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23:16:33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호 ~ 제100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100호 101~200호 201~300호 301~400호 401~500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501~600호 601~700호 701~800호 801~821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지정번호제 폐지 이후
폐지 이후 목록 }}}}}}}}}


1. 개요2. 제1호 ~ 제10호3. 제11호 ~ 제20호4. 제21호 ~ 제30호5. 제31호 ~ 제40호6. 제41호 ~ 제50호7. 제51호 ~ 제60호8. 제61호 ~ 제70호9. 제71호 ~ 제80호10. 제81호 ~ 제90호11. 제91호 ~ 제100호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의 목록이다.

2. 제1호 ~ 제10호

3. 제11호 ~ 제20호

파일:과기대 다산관.jpg파일:DASAN_HALL_STELA.jp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전경 다산관의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표지석
파일:CHANGHAK_HALL.jpg파일:CHANGHAK_HALL_SIGNBOARD.jp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학관 전경 창학관의 등록문화재 현판
파일:external/architecture.kunsan.ac.kr/1032527094.jpg
과거 도청 시절의 전라남도청 본관

4. 제21호 ~ 제30호

5. 제31호 ~ 제40호

6. 제41호 ~ 제50호

파일:attachment/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호 ~ 제100호/imshi.jpg
파일:연천역급수탑1.png파일:연천역 급수탑_1.jpg

7. 제51호 ~ 제60호

8. 제61호 ~ 제70호

9. 제71호 ~ 제80호

제66호부터 제75호까지는 과거 한센병환자들의 수용소로 사용되면서 관련된 시설들이었다. 섬 곳곳에 흩어져 있을 뿐더러 아직도 치료를 받고 있거나 살고 있는 한센병 병자들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일부러라도 찾아 가는 일이 없도록 하자. 자세한 건 소록도 문서 참조.

10. 제81호 ~ 제90호

덕수궁 내에 있는 이 3개의 등록문화재는 덕수궁 전체가 사적 124호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복 등록 논란이 있었고, 결국 등록문화재에서 해제하고 사적으로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11. 제91호 ~ 제100호



[1] 구 청주상업고등학교[2] 굵은 글씨가 들어간 이유는 국가문화유산포털에 적혀 있는 주소지는 존재하지 않다는 것![3] 이 외에도 초기에 지정되었던 상당수의 국가등록문화재의 명칭들이 많이 바뀌었다.[4] 현재 문화재 명칭은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5] 해당 건물 역시 야인시대에서 많이 등장하는 장소이긴 하지만, 해당 드라마의 주 무대로 우리들이 잘 아는 우미관하고는 다르다.[6] 서울시민회관 별관 시절 옆에 위치한 본관에서 1972년 화재가 발생,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낸 참사로도 악명이 높았다.[7] 여담으로 과거(적어도 1970년대 이전) 사진과 현재의 모습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건물 앞의 태평로(현 세종대로)의 확장으로 인해 일부 부분이 철거되었다고...[8]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철거 전후 모습을 볼 수 있다.[9] 자세한 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서의 2.1문단 참조.[10] 학교가 서 있는 위치가 상술한 옛 전남도청 본관 길 건너편으로 학교 바로 옆에는 지금은 주차장이지만, 2010년 이전에는 광주여자고등학교(현재는 서구 화정동)가 자리했었다.[11] 다만, 현재 백마고지역경원선 개량 및 전철화 사업 등의 이유로 임시 운영 중단 상태이기 때문이므로, 방문을 하려면, 동송시외버스공용터미널을 이용해서 와야 할 것이다.[12] 육군사관학교1기 생으로 졸업 하였으며 당시 국군 7사단 5연대 연대장이 였다. 1950년 덕천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같은 수용소에서 있던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소 경비들이 그를 수용소에 수감 되어 있던 국군 고급 장교들을 소달구지에 함께 실려간 이후엔 행방이 묘연하다고 한다. 슬하엔 1남이 있다고 전해진다.[13] 다만 해당 문서 2번 항목에 나와있다시피 중앙정보부의 해외 파트 청사로 사용되면서 엄청나게 훼손이 되었다. 1995년에 현재의 내곡동으로 이전할 때까지.[14] 의릉 주 능선(홍살문~정자각~능침)에서 한참 벗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