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9 19:19:46

가스통 바슐라르

바슐라르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 네그리 · 바디우 · 가라타니 · 지젝 · 피셔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루이스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퍼트넘 ·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차머스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위너 · 매클루언 · 엘륄 · 비릴리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정치철학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카스토리아디스 · 슈클라 · · 노직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호페 · 킴리카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슈미트 · 에볼라 · 스트라우스 · 푀겔린 · 오크숏 · 랜드 · 아롱 · 커크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두긴
윤리학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싱어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인식론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골드만
법철학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종교철학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베유 · · 지라르 · 닐슨 ·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color=#fff><colbgcolor=#000> 가스통 바슐라르
Gaston Bachelard
파일:가스통 바슐라르.jpg
본명 가스통 루이 피에르 바슐라르
Gaston Louis Pierre Bachelard
출생 1884년 6월 27일
프랑스 제3공화국 바르 쉬르 오브
사망 1962년 10월 16일 (향년 78세)
프랑스 파리
국적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모교 파리 대학교
직업 철학자, 역사학자
서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SignatureGastonBachelard.jpg

1. 개요2. 생애3. 사상4. 영향5. 여담

[clearfix]

1. 개요

프랑스철학자, 역사학자. (현대적 의미에서) 프랑스 과학철학의 창시자로서, 가장 중요한 현대 철학자 중 한 명이다.

고등학교를 마친 뒤 우체국에서 일하면서 독학으로 이공계 대학 수준의 공부를 마쳤다고 한다. 고향에서 과학 교사로 있었던 적도 있으며, 상대성 이론의 발표를 계기로 철학 쪽으로 관심을 돌려서 36살에 학사 학위를 받았고, 계속해서 박사 학위까지 취득했다. 대학에 적을 두기 전에 이미 독학으로 많은 공부를 한 케이스이다.

현재 프랑스 및 유럽 철학의 주된 두 가지 흐름인 현상학과학철학 중 과학철학 분야를 개척한 인물로서, 그의 과학철학은 기존의 실증주의적 과학철학과는 다르다. 그의 철학은 지금까지 인간이 해 온 '과학'적 행위에 대한 반성과 함께,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억압되어왔던 인간의 상상력이 오히려 인류(또는 과학)의 발전에 기여해왔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특히 인터넷)에서는 라캉철학 등의 등쌀에 밀려 듣보잡 취급 내지는 들어보지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가 프랑스 철학의 선구자인것도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단 연구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는데다가 거의 모든 이들이 미학자로 취급하고 있는 상황.

오히려 그의 철학의 일부분을 이용한 것에 불과한 포스트모더니즘 계통의 철학자들만이 현대 프랑스 철학의 대표자인 양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것을 프랑스 현대 철학의 주류인 줄 알고 공부한 학생들이 프랑스에 가서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가스통 바슐라르의 과학철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제껏 흔히 접해온 과학철학 서적과 확연히 다른 그의 스타일에 적응이 잘 안 될수도 있다. 문학과 과학을 오가며 업적을 쌓은 인물이라서 그렇다.

사실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 책을 구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것. 그래도 2021년 시점에서는 구할 수 있는 책들이 존재하는 편이다. '불의 정신분석', '물과 꿈' 등등 4원소설을 테마로 한 저작들이 팔리고 있는데, '상상력의 과학철학자'인 바슐라르에 대해 잘 알지 못할 경우에는 이거 과학책이 아니라 신비주의 서적 아니냐는 선입견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엄연히 문학과 과학철학 양쪽을 모두 포괄하는 책들이니 그 책으로 시작해도 무방하다.

다만 본격적인 과학철학 서적인 '새로운 과학정신'이나 '부정의 과학', '현대물리학의 합리주의적 활동' 같은 책들은 모두 절판이고 중고책으로도 구하기 어렵거나 매우 비싸게 구할 수 있는 실정이다. 재출간이 되지 않는 이상 도서관 신세를 지는 수밖에 없다. 원서는 프랑스어라서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도 문제. 그나마 영어로 번역이 된 책들이 몇권 있으니 영어로 구해서 보는 것도 방법이다.

2. 생애

프랑스 바르쉬르오브에서 출생하여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파리의 우체국 직원으로 일하며 28세 되는 해에 수학 학사 자격증을 독학으로 취득한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제대한 후 35세에 고향 마을 중학교의 물리·화학 교사로 재직한다. 36세에는 역시 독학으로 철학 학사 자격증을 얻고 38세 되는 1922년에는 철학 교수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같은 중학교에서 철학도 가르치게 된다.

그리고 43세가 되던 해인 1927년에 소르본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해에 디종 대학에서 문과대 교수로 임용되어 철학(과학철학)을 가르치게 된다. 1940년 소르본 대학에 초빙되어 과학사·과학철학을 강의하는 한편 부속 과학기술사연구소장을 지냈으며, 1954년 명예교수가 되었다. 1962년 사망할 때까지 과학철학과 미학(상상력)연구에 대한 많은 업적을 남겼다.

