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8:37:00

키몬 게오르기에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1c1f, #d01c1f 20%, #d01c1f 80%, #d01c1f);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불가리아 공국|
공국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토도르 부르모프 클리멘트 터르노보스키 드라간 찬코프 페트코 카라벨로프
제5대 제6대 (제3대) (제4대)
요한 에른루트 레오니드 소볼레프 드라간 찬코프 페트코 카라벨로프
(제2대) (제4대) 제7대 제8대
클리멘트 터르노보스키 페트코 카라벨로프 바실 라도슬라보프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제9대 (제8대) 제10대 제11대
스테판 스탐볼로프 콘스탄틴 스토일로프 디미터르 그레코프 토도르 이반초프
제12대 (제4대) 제13대 (제12대)
라초 페트로프 페트코 카라벨로프 스토얀 다네프 라초 페트로프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디미터르 페트코프 디미터르 스탄초프 페타르 구데프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불가리아 왕국|
왕국
]]
(제17대) 제18대 (제13대) (제7대)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이반 에브스트라티예프 게쇼프 스토얀 다네프 바실 라도슬라보프
(제17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테오도르 테오도로프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알렉산더르 찬코프
제22대 (제17대) 제23대 제24대
안드레이 랴프체프 알렉산더르 말리노프 니콜라 무샤노프 키몬 게오르기에프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펜초 즐라테프 안드레이 토셰프 게오르기 쿄세이바노프 보그단 필로프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24대)
도브리 보질로프 이반 이바노프 바그랴노프 콘스탄틴 무라비에프 키몬 게오르기에프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인민 공화국
]]
(제24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키몬 게오르기에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바실 콜라로프 벌코 체르벤코프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안톤 유고프 토도르 지프코프 스탄코 토도로프 게오르기 필리포프
제39대 제40대
게오르기 아타나소프 안드레이 루카노프
[[불가리아|
공화국
]]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안드레이 루카노프 디미터르 포포프 필리프 디미트로프 류벤 베로프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레네타 인조바 잔 비데노프 스테판 소피얀스키 이반 코스토프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시메온 삭스코부르고츠키 세르게이 스타니셰프 보이코 보리소프 마린 라이코프
제52대 제53대 (제50대) 제54대
플라멘 오레샤르스키 게오르기 블리즈나슈키 보이코 보리소프 오그냔 게르지코프
(제50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보이코 보리소프 스테판 야네프 키릴 페트코프 걸러프 도네프
제58대 제59대
니콜라이 덴코프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키몬 게오르기에프
Кимон Георгиев
파일:Kimon_Georgiev.jpg
본명 키몬 게오르기에프 스토야노프
Кимон Георгиев Стоянов
출생 1882년 8월 11일
오스만 제국 루멜리아 파자르지크
사망 1969년 9월 28일 (향년 87세)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바르나
국적
[[불가리아|]][[틀:국기|]][[틀:국기|]]
가족 베스카 로데바(아내)
별명 옛 쿠데타 주동자[1]
종교 정교회
직업 정치인, 군인
소속 불가리아 조국전선
서명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생애3. 총리 재임기4. 조국전선5. 말년6.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불가리아의 제24대 총리. 무려 3번의 쿠데타를 일으킨 것으로 유명하다.

2. 생애

그는 1902년부터 군 생활을 시작해서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다. 전쟁이 끝난 후 불가리아에선 농본사회주의 정당인 불가리아 농민연합이 집권 중이었는데 불가리아 공산당이 전후 세력을 늘려나가자 농민연합은 준군사조직인 주황위대를 동원하여 공산당을 억압하고 권위주의 통치를 이어갔다.

또한 군 인사 문제에서 갈등을 빚어 군부에서 불만 세력이 상당했다. 상당수 반대파가 예편되는데 게오르기에프 역시 예편되고 이후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한다. 반좌파, 반권위주의 연합인 인민동맹이 설립되었고 게오르기에프 역시 가입하였으나 1923년 여당인 농민연합은 부정선거를 일으켰다. 이에 인민동맹과 헌법연합[2]과 군부는 왕실의 승인하에 1923년 쿠데타를 일으켜 농민 전국연합 정부를 뒤엎고 총리였던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를 살해한다. 이 쿠데타에서 게오르기에프는 공로를 인정받아 내무장관에 임명된다.

