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기 디미트로프 관련 틀 | ||||||||||||||||||||||||||||||||||||||||||||||||||||||||||||||||||||||||||||||||||||||||||||||||||||||||||||||||||||||||||||||||||||||||||||||||||||||||||||||||||||||||||||||||||||||||||||||||||||||||||||||||||||||||||||||||||||||||||||||||||||||||||||||||||||||||||||||||||||||||||||||||||||||||||||||||||||||||||||||||||||||||||||||||||||||||||||||||||||||||||||||||||||||||||||||||||||||||||||||||||||||||||||||
|
<colbgcolor=#d01c1f><colcolor=#fff> 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총리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미하일로프 Георги Димитров Михайлов | |||||
출생 | 1882년 6월 18일 | ||||
불가리아 공국 코바체프치 | |||||
사망 | 1949년 7월 2일 (향년 67세) | ||||
소련 러시아 SFSR 바르비하 요양원 | |||||
재임기간 | 제32대 총리 | ||||
1946년 11월 23일 ~ 1949년 7월 2일 | |||||
국적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01c1f><colcolor=#fff> 직업 | 정치인, 식자공 | |||
정당 |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당 (1919) (1919~49) | ||||
부모 | 아버지 디미터르 트렌체프 어머니 파라슈케바 도세바 | ||||
배우자 | 류비차 이보셰비치 (1906년 ~ 1933년; 사별)[1] 로자 플라이슈만 (~ 1949년) | ||||
자녀 | 디미터르 디미트로프[2] 파이나 디미트로바[3] 보이코 디미트로프[4] | ||||
종교 | 무종교(국가 무신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 러시아어 | 게오르기 미하일로비치 디미트로프 Гео́ргий Миха́йлович Дими́тров | }}}}}}}}} | }}}}}}}}} |
[clearfix]
1. 개요
불가리아의 정치인.반파시즘 인민전선 노선을 주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인민전선의 일종인 조국전선을 조직하여 나치 독일군과 싸웠고 1946년 9월 15일 왕정 체제가 무너지고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이 성립되자 초대 서기장이 되었다.
2. 생애
2.1. 초기의 디미트로프
소피아에서 노동운동에 참여한 인쇄식자공이었던 디미트로프는 1902년 불가리아 사회민주당에 입당했는데 후에 이 당은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당으로 재편되었다.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당은 급진화하면서 1919년 코민테른에 가입했고 불가리아 공산당이 되었다. 1904년부터 1923년까지 불가리아 노동조합연맹의 서기장을 지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5년 불가리아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17년 체포될 때까지 불가리아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 및 새로운 전쟁 공채 발행에 반대했다.1923년 6월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총리가 쿠데타로 암살당했을 때 공산주의자들은 쿠데타의 주역 알렉산더르 찬코프 총리에 반대하는 봉기를 조직하였고 디미트로프는 혁명 활동가로서 탄압에 맞선 저항을 지도했지만 저항이 실패로 돌아간 후 그와 지도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망명했으며 궐석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여러 가지 가명으로 1929년까지 소련에서 망명생활을 하다가 독일로 다시 이주했고 거기에서 나치에 맞서서 독일 공산당이 이끌던 반파시즘 인민전선을 조직하는 활동을 하였다.
2.2. 라이프치히 재판과 코민테른 지도
17세기 물리학의 시조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준엄한 종교재판소의 법정에 서서 이단자로서 사형을 선고받으려 하고 있었다. 그는 마음속 깊이 확신을 가지고 단호히 외쳤다! 그래도 지구는 돌고 있다! 그리고 이 과학적 명제는 훗날 전 인류의 공유재산이 되었다. 오늘날 공산주의자도 옛날의 갈릴레이 못지 않은 단호함을 갖고 이렇게 말할 수 있다. 그래도 그것은 돌고 있다. 역사의 수레바퀴는 앞으로 돌고 있다. 소비에트 유럽을 향하여, 세계 소비에트 공화국 동맹을 향하여! 그리고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이 지도한 프롤레타리아트의 손으로 밀려 나온 이 수레바퀴는 어떠한 절멸조치, 어떠한 징역형이나 사형 판결로도 멈출 수 없다! 그것은 돌고 있으며, 공산주의가 궁극적으로 승리할 때까지 계속 돌 것이다!
1933년 12월 16일 디미트로프가 나치 법정에서 남긴 최후진술 중 일부 발췌
1933년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의 공범으로 연루되어 베를린에서 체포되었으며 라이프치히 재판에서 디미트로프는 당시 법원과 검찰 앞에서 당당하게 자신의 신념을 밝혔다.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관련 재판은 3개월 가까이 지속되었으며 1933년 12월 13일 변론단계에 들어가 검사총장의 논고, 변호인의 변론에 뒤이어 12월 16일에 디미트로프가 최종 진술했다. 당시 나치가 완전히 장악하지 못한 독일 사법부는 주범 마리뉘스 판데르뤼버를 제외한 모든 '공범'들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으며 이에 따라 석방되었다.[5][6]1933년 12월 16일 디미트로프가 나치 법정에서 남긴 최후진술 중 일부 발췌
1935년 8월 2일 코민테른 7차 대회에 참가해 "파시즘의 공세와 파시즘에 반대하여 노동자계급의 통일을 지향하는 투쟁은 코민테른의 임무"라며 파시즘에 맞서는 인민전선을 조직해야 한다고 연설했다. 반파시즘 통일전선론이 코민테른에 정식적으로 채택되면서 본격적으로 반(反)파시즘 투쟁을 위한 인민전선이 조직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반파시즘 인민전선을 표명한 테제를 디미트로프 테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미트로프의 인민전선론은 스페인 내전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프랑스, 미국, 인도, 영국에서도 반파시즘 통일전선이 조직되기 시작하였다. 2차대전 시기에 고국인 불가리아로 귀국하여 인민전선의 일종인 불가리아 조국전선을 조직하여 나치를 불가리아에서 몰아냈다. 이러한 인민전선 노선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파시즘에 맞서는 데 큰 영향을 줬다.
