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5:51:35

고속선

1. 개요2. 목록
2.1. 대한민국2.2. 중국2.3. 대만2.4. 일본2.5. 미국2.6. 독일2.7. 영국2.8. 스페인2.9. 프랑스2.10. 인도
3. 연관 문서

1. 개요

고속열차가 달리는 노선을 의미하며, 국제철도연맹에 따르면 200km/h 이상 주행 가능한 선로를 말한다. 정확한 고속철도의 개념은 해당 항목 참조. 고속선 선로 자체는 영문으로는 High-Speed Railway Line(HSR Line)[1]으로, 프랑스어로는 Ligne à grande vitesse(LGV)라는 표현이 쓰인다. 영어권에서는 딱히 고속철도와 고속선을 구별하지 않고 뭉뚱그려 High Speed Railway로 부르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신칸센(新幹線)이라는 말 자체가 고속선의 의미를 내포한다.
언어별 표기
한국어 고속철도노선[2](고속선)
영어 High-Speed Railway Line(HSR Line)
프랑스어 Ligne à Grande Vitesse(LGV)
독일어 Schnellfahrstrecke
스페인어 Línea de Alta Velocidad(LAV)
일본어 新幹線(신칸센, 신간선)

이 외에 영어권에는 'Higher-Speed Rail(HrSR)'이라는 개념도 존재한다. #영문 위키백과 링크 기존선을 개량해 고속 주행을 가능하게 만든 경우(준고속철도)가 여기에 속한다.

2. 목록

취소선은 미완성이거나 계획이 취소된 경우를 의미한다.

2.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고속선 및 준고속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word-break: keep-all;min-height: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High-speed Lines in South Korea Ko Normal.svg파일:High-speed Railway Lines in South Korea KR Dark.png
}}}}}}}}}
국토교통부 고시로 확정된 철도거리표 따름

2.2. 중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징광고속철도 · 징하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스타이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진친고속철도 · 징진도시간철도 · 징슝도시간철도 · 장다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징바오고속철도 · 진싱도시간철도 · 징탕도시간철도 · 징빈도시간철도 · 진바오철도[快] · 카츠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건설 진웨이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화이싱도시간철도 · 베이징순환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진슝도시간철도
계획 바오어고속철도 · 인타이고속철도 · 진청도시간철도 · 더상고속철도 · 스슝도시간철도 · 진창도시간철도 · 딩창도시간철도 · 징스한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랑줘도시간철도 · 탕준도시간철도 · 제2징친도시간철도 · 싱헝도시간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둥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하고속철도 · 선다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판잉고속철도 · 단다도시간철도[快] · 하자철도[快] · 무쑤이철도[快] · 하무고속철도 · 하치고속철도 · 둔바이고속철도 · 무자고속철도 · 창훈도시간철도 · 카츠고속철도 · 차오링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선단고속철도
건설 선바이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계획 치하이만고속철도 · 퉁치고속철도 · 무둔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항융고속철도 · 융타이원철도[快] · 원푸철도[快] · 푸샤철도[快] · 샤선철도[快] · 자오지고속철도 · 지칭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후닝도시간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허벙고속철도 · 닝항고속철도 · 웨이룽고속철도 · 칭룽도시간철도 · 칭옌철도[快] · 옌퉁고속철도 · 후쑤퉁철도[快] · 푸샤고속철도 · 롄전고속철도 · 상항고속철도 · 허안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허푸고속철도 · 푸핑철도[快] · 창푸철도[快] · 융푸철도[快] · 진원철도[快] · 취주철도[快] · 쉬롄고속철도 · 쉬옌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룽샤철도[快] · 간루이룽철도[快] · 지라이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화이샤오연락선 · 룽룽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항타이고속철도 · 창주도시간철도 · 지정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닝안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건설 진웨이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장산고속철도 · 웨이쑤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창주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취리철도[快] · 융저우철도 · 지빈고속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닝화이도시간철도 · 화이헝철도[快] · 난룽철도[快] · 루안징고속철도 · 허칭고속철도 · 지짜오고속철도 · 양마도시간철도 · 루퉁쑤후도시간철도
계획 융타이원고속철도 · 원푸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안후이성) · 더상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후자항고속철도 · 옌이고속철도 · 닝쉬안도시간철도 · 허신루도시간철도 · 빈린고속철도 · 쑤베이도시간철도 · 닝벙도시간철도 · 창타이철도 · 허캉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항린지고속철도 · 전쉬안고속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광고속철도 · 광선강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선잔철도 · 친베이고속철도 · 친팡철도[快] · 팡둥철도[快] · 상항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황황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광주도시간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창이창고속철도 · 뤄사오철도[快] · 헝류철도[快] · 류난도시간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난친철도[快] · 하이난 일주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우시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광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지정고속철도 · 정지도시간철도 · 우황도시간철도 · 장지화이고속철도 · 창주탄도시간철도 · 메이산철도[快] · 난핑고속철도 · 광칭도시간철도 · 정카이도시간철도 · 우셴도시간철도 · 우샤오도시간철도 · 셴타오도시간철도 · 광포자오도시간철도 · 광후이도시간철도 · 광포순환선 · 수이선도시간철도 · 룽룽고속철도 · 난주고속철도
건설 장산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선장철도 · 샹징고속철도 · 징이고속철도 · 이창고속철도 · 이뤄고속철도 · 사오융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우한허브직통선 · 광허고속철도 · 광중아오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계획 허잔고속철도 · 자오뤄핑고속철도 · 난헝고속철도 · 잔하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허우도시간철도 · 우위도시간철도 · 위베이도시간철도 · 위구이도시간철도 · 구이베이도시간철도 · 류허도시간철도 · 류싼도시간철도 · 광칭융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아오둥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상저우도시간철도 · 광선제2고속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청이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위구이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위철도[快] · 청구이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청위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몐루고속철도 · 안류고속철도 · 미멍고속철도 · 지위철도[快] · 구이카이도시간철도[快] · 구이양순환철도[快] · 바난고속철도
건설 시위고속철도 · 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위첸고속철도 · 판싱철도
계획 위구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루쭌고속철도 · 수이판도시간철도 · 두카이도시간철도 · 류웨이도시간철도 · 웨이자오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쉬란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인시고속철도 · 란위철도[快] · 인란고속철도 · 란신고속철도 · 란중도시간철도[快] · 란장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건설 시위고속철도 · 옌위어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허철도[快] · 우시고속철도
계획 인타이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관중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2.3. 대만