이후 헌법연합과 인민동맹은 합당하여 민주동맹이라는 이름으로 불가라아의 유일한 합법정당이 된다. 민주동맹은 인민동맹계(민족주의), 민주당계(기독교민주주의), 통합인민진보당계(보수주의)의 연립정권으로 존속한다. 그러나 게오르기에프는 강성 민족주의자로 대외정책과 마케도니아 문제를 두고 내각과 끊임없는 갈등을 빚다 결국 탈당하고 극우 정당 즈베노를 창당한다.[3]

3. 총리 재임기

대공황 시기 하나의 정당에 세 개의 정파가 따로 노는 모순적 일당제 체제는 결국 경제위기 속에 빠르게 붕괴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게오르기에프는 30년대에 유럽에 불어닥친 권위주의+파시즘 열풍을 등에 업고 1934년 쿠데타를 성공시켜 총리에 오르게 된다. 그는 외무장관과 법무장관을 겸임했으면 일부 기간엔 국방장관까지 겸직했다. 그는 주요 기호품에 과세를 강화하고 전매제를 실시했다. 또한 부실은행을 통폐합시키고 부채를 동결시키는 등 급진적인 처방을 이어나갔다. 또한 마케도니아 독립운동 세력을 불법화하고 권위주의 통치를 강화했다. 그러던 와중 보리스 3세가 친위쿠데타를 일으키며 왕당파 정권이 들어서게 된다.

4. 조국전선

게오르기에프와 즈베노는 완전히 몰락하여 왕정 경찰의 감시를 받게 되는 신세가 된다. 하지만 게오르기에프는 자신들이 불법화한 농민연합과 공산당과 물밑교섭을 하며 이들과 친해지게 된다. 게오르기에프는 터르노보 헌법의 복구를 요구하며 입헌군주정으로 회귀를 주장했으나 왕정으로부터 무시당한다. 그는 대외 강경파였으나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것은 극구반대했다. 그러나 중립론이 씨알도 안 먹히자 그는 공산당에 합류해 불가리아 조국전선에 가입한다.

보리스 3세가 사망하자 야당의원 10인과 함께 터르노보 헌법의 복구와 섭정 선임을 주장했으나 이번에도 왕당파는 이를 무시했다. 1943년 추축국의 전황이 불리해지며 이번에는 조국전선 내부에서 발칸연방 주장(민족주의)과 소련과 연대(공산주의)간 의견충돌이 심해 졌다.[4] 그러나 결국 양측의 타협으로 유고슬라비아와 마케도니아 및 국경문제에 대해 확실히 명기하지 않은 공한만을 주고받으며 사태는 일단락된다.

그리고 1944년. 왕정이 추축국 탈퇴 및 중립화의 가능성이 없자 쿠데타를 일으켜서 왕정을 뒤엎고 조국전선 내각을 수립하며 총리에 임명된다. 이로써 3번째 쿠데타인 것이다. 쿠데타가 성공하자 즉각 소련에 공격 중단을 요청하였다. 한편 국내에선 다시 활동을 재개한 즈베노와 공산당 간의 유혈충돌이 발생했고 내각은 겉으로만 폭력을 반대할 뿐 실질적 대처는 없었다. 내각은 소련 인사와 공산당 그리고 반대편엔 민족주의, 보수주의, 농본주의 세력이 어지럽게 섞여 있었고 게오르기에프는 갈등에도 불구하고 다원적 구조를 지닌 조국전선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의했다.

이후 미국과 영국은 자유선거를 주장했으나 소련과 불가리아 공산당은 반대했고 결국 자유선거는 없었다. 게오르기에프 내각은 기존보다 사회주의 세력이 다수 임명되고 반공 각료의 해임되도록 개편되었고 2차 내각이 들어섰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게오르기에프를 신임했으나 1946년부터 왕당파 장교와 중도파 장교에 대한 숙청, 야당 지도자에 대한 숙청이 자행되었다. 그 후 불가리아의 전쟁 책임을 덜기 위해 노력했으나 효과는 미미했다.

5. 말년

과도정부가 역할을 다하자 왕국은 인민공화국이 되었고, 게오르기에프도 공직에서 사임했다. 스탈린은 불가리아의 인민민주주의의 종식을 명령하면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지니던 야당들은 모조리 관제화되거나 해산되었다. 그나마 공산정권도 게오르기에프의 공로를 인정하였는지 그에게 사회주의노력영웅 칭호를 2번 수여했다.

이후 포도원을 가꾸며 살아가다 1969년 9월 28일 급성 뇌졸중으로 사망한다. 그의 장례식엔 토도르 지프코프 총리가 참석하였으며, 유해는 소피아 국립묘지에 안장된다.

6. 대중매체

Hearts of Iron IV에서는 불가리아의 장관으로 등장하며, 정권을 공산주의로 바꾸고 조국전선 형성 후 즈베노를 통합하면 디시전으로 지도자로 만들 수 있다.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는 불가리아의 장군진에 있으며, 즈베노 지지자로 등장한다.

[1] Стария превратаджия[2] 기독교 민주주의, 자유주의 정당들의 통합 야당으로 인민동맹보다 진보적인 야당이다.[3] 즈베노는 파시즘 정당은 아니었다.[4] 불가리아 민족주의는 세르비아 못지않게 팽창주의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때문에 세르비아와 불가리아는 역사적으로 대립하는 사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