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0:49:43

시메온 2세

파일:512px-Coat_of_arms_of_Bulgaria_(1927-1946).svg.png
불가리아 차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페르디난트 1세 보리스 3세 시메온 2세
}}}
불가리아 제국 · 불가리아 공국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불가리아 공화국

불가리아 총리
}}}}}}}}} ||

시메온 2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1c1f, #d01c1f 20%, #d01c1f 80%, #d01c1f);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불가리아 공국|
공국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토도르 부르모프 클리멘트 터르노보스키 드라간 찬코프 페트코 카라벨로프
제5대 제6대 (제3대) (제4대)
요한 에른루트 레오니드 소볼레프 드라간 찬코프 페트코 카라벨로프
(제2대) (제4대) 제7대 제8대
클리멘트 터르노보스키 페트코 카라벨로프 바실 라도슬라보프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제9대 (제8대) 제10대 제11대
스테판 스탐볼로프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디미터르 그레코프 토도르 이반초프
제12대 (제4대) 제13대 (제12대)
라초 페트로프 페트코 카라벨로프 스토얀 다네프 라초 페트로프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디미터르 페트코프 디미터르 스탄초프 페타르 구데프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불가리아 왕국|
왕국
]]
(제17대) 제18대 (제13대) (제7대)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이반 에브스트라티예프 게쇼프 스토얀 다네프 바실 라도슬라보프
(제17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테오도르 테오도로프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알렉산더르 찬코프
제22대 (제17대) 제23대 제24대
안드레이 랴프체프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니콜라 무샤노프 키몬 게오르기에프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펜초 즐라테프 안드레이 토셰프 게오르기 쿄세이바노프 보그단 필로프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24대)
도브리 보질로프 이반 이바노프 바그랴노프 콘스탄틴 무라비에프 키몬 게오르기에프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인민 공화국
]]
(제24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키몬 게오르기에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바실 콜라로프 벌코 체르벤코프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안톤 유고프 토도르 지프코프 스탄코 토도로프 게오르기 필리포프
제39대 제40대
게오르기 아타나소프 안드레이 루카노프
[[불가리아|
공화국
]]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안드레이 루카노프 디미터르 포포프 필리프 디미트로프 류벤 베로프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레네타 인조바 잔 비데노프 스테판 소피얀스키 이반 코스토프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시메온 삭스코부르고츠키 세르게이 스타니셰프 보이코 보리소프 마린 라이코프
제52대 제53대 (제50대) 제54대
플라멘 오레샤르스키 게오르기 블리즈나슈키 보이코 보리소프 오그냔 게르지코프
(제50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보이코 보리소프 스테판 야네프 키릴 페트코프 걸러프 도네프
제58대 제59대
니콜라이 덴코프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