2.3. 불가리아의 지도자
1944년 붉은 군대의 승리로 불가리아로 돌아온 디미트로프는 1946년 인민 공화국을 수립함과 동시에 서기장이 되어 1944년 조국전선 쿠데타로 총리가 된 키몬 게오르기에프를 부총리 겸 외무장관으로 임명했다.[7] 이 시기 그는 여전히 소련 시민권자였다.1946년에 디미트로프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압력으로 마케도니아의 합병을 목표로 하기도 했지만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게 접근하여 발칸 사회주의 연맹 창설 프로젝트에 관여하기 시작하면서 자주적인 외교정책을 시작했다. 1947년 두 사람은 여러 지역에서 긴밀한 협력을 요구하는 협정에 서명했다.
디미트로프 자신이 줄곧 주장했던 소비에트 이념 논쟁에서는 의견이 맞았지만 1948년 스탈린과 티토가 틀어진 후 관계가 최악이었다는 점과 같은 해에 디미트로프의 루마니아 방문 때 그가 연방에 참여하라고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자들을 설득하고자 한 대중연설 때문에 동구권 전체의 통제를 원했던 스탈린의 희망에 방해가 되었다. 거기다 티토의 이견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가입 협상과 마케도니아의 할양을 방해했다.
2.4. 최후
디미트로프는 소련에서 병을 치료받던 중 병세가 갑자기 악화되어 사망했는데 방사능 치료를 받았는지,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독살당했는지의 여부는 끝내 확인되지 않았다. 오랫동안 엠버밍 처리되어서 부검을 실시할 수도 있었지만 민주화 이후 재빨리 시신이 화장되어서 미스테리로 남게 되었다.그의 시신은 엠버밍 처리되어 소피아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박물관에 조성된 영묘[8]에 안장되었으며 후임 서기장으로는 벌코 체르벤코프가, 총리로는 조국전선의 일원이었던 바실 콜라로프(Васил Коларов)가 임명되었다.
민주화 이후 유해는 화장되었고 남아 있던 영묘는 1999년에 철거되었다. 1990년 시신이 화장된 뒤 남아 있었던 영묘를 처리하는 문제로 9년 동안 논쟁이 있었다. 불가리아 공산당을 상징하는 건물이어서 빠르게 철거하려고 했지만 그래도 6일만에 완공된 건물치곤 당시 소피아를 대표하는 건물이어서 철거 대신 박물관이나 미술관으로 재활용하자는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실제로 여론조사 결과 소피아 시민의 3분의 2가 철거를 반대했다.
3. 조국전선 강령
이하 강령의 전문은 불가리아 공산당의 입장만 반영되었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특히 7, 8, 9, 12번 조항 등에 간접적으로 언급된 소위 탈파시스트화는 단순히 나치즘뿐만 아니라 소련과 공산주의 세력에 반대하는 것으로 간주된 모든 세력을 겨냥했으며 그 정책은 지극히 가혹하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보리스 국왕정부의 반인민적인 정책은 절대절명의 민족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오늘날 불가리아는 사실상 히틀러의 속국이 되고 불가리아 인민은 독일 제국주의자의 노예가 되었다. 히틀러의 광기어린 세계지배 계획이 반드시 실패할 운명을 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배신적 정책을 수행하는 것은 곧 불가리아 인민을 의식적으로 파멸로 내몰아 민족적 독립을 잃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의 역사적 시점에서 불가리아 인민과 군대, 애국적 인텔리겐챠의 최고 임무는 불가리아를 구할 강력한 조국전선으로 결집하는 일이다. 조국전선은 스스로 다음과 같은 긴급임무를 부과하고 있다.
1942년 7월 17일[9] |
[1] 세르비아 출신으로 남편이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에 연루되자 베를린에서 자살하였다.[2] 친아들. 1936년 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3] 1931년에 입양한 딸이다. 친부는 중국공산당 서기장 권한대행을 맡았던 왕밍(천샤오위)으로 본명은 '천팡니(陈芳妮)'.[4] 입양한 아들, 1941년생.[5] 주범 격으로 체포되었던 마리뉘스 판데르뤼버는 사형 선고를 받은 후 처형당했다. 이 사건이 나치의 자작극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증거는 없다. 현대 독일의 공식 입장은 '정신이상자의 단순 방화를 나치가 정치적으로 악용했다'이다.[6] 사실 뤼버를 제외한 피고들은 증거불충분이라는 이유로 무죄로 할 것을 제안받았으며 따라서 디미트로프도 무죄 선고를 받았다.[7] 키몬 게오르기에프는 1923년 쿠데타를 일으킨 것을 시작으로 1934년에도 즈베노 쿠데타를 일으켜 총리가 되었고 1944년의 조국전선 쿠데타가 그의 마지막 쿠데타다. 그래서 그의 별명은 '구 쿠데타 주동자' 였다.거의 불가리아의 피닉제[8] 디미트로프가 사망한 지 6일만에 완공하였다. 그래도 견고하였는지 1999년에 철거할 때 4번의 폭파 시도 끝에 비로소 해체되었다.[9] <통일전선 연구> 250~252쪽에 수록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