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8:34:31

K-239 천무

K239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MBT <colbgcolor=#2A5034> 1세대 M47 패튼R | M48(A1/A2C/A3K)R
2세대 M48A5(K1/K2/KW) | Tiran-6X | T-72M1X | M60X
3세대 K-1 | K-1A1 | T-80U
3.5세대 K-1(E1/{E2}) | K-1(A2/{A3}) | K-2 흑표
장갑차 차륜형 KM900R | RG-31 Mk.3 니알라L | 바라쿠다R | K806/808 백호 | KMPVX | M1224 MaxxPro Dash
궤도형 LVTP-7R | K200(A1) | K277(A1) | KAFV | BMP-3 | K-21({PIP}) | AS-21 레드백X | KAAVP-7A1 | {KAAV-II}
차량 소형 K-100R | K111 | K131 | K151 현마 | 전역차륜차량 | 샌드캣
트럭 K300/K301R | K800R | M37R | M602R | M35R | K311(A1/A2) | K511(A1) | K711(A1) | K911 | {K351} | {중형표준차량} | 민수용트럭 | FOX RRV |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 MTVR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 M110R | K-55(A1) | K-9(A1/{A2}/{A3}) | K105A1 풍익
자주박격포 M106R | M125R | K242(A1) | K281(A1) | K532 | KSM-120 비격
포병지원차량 탄약보급 K-10 | K-56
사격지휘 K-311 포사격지휘차 | K-514 | K-77
대포병 레이더 AN/TPQ-(36/37) | 아서-K | TPQ-74K 천경-II
다연장로켓 M270(A1) MLRS | K-136 구룡 | K-239 천무
TEL K409 TEL | K501 TEL | K-91X TEL
야전방공무기 자주대공포 K263(A1/A3) | K-30 비호 | K-30W 천호
대공 미사일 K-30 SAM 비호복합 | K-31 천마
지원 차량 구난차량 K288(A1) | K1 구난전차 | K-912 | 경구난차량 | KAAVR7A1 | M88(A1) 구난전차R | M578 경구난차량
AEV KM9 ACE | K-600 코뿔소
교량차량 K-1 AVLB 교량전차 | K-719 | 부교 운반차 | KM3 수룡
통신차량 K533/534
화생방차량 K-316 | K-332 | KM9
기타 K-313 | K-512
대테러부대용차량 TM-170 | S5 장갑차 | 렌코 베어캣 | 숄랜드 S600 | 포드 익스커션 | 포드 F-350 | 로셸 세네터 AR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시범운용, 연구 목적 도입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FXiMeQnXkAADZSx.jpg
K-239 천무

1. 개요2. 제원3. 특징
3.1. 차량3.2. 발사대3.3. 지휘·사격통제체계3.4. 탄약체계
3.4.1. 130mm 구룡 1·2로켓3.4.2. 227 / 230mm 무유도로켓
3.4.2.1. 불발탄 논란
3.4.3. 239mm 유도로켓3.4.4. GLSDB3.4.5. 전술지대지유도무기
3.5. 탄약운반차량
4. 실전
4.1. 예멘 내전
5. 운용국
5.1. 대한민국5.2. 아랍에미리트5.3. 폴란드5.4. 사우디아라비아
6. 수출 시도
6.1. 루마니아
7. 수출 실패 국가
7.1. 스페인7.2. 노르웨이
8. 기타9. 미디어10. 모형11. 둘러보기12.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 국방부 공식 K-239 천무 소개 영상
대한민국에서 K-136 다연장로켓 구룡 대체 목적으로 개발된 차세대 군단급 다연장로켓. 제식명칭은 K-239다. 발사차는 K239L, 탄약운반차는 K239T이다. 天橆(천무)는 하늘 천, 우거질 무 로 '다연장로켓으로 하늘을 뒤덮는다'라는 뜻으로 2011년 국민공모를 통해 붙여진 명칭이다.