2.4. 일본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 노선도 ]
파일:All_Shinkansen_Route_Map_KR_202502.svg
{{{#2cb4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홋카이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cb431><colcolor=#fff> 운행노선 <colcolor=#1f2023,#dddddd>홋카이도 신칸센
연계노선 도호쿠 신칸센
운행등급 하야부사 / 하야테
운행차종 H5
차량기지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운전지령소 삿포로 종합지령소 }}}}}}}}}}}}
{{{#008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동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900><colcolor=#fff> 운행노선 <colcolor=#1f2023,#dddddd>도호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조에츠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연계노선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운행등급 도호쿠~홋카이도 <colcolor=#1f2023,#dddddd>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아오바
야마가타&아키타 츠바사 / 코마치
조에츠 토키 / 타니가와 / 아사히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운행차종 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 신칸센 종합지령소
}}}}}}}}}}}} ||
{{{#f773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도카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77321><colcolor=#fff> 운행노선 <colcolor=#1f2023,#dddddd>도카이도 신칸센
츄오 신칸센미개통
연계노선 산요 신칸센
운행등급 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운행차종 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운행예정
차량기지 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공장 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 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0072b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서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2bc><colcolor=#fff> 운행노선 <colcolor=#1f2023,#dddddd>산요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연계노선 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운행등급 도카이도-산요 <colbgcolor=#ffffff,#1f2023><colcolor=#1f2023,#dddddd>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산요-큐슈 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운행차종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 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
{{{#e50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큐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50012><colcolor=#fff> 운행노선 <colcolor=#1f2023,#dddddd>큐슈 신칸센
니시큐슈 신칸센
연계노선 산요 신칸센
운행등급 산요-큐슈 <colcolor=#1f2023,#dddddd>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니시큐슈 카모메
운행차종 800 / N700 / N700S
차량기지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사항 ]
<colbgcolor=Navy><colcolor=#fff> 기술개발용/사업용차량 표준궤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닥터옐로우 - WIN350
스타 21 - 300X - FASTECH 360 - E956형 - 궤간가변열차
초전도 리니어 ML500 - MLU001 - MLU002 - MLX01
계획노선 기본계획 홋카이도 신칸센 - 홋카이도 남회 신칸센 - 우에츠 신칸센
오우 신칸센 - 호쿠리쿠-주쿄 신칸센 - 산인 신칸센 - 주고쿠 횡단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 시코쿠 신칸센 - 히가시큐슈 신칸센 - 큐슈 횡단 신칸센
계획파기 나리타 신칸센 - 제2 도카이도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도카이도 물류 신칸센
구상계획 미에 신칸센
시험노선 카모노미야 모델선 - 미야자키 리니어 실험선 - 야마나시 리니어 시험선
좌석등급 보통차 - 그린샤 - 그란 클래스 - 식당차
규격외 신칸센 미니 신칸센 - 신칸센철도규격신선
관련법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신칸센 철도의 열차 운행 안전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에 관한 특례법
}}}}}} ||

미니신칸센 계열을 제외한 모든 신칸센 노선이 고속선의 범위에 들어간다. 특히 정규 규격은 신칸센철도규격신선으로 지정, 고시된다.

