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5:35:07

경상남도청

경남도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북부청사
강원특별자치도청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이북5도청 }}}}}}}}}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청
慶尙南道廳 | Gyeongsangnam-do Provincial H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경상남도청.jpg
본청
서부청사
}}}
<colbgcolor=#f15a38><colcolor=#fff> 슬로건 활기찬 경남, 행복한 도민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봉림동) (본청)
경상남도 진주시 월아산로 2026 (초전동) (서부)[1]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광역시도 경상남도
직원 수 1,450명[2]
예산 12조 1,007억 원 (2023년)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완수 (초선)[3]
부지사 박명균 (행정)
김명주 (경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
2.1. 근대2.2. 현대2.3. 서부청사2.4. 도청 진주 환원 요구
3. 조직
3.1. 휘하 시/군청3.2. 산하기관
3.2.1. 지방공기업3.2.2. 지방출연기관3.2.3. 지방출자기관
4. 역대 도지사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본청5.2. 서부청사
6. 여담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경상남도청_(3x2).jpg
파일:경상남도 서부청사_3x2.jpg
경상남도청 경상남도 서부청사

경상남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경상남도청 본청 바로 맞은 편에는 경상남도의회가 자리잡고 있다.

경상남도청 본청은 창원시에 위치해 있으며 경상남도 서부 청사는 진주시에 위치해 있다.

2. 연혁

2.1. 근대

파일:external/www.gnnews.co.kr/img_224241_2.jpg

1896년 경상도으로 나누면서 이후 1925년 3월까지 진주에 최초의 경상남도청이 설치되었다. 도청 건물이 있던 곳은 현 진주시 남성동 73-10-11번지. 지금의 진주성 안쪽으로, 이곳에 최초의 경상남도관찰부청사가 설치되었으며 당시 건물의 명칭은 선화당이였다.
파일:external/cms.donga.ac.kr/im_20140422.gif

도청이 진주에 있던 시절 동래부는 흔한 경남의 소도시였지만, 부산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점점 큰 도시가 된 데다 항구를 끼고 있어 대륙 진출에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찍부터 도청을 부산으로 옮겨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 대한제국 시대인 1909년 경남관찰사 황철이 도청을 교통이 불편한 진주에서 부산으로 옮겨야 한다고 최초로 문제제기를 했는데, 이를 안 진주 주민들이 그해 6월 촉석루에서 모여 관찰사에게 몰려가 항의해서 사죄를 받아냈다. 일제강점기 들어 일본인 도장관 가가와 데루(香川輝)도 부산 이전을 총독부에 건의했는데 진주 주민들이 촉석루에서 긴급 시민대회를 개최해 무산되었다.

1920년대 들어서 그동안 부산과 진주의 규모나 교통인프라 격차는 더욱 벌어졌고, 미온적이던 총독부도 도청 부산 이전을 결정했다.[4] 이번에도 진주를 포함한 경남 서부 주민들의 민란을 방불케하는 격렬한 반대[5]에 부딪히게 되었다. 결국 당시 자혜병원 건물로 짓고 있던 건물을 돌연 도청 청사로 용도변경하는 꼼수를 쓴 끝에 1925년 4월 1일 부산부 부민동으로 도청을 이전하였다.

2.2. 현대

해방 이후에도 부산의 중후한 서양식 벽돌건물 청사는 도청으로 기능했고, 6.25 전쟁 때는 북한군에 점령당한 서울중앙청 대신 임시수도 정부청사가 입주했다. 이 시기 경남도청은 관내 다른 건물로 잠시 이동했다. 이 건물은 경남도청이 이전한 이후에는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검찰청으로 사용되다가 부산지법과 부산지검의 거제동 이전 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으로 쓰고 있다.[6]

1963년부터 경남 부산시는 내무부 직할 부산시로 승격되어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었고, 1981년에 정식으로 '부산직할시'의 명칭을 얻었을 때는 경상남도 행정에서 분리된 지 20년 가까이 된 시점이었다. 이에 진주시는 다시금 도청을 품고자 경남도청의 진주환원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고, 여기에 경쟁자로 나타난 도시가 바로 마산이었다. 1900년대 초부터 부산과 함께 부(府)로 승격된 이래 일제강점기부터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경남의 새로운 대도시로 떠오른 마산은 강력한 후보지였다.