추축국 주요 지도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S
,총통,
빌헬름 카이텔C
,OKW 최고사령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S
,선전부 장관/총리,
헤르만 괴링CS
,공군 제국원수,
하인리히 힘러S
,SS 국가지도자,
에리히 레더C
,전쟁해군 원수,
카를 되니츠C
,전쟁해군 원수/플렌스부르크 정부 대통령,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에마누엘레 3세->
,국왕,
베니토 무솔리니
,두체/총리,
피에트로 바돌리오->
,총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히로히토
,천황,
고노에 후미마로S
,내각총리대신,
도조 히데키C
,내각총리대신/육군대신,
스즈키 간타로
,내각총리대신,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국민단결정부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
살러시 페렌츠C
,총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미하이 1세->
,국왕,
이온 안토네스쿠C
,총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보리스 3세
,국왕,
시메온 2세
,국왕,
(-> : 전향 혹은 전향 시도 | : 종전 이전 사망 | C : 전후 재판을 받음 | S : 자살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7년 불가리아의 국영방송 BNT 1이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위대한 불가리아인 100명을 선정했다.
TOP 10
1위2위3위4위5위
바실 레프스키 페터르 더노프 아스파루흐 시메온 대제 흐리스토 보테프
6위7위8위9위10위
보리스 1세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스테판 스탐볼로프 이반 바조프 파이시 힐렌다르스키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존 아타나소프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바바 반가 토도르 지프코프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16위17위18위19위20위
칼로얀 크룸 이반 아센 2세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 이반 릴스키
21위22위23위24위25위
아지스 이반 코스토프 알레코 콘스탄티노프 볼렌 시데로프 게오르기 벤코브스키
26위27위28위29위30위
네노 유루코프 슬라비 트리포노프 니콜라 밥차로프 보이코 보리소프 릴리 이바노바
31위32위33위34위35위
댄 콜로프 쿠브라트 톤카 오브레테노바 게오르기 라코브스키 페트코 보이보다
36위37위38위39위40위
레이냐 크나기냐 발야 발칸스카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알베나 덴코바 게나 디미트로바
41위42위43위44위45위
에블로기 아타나스 부로프 콜류 피체토 에밀 디미트로프 타르노보의 에우티미우스
46위47위48위49위50위
사무일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게오르기 파트살레프 자하리 스토야노프 니콜라이 하이토프
51위52위53위54위55위
오흐리드의 클레멘트 베셀린 토팔로프 요르단 요프코프 고체 델체프 페요 야보로프
56위57위58위59위60위
라이나 카바이반스카 테르벨 아흐메드 도간 하지 디미타르 보리스 3세
61위62위63위64위65위
네슈카 로베바 네베나 코카노바 보리스 크리스토프 요르단 라디치코브 야네 산단스키
66위67위68위69위70위
디미타르 페셰프 엘린 페린 바질 아프릴로프 아포스톨 카라미테브 게오르기 퍼르파노프
71위72위73위74위75위
딤초 데벨랴노프 자하리 조그라프 파나요트 볼로브 세르게이 스타니셰프 시메온 2세
76위77위78위79위80위
루드밀라 지브코바 밀라디노프 형제 스테판 카라자 니콜라이 기아우로프 스토얀카 무타포바
81위82위83위84위85위
디미타르 스피사네브스키 류벤 카라벨로프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 흐리스토 스미르넨스키 게오르기 이바노프
86위87위88위89위90위
페터르 베론 발레리 페트로프 게오르기 칼로얀체프 게오 밀레브 브라트사의 소프로니우스
91위92위93위94위95위
에카테리나 다보프스카 디미타르 탈레프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펜초 슬라베이코프 필립 쿠테프
96위97위98위99위100위
페르니크의 크라크라 이벳 라로바 파나욧 히토프 오무르타그 아센 즐라타로브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009b75><colcolor=#fff> 불가리아 차르국 제3대 차르
시메온 2세
Симеон II
불가리아 공화국 제48대 총리
시메온 삭스코부르고츠키
Симеон Сакскобургготски
파일:nv-simeon-II-official-640x960-1.jpg
출생 1937년 6월 16일 ([age(1937-06-16)]세)
불가리아 왕국 소피아
재위기간 불가리아 차르
1943년 8월 28일 ~ 1946년 9월 15일
재임기간 제48대 총리
2001년 7월 24일 ~ 2005년 8월 17일
서명 파일:시메온 2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9b75><colcolor=#fff> 가문 삭스코부르고츠키 가문
이름 시메온 보리소프 삭스코부르고츠키
(Симеон Борисов Сакскобургготски)
아버지 보리스 3세
어머니 이탈리아의 조반나[1]
형제자매 마리야 루이자[2]
배우자 마르가리타 고메스아세보 (1962년 결혼)
자녀 카르담[3], 키릴, 쿠브라트, 콘스탄틴아센, 카리나
종교 불가리아 정교회 }}}}}}}}}

1. 개요2. 생애
2.1. 귀국과 정치활동
3. 가족관계
3.1. 조상3.2. 자녀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불가리아 왕국의 마지막 차르이자 불가리아 공화국의 제48대 총리.

제대로 꼬인 불가리아의 현대사를 지나 오면서 특이한 이력을 많이 남긴 인물이기도 한데 세계 역사상 차르 칭호를 사용한 마지막 군주이다. 공교롭게도 최초로 차르 칭호를 사용한 군주는 그와 이름이 같은 불가리아 제1제국시메온 1세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참전국들의 국가원수 중 현재까지 살아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2차 대전 당시의 국가원수 중 시메온 2세 다음으로 가장 오래 살았던 인물은 루마니아의 미하이 1세로, 2017년에 사망했다.

세계 역사상 유일무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는데, 혁명으로 인해 퇴위한 군주가 공화제로 바뀐 조국의 정부수반이 된 케이스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군주가 아닌 왕족이 공화정의 정부수반이 된 사례로 따지면 아프가니스탄 왕국의 왕자인 모하마드 다우드 칸라오스 왕국의 왕자 쑤파누웡이 1970년대에 왕정이 무너진 후에 공산당 1당 사회주의 공화제가 수립된 라오스와 공화국이 된 아프가니스탄의 초대 국가주석, 대통령이 된 사례가 있다. 다만 다우드 칸은 대통령이 된 지 5년 뒤인 1978년 군부의 쿠데타로 정권이 전복되어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 세력들에 의해 피살, 암매장당하는 등 그 끝이 좋지 못했으며 쑤파누웡은 왕위 계승권자가 아닌 서자였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사회주의 사상과 공화제를 받아들인 케이스다. 또 왕족으로서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지낸 히가시쿠니 나루히코도 있지만, 이는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임시로 맡은 것이었고 50여 일 만에 최단명으로 끝난데다 이 시기 일본은 일본국 헌법이 제정되기 전이었기에 끼기엔 애매하다. 국가수반이나 정부수반급이 아닌 정치인으로 폭을 넓히면 오토 폰 합스부르크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소속으로 유럽의회 의원을 지낸 사례가 있다.