2.5. 미국

2.6. 독일

{{{#!wiki style="margin: 0 -10px -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1px; color:#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고속선 정보
<colbgcolor=#000><colcolor=#fff> 역 수 <colcolor=#000> 전용역 2개
중앙역 48개
공항역 3개
총 연장 길이 1,615km
노선 수300km/h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선
뮌헨-뉘른베르크 고속선
에어푸르트-라이프치히 고속선
뉘른베르크-에어푸르트 고속선
프랑크푸르트-만하임 고속선
하나우-겔린하우젠 고속선
하노버-빌레펠트 고속선
뉘른베르크-뷔르츠부르크 고속선
하노버-함부르크 고속선
하노버-브레멘 고속선
<colbgcolor=#000> 280km/h <colcolor=#000>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선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선
250km/h 하노버-베를린 고속선
카를스루에-바젤 고속선
벤들링엔-울름 고속선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color:#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간선 정보
<colcolor=#fff><colbgcolor=#db0000> 역 수 <colcolor=#000> 5398개
총 연장 길이 39,700km
노선 수 250~200km/h 쾰른-뒤스부르크 선
쾰른-아헨 선
할레-베브라 선
베를린-베브라 선
베를린-함부르크 선
함-바부르크 선
반네-아이켈-함부르크 선
라이프치히-드레스덴 선
쾰른-뒤스부르크 선
도르트문트-함 선
하노버-함부르크 선
함-민덴 선
하노버-민덴 선
트레브니츠-라이프치히 선
뉘른베르크-뷔르츠부르크 선
만하임-프랑크푸르트 선
뮌헨-아우크스부르크 선
울름-아우크스부르크 선
뉘른베르크-아우크스부르크 선
킨지그 계곡 선
160~100km/h <colcolor=#000> 서 라인선
동 라인선
베를린-포츠담-마그데부르크 선
브라운슈바이크-바트 하르츠부르크 선
뒤셀도르프-엘버펠트 선
마그데부르크-라이프치히 선
타우누스 선
베를린-비텐베르크 선
비텐베르크-데사우 선
라인 계곡 선
함부르크-베르게도프 선
베를린-슈체친 선
라이프치히-호프 선
베를린-프랑크푸르트(오데르) 선
헬름슈테트-뵈르숨 선
볼펜뷔텔-오셔슬레벤 선
마그데부르크-탈레 선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선
본-쾰른 선
함부르크-킬 선
마르쉬 선
부퍼탈-포빈켈-에센-위버루르 선
뷔르템베르크 서부 선
필스 계곡 선
레어테-첼레 선
레어테-베를린 선
드레스덴-괴를리츠 선
쾰른-민덴 선
할레 비텐베르크 선
레어테-노르트슈템멘 선
쾨텐-아셔스레벤 선
하게나우란트-슈베린 선
루트비히스루스트-비스마르 선
바트 클라이넨-로스토크 선
엘버펠트-도르트문트 선
하노버-민덴 선
브레멘-하노버 선
카셀-바부르크 선
카를 선
프랑코니아 선
드레스덴-데친 선
베브라-바우나탈-군터스하우젠 선
프랑크푸르트-하나우 선
위터보크-뢰더라우 선
마그데부르크-비텐베르크 선
뒤스부르크-루어오어트-묀헨글라트바흐 is선
마인-베저 선
데사우-라이프치히 선
란 계곡 선
라인 고지 선
라인 마인 선
코부르크-조네베르크 선
레겐스부르크-바이덴 선
루르 지크 선
비텐-뒤스부르크 선
로젠하임-잘츠부르크 선
슈투트가르트-바트 칸슈타트-알렌 선
카를스루에-뮐라커 선
하겐-함 선 · 킬-뤼벡 선
브레멘-올덴부르크 선
살레-밤베르크 선
뤼벡-푸트가르덴 선
뤼벡-함부르크 선
오버하우젠-아른헴 선
오버하우젠-뒤스부르크 선
플라우엔-헤프 선
윌첸-랑베델 선
분스도르프-브레멘 선
슈텐달-윌첸 선
뮌헨-로젠하임 선
뮌헨-레겐스부르크 선
만하임-자르브뤼켄 선
레겐스부르크-파사우 선
베를린-바부르크 선
풀다-베브라 선
노이슈트렐리츠-바르네뮌데 선
마인-네카르 선
}}}}}}
기존선 160km/h 노선에서 굵은 글자 노선은 200-250km/h 개량 공사&계획중인 노선
취소선은 공사&계획중인 신설 고속선
}}}}}}}}} ||

2.7. 영국

2.8. 스페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VE 문서
번 문단을
노선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프랑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GV 문서
번 문단을
LGV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인도

3. 연관 문서


[1] HSR이라는 말 자체는 번역하면 고속철도에 더 가깝다. 고속선경계표지로도 사용된다.[2] 철도사업법상의 명칭.[3] 도담~안동간은 복선화는 완료되었으나 준고속철도 역할을 못하다가, ATP 개량을 거쳐, 안동~영천 이설과 동시에 23년 12월부터 증속했다.[미개통] 현재 건설중인 노선으로 철도거리표상 등재만 되어 있다.[착공예정] 예타면제로 최종 확정 후 설계 중이며 2025년 연내 착공예정이다.[6]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및 편입시 부전~마산 구간이 준고속 운행 예정이다.[7] 2025년 영덕~삼척 구간 개통과 동시에 포항~영덕 전철화로 준고속 운행이 가능해졌다. 다만 차량 부족으로 일반열차만 운행 중이다.[8] 의성~영천 구간은 2025년 말에 ATP 신호시스템 공사 완료 후 준고속 운행이 가능할 예정이다. 중앙선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