2006년 4월에 장기소요결정이 났다. 2009년 6월부터 1,300억 원의 개발비로 사업이 시작된다. 2013년에 개발이 완료되어 2015년부터 실전에 배치되었다. 기존 군단급 화력체계인 구룡보다 사거리와 화력,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하여 군단급 정찰 무인기와 더불어 군단 작전반경을 획기적으로 늘린 체계로 평가받는다. 단차 가격은 탄약 제외 약 30억 원 내외이다. 천무는 차량·발사대 플랫폼보다 탄약체계가 압도적으로 비싸다.

2. 제원

K-239 천무
天橆
전투중량 31톤
엔진 두산인프라코어 DV11K V6 디젤엔진
마력 450마력
변속기 앨리슨 4500SP 6단 전자동변속기
최대속도 80km
항속거리 450km
배치수량 218~367문(예정)
로켓 장전량 12발[1]
승무원 3명

3. 특징

M270 MLRS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그와 유사한 형태를 추종했다. 천무는 M142 HIMARS 다연장로켓과 유사한 기능을 갖춘 데다 최대 300km 떨어진 목표물까지 공격할 수 있다.

3.1. 차량

궤도형인 M270 MLRS와 달리 천무 차대는 하이마스처럼 차륜형이다. 차륜형은 수명 주기 비용, 운용비용, 획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포병체계는 전차 등 기갑차량과 비교하여 야지 기동 의존도와 요구무게가 크지 않다. 차륜형 차량기술의 발전에 따라 궤도형과 비교해 작전능력이 크게 떨어지지도 않는다.

2000년대 NATO의 궤도형, 차륜형 코스트(예산) 비교가 공개되었고 그에 따른 운용 효과가 입증되었다. 대한민국 국군도 M270 MLRS의 지원 차량인 M985 차륜형 탄약수송트럭을 운용한 결과 M270과 별 차이 없는 야지 기동능력을 가졌다 평가한다. 궤도형 차량은 지면의 상태와 관계없이 바로 발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차륜형은 유압 지지대 등의 전개 속도를 높이는 식으로 극복한다.

차체는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천무 발사대를 위해 새로 개발되었다. 현무 지대지 순항미사일의 TML의 차체나 8X8 의 차륜형 장갑차 차체를 변경했다는 말이 있었으나 관련성이 없다. 기존의 현무-II의 발사대의 플랫폼이나 차륜형 장갑차의 차대를 이용하려고 하였으나 너무 비싸서 염가형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한다. 또 현무 발사차량인 K409가 두산의 차륜형 장갑차인 블랙폭스의 차대를 활용했고 K239는 K409의 염가형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사실이라면 이것이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천무는 M270 MLRS보다도 사이즈가 더 크다.천무와 M270의 비교사진 기아차도 목업 차량을 공개했다. 중형전술 차량에 차축을 늘린 형태다. 군용 전술 차량 라인업에 나온 대형전술 차량은 중형전술 차량의 차축을 늘린 렌더링과 동일하다. 즉 기아자동차에서 대형전술 차량의 렌더링과는 다르게 공개되리라 전망되었다. 이후 현무-2C의 TEL이 10X10 차대로 공개되었는데 기아차의 대형전술 차량으로 보였다.

최종적으로 두산의 차량이 선정되었다. 방탄 차체이며, 차내에 에어컨이 탑재되어있어 여름철에도 굉장히 시원하다.

발전기가 기본 장착되며 8x8 전륜구동형이다. 한국형 대포병 레이더 TPQ-74K 천경-II 에도 쓰인다.

10톤급 차량이 필요한 시스템에 해당 차량이 유용되리라는 전망이 있다. 공개된 제원상 크기는 K-911. 즉, K9xx 계열 단축형과 비슷하다.

국군의 전술차량 통합계획에 따라 천무 III의 발사 차량은 현무 미사일의 TEL인 K501 계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3.2. 발사대

파일:wqF0ZNu.jpg
파일:9U0V7OL.png
천무 발사대 후면[2] 한국형 발사대 내장 크레인 구성도
파일:9c5e84e87c1249c7b3c4c9450c9c03dd.gif
장전 체계 작동을 묘사한 그래픽
천무의 발사체계는 M270 MLRS의 운용 경험이 반영되어 포대 구성, 운용체계, 탄종까지 유사하다.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성능은 높아졌다. 대한민국 개발 무기로 최초로 유압실린더가 아닌 전기식 실린더를 사용하여 디지털 제어시스템이 적용되어 고각과 방위각이 동시구동이 가능함에 따라서 사격반응시간이 93초에서 16초로 줄어들었다. 발사후 재장전 시간은 약 160초이며, M270 MLRS의 260초보다 100초 가까이 빨라졌다.