2. 생애

부왕 보리스 3세가 1943년 히틀러와의 회담을 치르고 귀국한 후 의문사 하게된다. 보리스 3세의 사망원인에 대해서는 히틀러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독일이 암살했다는 설, NKVD의 암살 설, 영국의 암살 설이 있다. 부왕이 죽자 그는 1943년에 6세라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불가리아의 차르로 즉위한다. 그러나 재위 3년째인 1946년에 공산혁명이 일어나 불가리아 인민공화국이 건국되고 왕위에서 쫓겨났다. (만약 시메온 2세가 계속 재위했다면 2023년에 재위 80주년을 맞이했을 수도 있다.)

왕의 나이가 어리다 보니 왕국의 실권은 섭정이었던 숙부 키릴 프레슬라프스키 왕자, 보그단 필로프 전 수상, 니콜라 미호프 장군 등 섭정단에게 있었는데 1944년부터 불가리아의 공산화가 진행되면서 키릴 왕자를 포함한 섭정단이 국회의원 67명과 함께 처형당했다. 키릴 왕자는 나치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소련 등 연합국 측과 접선하려고 했다.

한편 어린 탓에 아무런 실권이 없었던 그는 모후 조반나와 함께 망명이 허락됐는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로 망명한다. 시메온 2세의 모후 조반나는 이탈리아 왕국의 공주로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셋째딸이다. 아버지가 망명해 있던 알렉산드리아로 갔다. 이어서 1951년 스페인으로 망명하고 1962년 마르가리타와 결혼해 4남 1녀를 뒀다. 스페인과 미국 군사학교에서 대학을 졸업했으며 스페인에서 경영 컨설턴트라는 직업을 갖고 일하고 있었으며, 프랑스의 다국적 기업 톰슨(現 반티바) 사의 스페인 지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2.1. 귀국과 정치활동

1990년 불가리아 인민공화국이 무너지고 불가리아가 민주화된 지 6년 뒤인 1996년 젤류 젤레프 전 불가리아 대통령은 공산화 직후 국외로 추방된 시메온 전 국왕 등 불가리아 구 왕가 사람들에게 내려졌던 구 왕가의 입국 금지 조치를 해제하고 불가리아 귀국을 허용했다. 그래서인지 시메온 본인도 자신의 귀국을 허용해 준 젤레프 전 대통령에게 고마움을 표했는데 젤레프 전 대통령이 퇴임 후인 2015년 노환으로 사망했을 때도 애도를 표했을 정도다.

불가리아의 민주 신정권은 그의 귀국을 허용하되 과거 군주제의 상징인 그에게 정치적 관심이 쏠리는 것을 막으려고 시도했으나 망명 50년 만에 귀국한 차르에 불가리아 국민들은 환호했다. 귀국 후 그는 결국 정치에 뛰어들어 '시메온 2세 국민운동연합' 창당에 참여하고 선거에서 승리해 2001년 불가리아 총리가 되었다. #