3. 사상

국내에서는 일명 '몽상의 미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미학자 및 시학자, 문학비평가로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그는 프랑스 특유의 과학철학을 창시한 인물이다. 그의 초기 저작인 "새로운 과학적 정신" Le nouvel esprit scientifique,1934이나 "과학적 정신의 형성" La formation de l'esprit scientifique에서 볼 수 있는 그의 사상은 새로운 과학의 발전을 목격한 그가 새로운 과학의 시대에 맞는 새로운 철학을 모색하게 된 것에서 시작한다. 그의 첫 시도는 미학적 탐구와는 거리가 있는, '과학적이지 않은 사항에 대한 탐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과학사를 연구하는 철학자로서 그는 '과학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 오히려 현대 과학에서 전혀 잘못되었거나 극히 일부분에서만 인정하고 있는 학설(천동설, 용불용설 등)들이 소위 '과학적'인 이론으로 신봉되었던 역사에 주목하여, '왜 이렇게 잘못 생각해 왔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는 오류를 빚어내는 원인이 인간 심리 속에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그에 따라 인간의 주관성에 의심을 던지기 시작한다. 인간의 과학적 탐구의 역사에는 현재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수많은 오류들이 발견되고 있다. 바슐라르는 이 오류들에 관심을 가지고, 무엇이 그러한 오류를 낳게 되며, 그러한 오류의 교정은 가능한가 하는 화두를 던지게 된다. 그 의도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순수 사고'는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그의 입장은 앙리 베르그송 같은 선대 철학자가 주장한 시간의 연속성이라는 것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의 저작인 "불의 정신분석" La psychanalyse du feu 에서 그는 인간의 시간이란 비연속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쌓여가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마다 이성과 상상력을 가지고 세계에 대항하여 싸우는 존재로 파악했던 것이다. 그러한 대결을 통하여 순간순간 창조해가는 것이며, 그런 과정에서 탄생한 것이 과학이라는 것이다.

그의 과학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인 '인식론적 단절'이란 이러한 의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과학사가 흔히 생각하듯 인간의 지식의 축적에서 그 진보가 이루어진다는 실증주의의 입장에 반대하여, 과학사에서 나타나는 커다란 혁명들은 불연속적인 것이라 주장하였다. 그는 기존의 이론들이 발전한 결과로 새로운 과학 정신이 연속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각각의 단계에는 단절이 있다고 생각하고 전혀 다른 새 패러다임 안에서 세계를 바라봄으로 다른 과학이 탄생하였다고 보았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는 새로운 과학 정신이 이전의 과학 정신을 일정한 조건 안에서만 옳다는 부분적 진리로 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러한 새로운 과학적 지식의 등장이 이러한 '감싸기'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과학 정신에 포용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학 지식 자체가 객관적이며 절대적이라는 사항에 반대하여, 소위 객관적인 사실로 믿어지던 과학적 지식에 대해 앞서 설명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관점에 따라 "의문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더욱 객관성에 근접한 과학 지식이 탄생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객관성은 목표이지 현상이 아니다. 다시 말해 객관적이라 여겨지는 것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과학의 목표라 할 수 있는 실제적인 객관성에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합리론과 유물론의 통합을 가져왔으며, 인간의 이성이란 존재하지만, 또한 그러한 이성과 만나지 않은 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도 없다.[1] 하지만 이성 또한 순수한 형태란 없고 항상 대상과 관련을 맺는 능동적인 것이라고 설정하는 응용합리주의의 태도를 세우게 된다.

이러한 과학 정신을 단절시키는 오류를 범하게 하는 것에 대한 탐구에서, 바슐라르는 인간의 원초적 경험, 친숙한 이미지나 언어의 친숙한 의미, 역사적 상황이나 정서에 뿌리를 둔 확실치 않은 사고 등을 '인식론적 방해물'로 설정한다. 이러한 경향과 태도들에 의해 인간은 오류를 범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론적 방해물의 원흉은 '몽상에서 비롯된 시적인 이미지'이다.

이러한 시적인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그것을 제거한 말 그대로의 '순수한 과학정신'의 가능성을 탐구하겠다는 과정에서 나온 저작이 앞서 언급된 "불의 정신분석" La psychanalyse du feu으로, 인간의 의식 내면에서 과학 정신(합리적인 사고, 또는 사고의 객관성)이 아닌 인간의 주관성을 탐구한 책이다. 이 책에서 그는 의식 활동으로서의 상상력의 가치를 탐구하고 있다.

그는 상상력을 정신분석학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무의식적인 행동이 아닌 의식 활동의 중요한 면으로 보았으며, 인간 의식의 고유한 자율적 활동으로 보았다. 상상력은 창조적 현실성을 가진 인간 심리의 또 다른 활동으로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상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객관성이라는 인간 의식의 한 측면과 인간의 정신적, 윤리적 행복과의 사이에서 조율하는 중요한 존재로서, 인간의 합리화/객관화/과학화만을 중심으로 달려온 서구의 문명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4. 영향

현대 프랑스 철학계의 선구자로서 그의 영향력은 엄청난 수준이다. 바슐라르의 '인식론적 단절' 개념은 이후 토머스 쿤패러다임 전환 이론의 기초가 되었으며, 그의 수제자인 루이 알튀세르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미셸 푸코 등의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들 역시도 그의 인식론에 기대고 있는 측면이 있다. 라캉철학에서도 그의 몇 가지 개념을 가져다가 재해석을 하여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그의 상상력에 대한 연구 유산은 질베르 뒤랑에 의해 새롭게 정립되어 상상계를 인류학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영화감독 아녜스 바르다가 대학생 시절 바슐라르를 사사한 적이 있다고 한다.

5. 여담


[1] 한마디로 이성을 통해 물질이 인식된다.[2] 알튀세르는 1948년 헤겔 철학 전반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 논문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