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15:10:42

에서 넘어옴
울 명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メイ, ミョウ
일본어 훈독
な-く, な-る, な-らす
표준 중국어
mí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鳴은 '울 명'이라는 한자로, '(동물 따위가) 울다', '울음소리' 등을 뜻한다.[1]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울다
중국어 표준어 míng
광동어 ming4
객가어 mìn
민남어 bêng
오어 min (T3)
일본어 음독 メイ, ミョウ
훈독 な-く, な-る, な-らす
베트남어 minh

유니코드에는 U+9CF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HAF(口竹日火)로 입력한다.

(입 구)와 (새 조)가 합쳐진 회의자다. 형태로나 의미로나 口부 한자로 알기 쉽지만, 鳥부에서 찾아야 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鳴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명학역(鳴鶴驛)
봉명역()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명장역(鳴)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경전선 명봉역(鳴)
역명에 鳴이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금강산청년선 명고역(鳴)
평북선 봉명역()
역명에 鳴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파일:NJM Line 3 icon.svg 난징 도시철도 3호선 지밍쓰역()
파일:NJM Line 4 icon.svg 난징 도시철도 4호선
파일:MTR 경철 로고.svg MTR 경철 밍컴역(鳴琴站)
역명에 鳴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JR)
파일:JRE_Wlogo.svg 고노선 나루사와역(鳴沢駅)
파일:JRS-N.svg 나루토선 나루토역(鳴門駅)
파일:JRE_Wlogo.svg 리쿠우토선 나루코온센역(鳴子温泉駅)
나루코고텐유역(鳴子御殿湯駅)
역명에 鳴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대형사철 및 지하철)
파일:MT-NH.svg 메이테츠 나고야 본선 나루미역(鳴琴駅)
파일:Hanshin-HS.svg 한신 본선 나루오무코가와죠시다이마에역(鳴琴駅)
파일:Hanshin-HS.svg 한신 무코가와선 히가시나루오역(東鳴尾駅)
파일:NGYSub-S.svg 나고야 지하철 사쿠라도리선 나루코키타역(鳴子北駅)
역명에 鳴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그 외)
파일:Randen-B.svg 란덴 키타노선 나루타키역(鳴滝駅)
파일:Tosaden_Wlogo.svg 토사덴 이노선 나루타니역(鳴石停留場)
파일:MatsuRail_Wlogo.png MR 니시큐슈선 나루이시역(鳴石駅)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사람이 울다\'라는 뜻으로 쓰이지 않음에 주의하자. 사람이 울다의 뜻으로는 , 등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