총리 재임 시절에는 외교 활동으로 2004년 NATO 가입 및 2005년 유럽연합 가입 동의 를 얻어내는 성과를 이뤘고 2007년에 가입하게된다. 경제적으로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국유재산 민영화 과정 문제 및 대외무역수지 적자로 비판을 받았다. 4년의 임기를 마친 후 국민운동연합은 차르의 귀환이라는 기대치가 너무 높았던 반동으로 2005년 총선에는 연립정부에 참여하는 대신 다시 여당 자리를 내주어야 했으며 2009년 총선에는 아예 원외정당이 되어 버렸으며 본인도 당수 자리를 사임하면서 뚜렷한 정치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망명 시절에는 꾸준히 불가리아의 차르라는 서명을 남겼지만 귀국 후엔 왕정복고에 관해서는 뚜렷한 입장을 보이진 않았다. 전 차르라는 경력을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인기를 얻긴 했지만 결국 다음 총선에서 패배해 버려서 발언할 기회 자체가 없는 것일 수도 있다.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시메온 2세
(Simeon II)
보리스 3세
(Boris III)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아우구스트 공자[4]
(Prince August of Saxe-Coburg and Gotha)
오를레앙의 클레망틴[5]
(Princess Clémentine of Orléans)
부르봉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
(Princess Marie Louise of Bourbon-Parma)
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Robert I, Duke of Parma)
부르봉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공주[6]
(Princess Maria Pia of Bourbon-Two Sicilies)
사보이아의 조반나 공주
(Princess Giovanna of Savoy)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Vittorio Emanuele III)
움베르토 1세
(Umberto I)
사보이아의 마르게리타[7]
(Princess Margherita of Savoy)
몬테네그로의 옐레나 공주
(Princess Elena of Montenegro)
니콜라 1세
(Nicholas I)
밀레나 부코티치
(Milena Vukotić)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남 타르노보 공 카르담
(Kardam, Prince of Tarnovo)
1962년 12월 2일 2015년 4월 7일 미리암 웅가리아 로페즈
슬하 2남
2남 프레슬라브 공 키릴
(Kyril, Prince of Preslav)
1964년 7월 11일 로사리노 나달
슬하 1남 2녀
3남 파나규리슈테 공 쿠브라트
(Kubrat, Prince of Panagyurishte)
1965년 11월 5일 카를라 로요빌라노바
슬하 3남
4남 비딘 공 콘스탄틴아센
(Konstantin-Assen, Prince of Vidin)
1967년 12월 5일 마리아 가르시아 데 라 라실라
슬하 1남 1녀
1녀 불가리아의 카리나 공주
(Princess Kalina of Bulgaria)
1972년 1월 19일 키틴 무뇨스
슬하 1남

1962년 스페인의 귀족인 제4대 코르티나 후작(Marquess of Cortina)의 손녀 마르가리타 고메스아세보(Margarita Gómez-Acebo y Cejuela, 1935-)와 결혼해 4남 1녀를 두었지만 장남 카르담이 2008년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져 2015년에 먼저 사망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이 때문에 그의 사후에는 카르담의 장남이자 시메온 2세의 장손인 보리스가 명목상의 차르 '보리스 4세' 가 될 예정이다.

차남인 프레슬라브 공 키릴의 장녀 마팔다(1994년생)는 현재 영국에서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재위 기간 중에는 왕위 계승권자가 공산당에게 총살당한 삼촌 키릴(자녀 없음)뿐이었지만 그가 아들을 넷이나 두었고 그 아들들이 낳은 손자가 7명, 손녀가 3명이나 되어 가문이 번성했다.

원래 조부 페르디난트 1세의 형인 루트비히 아우구스트의 후손들이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가문의 수장 지위를 잇고 있었다.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의 한 분파로, 초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의 동생이자 시메온 2세의 고조부인 페르디난트 공자가 헝가리 귀족 가문인 코하리 가문의 상속녀와 결혼하면서 창설된 가문이다. 그런데 루트비히 아우구스트의 증손자이자 시메온 2세의 7촌 조카인 요하네스 하인리히가 2010년에 후사 없이 죽게된다. 아들 요하네스가 있었지만 1987년에 18살 나이로 등산하다가 요절했다. 요하네스는 어머니의 가문인 작센 왕가의 잠재적 후계자이기도 했다. 그런 사정으로 시메온 2세가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가문의 수장을 맡았다가 2015년에 수장 작위를 누나 마리야 루이자에게 넘겼다. 재혼한 평민 남편의 소생들은 작위가 없는 것이 안타까웠는지 코하리 가문의 작위는 이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한다.#

4. 둘러보기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colcolor=#fff>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1] 1907~2000[2] 1933년생으로 1957년에 6대 라이닝겐 후작의 차남 카를(1928~1990)과 결혼했다가 1968년 이혼하고 이듬해에 폴란드인 평민 브로니스와프 흐로보크(Bronisław Chrobok, 1934~)와 재혼해 남편과 함께 미국에서 살고 있다.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는 2남을, 현 남편과의 사이에서는 1남 1녀를 두고 있으며 전부 포함하여 3남 1녀다.[3] 2008년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있다가 2015년에 사망했다.[4] 에른스트 1세의 남동생이자 레오폴드 1세의 형인 페르디난트 공자의 차남. 빅토리아 여왕의 외사촌이자 앨버트 공의 친사촌이다.[5] 루이필리프의 4녀이다.[6] 페르디난도 2세의 3녀,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이모다.[7] 카를로 알베르토의 손녀이자 요한의 외손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3
, 7.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3 (이전 역사)
문서의 r4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