일제강점기 시기에 진주의 도청 이전 때 호전적인 반대운동을 보여준 진주시민과, 전투민족으로 유명한 마산시민간의 도청 이전을 두고 벌이는 각축전은 살벌했다. 같은 경상남도 산하 도시임에도 영호남 지역갈등을 연상케하는 진주 출신 국회의원 회사 물건 쓰지 말기 운동이나 마산에서 만든 술 마시지 말기 등의 사소한 분야까지 파고들게 되었다.



그렇게 진주와 마산이 이렇게 서로의 자존심까지 내려두고 격렬히 싸웠지만 정작 승자는 이 싸움과는 전혀 상관없던 신흥 공업도시인 창원시가 어부지리로 되었다. 1983년 창원시에 도청이 유치되었다. 다만 통합까지 이어진 마산과 창원의 긴밀한 관계로 미뤄볼 때 사실상 마산이 이겼다고 봐도 무방하다.[7]

2.3. 서부청사

파일:경남서청사 조감도.jpg
파일:경남도청 서청사.jpg

2015년 12월 17일진주의료원 건물에 경상남도 서부청사가 개청하였다. 진주에서는 1925년 이후 90년 만의 도청의 귀환이라고 하며 환영하고 있다. 그런데 출장소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지 않은 탓에 서부청사를 출장소로 보아야 할지 단순한 도청의 별관으로 봐야 할지 논란이 있다. 결국 경상남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의 제12조와 경상남도 청사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조례의 제3조를 개정하여 서부청사를 도청의 별관으로 처리하였다. 일례로 도청 조직도에서도 서부지역본부는 본청의 소속으로 되어있다. 도의 제2청사를 출장소가 아닌 본청으로 하는 사례는 경기도에 이어 두번째이다.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 문서에도 나온다.

2.4. 도청 진주 환원 요구

2022년부터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창원시에 100만 대도시 특례가 부여되면서, 진주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에서 진주로의 도청 환원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특례시는 광역시처럼 별개의 광역자치단체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광역시 승격으로 발생하는 비효율을 배제하면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되는 제도이므로 이들의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8] 또한 경상남도 인구와 도의회 의석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창원시의 위상을 고려하면 도청사 이전은 현실성이 없으며, 설사 창원시가 광역시 승격으로 분리되어 나간다고 하더라도 혁신도시를 이미 차지한 진주시가 도청신도시까지 가져가도록 다른 지자체가 방관하고 있을 가능성은 전무하다. 창원시의회에서는 물론 가당치도 않은 소리라 반발하면서 서부청사 창원 복구를 주장하는 등 반격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이 단체를 주도하고 있는 인사가 지난 지방선거에서 단체장에 출마하여 낙선한 것을 들어 ‘선거용’ 포석일 수도 있다는 정치적 해석도 제기하고 있다. 기사

3. 조직

해당 홈페이지로.

3.1. 휘하 시/군청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자치시
파일:거제시 CI_White.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_White.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_White.svg
사천시
거제시청 김해시청 밀양시청 사천시청
파일:양산시 CI_White.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_White.svg
진주시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도청
파일:통영시 CI_White.svg
통영시
양산시청 진주시청 창원시청 통영시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군
파일:거창군 CI_White.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_White.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_White.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_White.svg
의령군
거창군청 고성군청 남해군청 산청군청 의령군청
파일:창녕군 CI_White.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_White.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_White.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_White.svg
합천군
창녕군청 하동군청 함안군청 함양군청 합천군청 }}}}}}}}}}}}}}}

3.2. 산하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15a38><colcolor=#fff> 지방공기업 경남개발공사
지방출연기관 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 경남신용보증재단 | 경남연구원 | 경남테크노파크 | 경남로봇랜드재단 | 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 |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경상남도마산의료원 |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경상남도장학회 |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 | 경상남도관광재단 | 경상남도여성가족재단 | 경상남도투경제진흥원 |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원
지방출자기관 경남무역
}}}}}}}}} ||

