 해도 하나하나 풀어주면서 메딕이 인스네어 걸린 레이스의 갯수x50만큼 마나를 잃기 때문에 이딴 행동을 하는 것도 저그의 이득이다. 괜히 입스타라고 불리는 게 아니다.[78] 탱크는 공중을 전혀 때릴 수 없으니 공대지가 가능한 공중 유닛이라면 뭐든지 시즈 탱크의 카운터가 될 수 있지 않느냐고 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카운터라는 건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성 우위에 있다는 걸 의미한다. 가디언 같은 경우 긴 사거리로 탱크만 안전하게 저격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워낙에 이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탱크를 잡았다 치더라도 뒤이어 오는 사이언스 베슬이나 골리앗에게 저격당하기 쉽다. 반면 퀸은 빠른 이동 속도와 긴 사거리 덕분에 탱크만 저격하고 자신을 잡으러 오는 유닛들로부터 빠르게 도망칠 수 있다. 게다가 스킬을 일단 시전하면 탱크가 뭔 짓을 해도 무조건 죽는다.[79] 거기다 사이언스 베슬로 뭉쳐있는 퀸을 찾아서 EMP를 쏘는 것도 쉽지 않은데 우선 저그 유저들은 퀸을 본진 구석에 안전하게 두어 마나를 채우기 때문에 거기까지 기동성이 느린 베슬이 찾아가는 것부터 고난이며 저그는 맵 시야 장악 능력이 3종족 중 최강이기에 베슬이 겁없이 혼자 돌아다녔다가는 바로 들켜서 쫓아오는 스커지에게 격추당하기 때문이다. 거기다 메카닉 테란 체제에서는 베슬 1기 1기 터지는 것이 뼈아프기에 함부로 베슬을 원정 보내는 건 어렵다.[80] 한 때 대 저그전 메카닉이 크게 유행했으나 이후 다시 SK테란으로 돌아가게 만든 유닛이 바로 퀸이다. 대 저그전 메카닉에 대항한 퀸드라 전략이 제대로 먹혔기 때문인데 탱크 없는 골리앗과 벌처는 히드라리스크 부대에게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81] 하지만 컴퓨터 AI의 경우 마우스로 타겟팅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건물 아래의 시즈 탱크에게도 브루들링이나 패러사이트 시전이 가능하다.[82] 플레이그로 발악할 수 있긴하다.[83] 대공이 안되는 파이어뱃, 벌처, 시즈 탱크는 해당 사항 없으니 주의하자.[84] 단 디파일러도 커맨드 센터에 의해 컨슘을 쓰기 힘든것도 유의하자.[85] 커세어 다크 체제일때 다크 아칸까지 합체해도 되겠지만 지상 유닛 견제할 만한 유닛인 다크 템플러 두 기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이므로 프로토스 입장에선 손해를 보게 된다.[86] 있다면 인스네어로 에너지 소모해서 75 맞춰놓고 해야한다.[87] 비행체 갑피 진화 당 +1, 최대 3[88] 유닛에게 탐지기 기능을 부여해주는 스킬. 이 때문에 감시군주가 삭제된 일이 있었다.[89] 조종수가 생명체인 전차, 골리앗, 용기병 등.[90] 지상 개체와 달리 사이오닉 속성도 없다. 다만 이후 협동전에서 아몬의 세력으로 등장하는 무리 여왕은 사이오닉 속성이 추가되었다.[91] 차량 및 우주선 장갑 업그레이드 당 +1, 최대 3[92] 이는 일반 공성 전차에 업그레이드로 능력을 붙이는 두 사령관의 전차와 달리 나머지 전차는 데이터상으로 다른 유닛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