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5:56:47

김장환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59
제임스 밴 플리트
군인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1969
조동식
교육인
1969
곽상훈
독립운동가, 국회의장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국회의장
1970
이상백
독립운동가, 사회학자
1970
이은상
시인, 역사학자
1971
유일한
기업인
1973
박두병
기업인
1974
박태준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79
김연수
기업인
1979
주요한
문학가, 언론인, 정치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0
김홍일
군인, 독립운동가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5
이항녕
법학자
1987
이병철
기업인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1988
정주영
기업인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4
고형곤
철학자, 교육인, 정치인
1994
문병집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1996
정범모
교육인
1997
박성용
기업인
1998
고흥문
국회부의장
1998
주영하
교육인
2000
이건희
기업인
2001
송건호
언론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2004
고병익
역사학자
2004
이기백
역사학자
2004
유봉식
기업인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박관용
국회의장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류택형
법조인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3
손경식
기업인
2013
맹광호
의학자
2013
한덕수
국무총리
2014
김승호
기업인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UN 사무총장
2017
양승태
대법원장
2017
서용달
경영학자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8
정세균
국회의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0
문희상
국회의장
2021
최종태
기업인
2022
박병석
국회의장
2022
리차드 위트컴
군인
2023
송창근
기업인
2023
김박
기업인
2023
자승
종교인
2024
이임성
법조인
2024
이상만
지질학자
2024
임희섭
사회학자
2024
장석진
언어학자
2024
김상주
공학자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
파일:FEBC 극동방송.jp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이사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황성수 오재경 강태국 김홍전 김원전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이환수 최순영 강민구 김장환
역대 국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톰 왓슨 윌리엄 윈첼 로드릭 펜스 로버트 리빙스턴 로드릭 펜스
제6대 직무대행 제7대 극동방송 대표이사 사장 ▶
윌리엄 윈첼 존 레스번 김장환
역대 대표이사 사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김장환 김은기 민산웅 한기붕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제9대 극동방송 이사장
김장환
金章煥 | Billy Kim
파일:김장환목사.jpg
출생 <colbgcolor=#fff,#1c1d1f>1934년 7월 25일 ([age(1934-07-25)]세)
경기도 수원군 안용면 장지리
(現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장지동)
학력 수원공립농림학교 (졸업)
밥 존스 대학교 (신학 / 학사)
밥 존스 대학교 (신학 / 석사)
트리니티 대학 (신학 / 명예박사)
사우스웨스트 침례대학 (신학 / 명예박사)
켐벨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인터내셔널 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휘튼대학교 (문학 / 명예박사)
명지대학교 (문학 / 명예박사)
북침례회 대학원 (신학 / 명예박사)
리터뉴대학 (법학 / 명예박사)
댈러스 침례대학 (인문학 / 명예박사)
컴버랜드대학 (신학 / 명예박사)
서울기독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벨헤이븐대학교 (목회학 / 명예박사)
캘리포니아 침례신학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바이올라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에즈베리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 / 명예박사)
블루필드대학 (신학 / 명예박사)
칼슨뉴먼대학 (신학 / 명예박사)
백석대학교 (철학 / 명예박사)
한동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오클라호마 침례신학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테일러대학교 (신학 / 명예박사)
경력 단테제일침례교회 목사
수원중앙침례교회 담임목사 [1]
십대선교회 회장
극동방송 사장
명지학원 제7대 이사장
아세아지역침례교연맹 회장
침례교세계연맹 총재
백석대학교 석좌교수[2]
종교 개신교 (침례회)
수훈 국민훈장 동백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캄보디아 외교관계 최고훈장

1. 개요2. 생애와 활동3. 정치성향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목회자. 現 극동방송 이사장.

2. 생애와 활동

1934년 경기도 수원시에서 출생했다. 어렸을 적 꿈은 정치인이었으나 집안이 가난해서 목사가 된 경우다. 한국 전쟁 때 미군부대에 들어가 하우스보이로 일하면서 영어를 배웠다. 미군 상사의 도움으로 1951년 미국으로 건너와 밥 존스 대학교로 유학하여 미국인인 트루디(1938~)와 결혼하고# 미국에서 침례회 목사 안수를 받았다.

목사 안수 후 귀국하여 1960년 3월 수원중앙침례교회를 개척했다. 이후 1970년에 극동방송 한국 지부 설립에 깊숙히 관여했고, 같은 해 9월에는 제주극동방송(구 아세아방송)을 개국하기에 이른다. 미국 기독교, 정계와도 깊게 인맥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독교계에서 자연스레 큰 권한과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고, 극동방송 사장, 이사장 등 여러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는 침례회세계연맹 총재를 맡았으며, 극동방송에서는 2008년부터 사장 직에서 물러나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수원중앙침례교회에서도 만 70세 정년을 맞아 2004년을 끝으로 담임목사직에서 물러났으나, 2007년부터 원천침례교회[3][4] 안디옥교회에서 원로목사 자격으로 설교하고 있다.

2015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 영결식 기독교 종교의식을 집례했다.

3. 정치성향

4. 여담


[1] 2004년 12월 원로목사 추대[2] 예장백석의 신학대학이다. 장로교임에도 침례교의 거물을 석좌교수로 임명했을 정도로 김장환 목사가 상당한 거물이긴 하지만 백석에서도 트리니티부터 명예학위만 가득한 김목사를 석좌교수에 앉혀놓은 것은 그의 명성만 보고 준 자리임은 변명할 수 없다. 여담이지만 예장백석 또한 긴 역사도 없고 돈만 많은 교단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3] 1996년에 수원중앙침례교회에서 분리된 교회로, 하나의 교회가 인원이 계속 늘면 분립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하나의 예배당 건물을 여러 교회 공동체들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 다른 교회들의 교구 개념만 교회로 바꿔서 차용한 격이다.[4] 이 교회들의 대표는 안디옥교회 담임 겸 다음교회 담임 겸 넥스트교회의 담임목사인 김요셉 목사이다. 김요셉 목사는 김장환 목사 장남으로 1996년에 원천침례교회를 개척하여 초대 담임목사 자리에 올랐다.[5] 미국인 목사가 인혁당 사건을 폭로해서 누명을 쓰고 추방당했는데, 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박정희는 종교를 탄압한다"는 얘기가 돌았다. 그러나 미국에 능통한 김장환 목사가 자신이 한국의 목사인 점을 어필하여 한국에서 선교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는 말을 하여 종교 탄압 논란은 와해되었다. 이 내용은 밑에 유튜브 영상 참고.#[6] 이는 대학생선교회 창립자인 김준곤 목사, 여의도순복음교회 창립자인 조용기 목사도 공통된 문제인데, 셋 다 5공 시절에 군사정권과 야합했다는 비판이 크게 제기된다. 김준곤(목사)도 이후 가톨릭에 우호적인 스탠스로 바뀌였다.[7] 당시 대선 예비후보[8] 실제로는 새로남교회 오정호 목사가 기도를 인도했다.[9] 광주 기독교단체 등 기독교 단체들이 김장환 목사의 극동방송 이사장 사퇴를 요구했다.#[10] 당시 공개된 영상에서 김장환 목사의 목소리가 들린다.[11] 참고로 김우생 목사는 1970년부터 극동방송의 5분 말씀을 진행하고 있다.[12] 또한 김장환 목사는 과거에 한국성서침례친교회 목회자 수련회에 참석하여 강연하기도 하였다.[13] 1994년부터 1996년까지 25억원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