3.2.1. 지방공기업

3.2.2. 지방출연기관

3.2.3. 지방출자기관

4. 역대 도지사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병규
제2대
김철수
제3대
문시환
제4대
양성봉
제5대
이상룡
제6대
김규진
제7대
신도성
제8대
이기주
제9대
정종철
제10대
이기주
제11대
최갑중
제12대
양찬우
제13대
이계순
제14대
이기수
제15대
김효영
제16대
정해식
제17대
강영수
제18대
조병규
제19대
김성주
제20대
최종호
제21대
이규효
제22대
김주호
제23대
조익래
제24대
최일홍
제25대
김원석
제26대
윤한도
제27대
김혁규
제28대
안명필
제29-31대
김혁규
제32·33대
김태호
제34대
김두관
제35·36대
홍준표
제37대
김경수
제38대
박완수
파일:경남슬로건.jpg
경상남도지사 권한대행
}}}}}}}}} ||



경상남도지사 문서로.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본청

5.1.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경남도청/경남도의회/병무청/도립미술관(108905·108906·108915·108916·119128·119129) ||
창원시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급행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김해시 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

5.1.2. 철도

5.2. 서부청사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경상남도청서부청사(39020)
경남서부보훈지청 방면
||
진주시 시내버스
통학노선
경상대권역
진양호권역
이현동권역
도심순환

6. 여담

도청 내부에는 정원이 있으며 또 경상남도 모양의 호수가 있다. 그리고 도청 외부에는 정문 앞에 공원이 있는데 봄에 방문하면 벚꽃이 핀 나무들이 줄줄이 있어서 경치 감상을 할 때 장관을 연출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경남도민들뿐 아니라 외지인들도 많이 방문하며 특히 봄 때가 되면 제대로 즐기고 갈 정도다.

지금의 경상남도청 자리는 풍수지리상으로 창원에서 손꼽히는 길지라고 한다. 그래서 새로 자동차를 사면 도청 앞 사거리에서 목욕재계를 드리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15a38><colcolor=#fff> 기관 경상남도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시·군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대로 · 경상남도의 지방도
대중교통 동남권 광역전철 · 경남 도시철도 · 버스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과학고 · 과학중점고 · 외국어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시설 병원 · 공공도서관 }}}}}}}}}


[1] 홍준표 전 지사 시절 진주의료원을 폐원하고 그 부지에 설치하였다.[2] 국가직 공무원 제외.[3] 민선 8기.[4] 비슷하게 최대 도시와 기존 도청소재지가 따로였던 충청남도청, 평안북도청의 이전도 같은 시기 논의되었다.[5] 시위나 반대성토대회는 양반이고, 아예 시청 건물에 대한 테러와 지사관사까지 포위하여 반대의 뜻을 밝힌 무리도 있었다고 한다. 서부경남에서 모은 청원서가 1천장에 달했고 청원서에 연서한 사람은 1만 명 이상이었다. 경성의 총독부에 진정위원 수십명을 보내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직접 만나 항의했고 일제의 수도 도쿄에도 진정위원을 파견했다. 거의 지역구로 3.1 운동에 버금가는 큰 시위가 벌어졌다. 비슷하게 공주도 충청남도청 이전 당시 조선인과 일본인 모두 격렬하게 반대했기 때문에 야반도주하다시피 대전으로 이전했다.[6] 참고로 부산고등법원은 사진의 왼쪽에 보이는 회색 건물에 있었다. 현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7] 당장 역사적으로도 같은 창원군에 속해 있었고, 옛 창원시의 기원도 창원공업단지 건설을 위해 설립된 마산시 창원출장소를 모체로 한다. 통합 이전에도 양 도시간에는 시내버스를 공동 운행할 정도로 시내버스 노선 체계를 함께 공유했으며, 택시 요금 할증을 받지 않거나 전화요금도 시내요금으로 취급하는 등 사실상 한 도시였다. 그렇기 때문에 마창진 통합을 이룩할 수 있었다.[8] 특례시 제도의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일본의 정령지정도시들의 사례를 보면 정령지정도시 지정 이후에도 기존의 광역자치단체 청사가 이전한 사례가 없다. 광역시 승격과 함께 도청신도시를 만들어 행정중심지와 생활권 중심지를 분리시켜 왔던 한국의 지방행정제도는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지금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