3.3. 지휘·사격통제체계

파일:kWR31vB.jpg
파일:zbck23h.jpg
킬 체인 전술사격지휘체계(BTCS)
천무는 한국형 킬 체인 시스템의 중요 타격체계이다. 킬체인 시스템은 신속함과 정확함을 요구받으며 이에 맞는 지휘체계, 사격통제체계가 개발되었다. C4I 체계(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 System)를 적용하여 연동하며, 포병대대 전술사격지휘체계(BTCS: Battalion Tactical Command System)로 표적정보 및 사격임무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표적정보와 사격명령을 바탕으로 천무체계의 위치결정·항법장치 및 사격통제장치 등을 이용해 적의 종심을 타격한다. 특히 사격통제장치에는 유도로켓 사용을 위해 GPS 연동기능과 신호정보 연동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3.4. 탄약체계

파일:천무_탄약_체계.jpg

천무 체계 중 탄약체계가 가장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

전장환경과 상황에 따라 탄종류를 달리 할 수 있다. 특히 천무는 기존의 구룡의 탄약체와 유도로켓까지 운용할 수 있다. 이후 M270 MLRS의 ATACMS와 비교되는 KTSSM을 개발하였다.

3.4.1. 130mm 구룡 1·2로켓

파일:0jbtyYj.jpg
구룡 로켓 기본형과 개량형
제식명 탄체구경 전장 발사관수 로켓중량 탄두중량 표준사거리
K30 130mm 2.390m 40발 55kg 20kg 23km
K33 131mm 2.528m 40발 64kg 20kg 36km

이전 세대 다연장로켓체계인 구룡은 천무 전력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운용되며 탄약 역시 막대한 수량이 생산되었다. 이 재고 130mm 로켓탄약 운용도 가능하다. #

기존 구룡탄약과 다른 점은 없으나 포드화시켜 재장전이 용이하다. 1포드에 20발씩 총 40발이 장전 가능하여 화력과 운용에서 구룡보다 우위다. 구형탄인 K30은 사용 불가이며 K33 36km의 사거리 연장탄만 사용할 수 있다.

3.4.2. 227 / 230mm 무유도로켓

제식명 탄체구경 전장 발사관수 로켓중량 탄두중량 표준사거리 자탄 종류 자탄 개수
KM26 227mm 3.940m 12발 306kg ?kg 32km M77 DPICM 644개
KM26A1 227mm 3.940m 12발 296kg 120kg 45km M77 DPICM
M85 DPICM
518개
KM26A2 230mm 3.940m 12발 296kg 120kg 45km M77 DPICM
M85 DPICM
518개

M26 계열 로켓은 M270 MLRS에서 운용하는 M26 계열 227mm 로켓을 국내 기업인 한화에서 면허 생산하였으며 특히 KM26A2 로켓의 경우 미국에서 230mm 구경으로 개량한 신형 M26A2 무유도 로켓을 면허 생산한 것으로 M26 계열과 동일한 M77 DPICM을 내장한 것이 특징이다. KM26A1과 KM26A2 로켓은 확산탄으로 광역제압에 효과적이며 상부 공격 능력으로 기갑차량에도 유효하다.

한 발당 살상 반경은 축구장 3개 크기 정도며 이 탄약은 대한민국 국군에서 운용 중인 MLRS에도 호환된다.[3] 무유도로켓에 대한 불발탄 논란이 있는 관계로, 2023년을 목표로 국산 무유도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불발탄 논란 문단에서 언급한다.
3.4.2.1. 불발탄 논란
2015년 7월 3일에 미국 측에서 불발율이 기준 이상으로 나와 승인을 거부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사실 작년에 나온 결과인 데다가, 4개월 전에 관련 기사가 이미 나온 뒤여서 단독이라고 하기에는 뒷북이다. 그리고 오류가 넘치는 전자와 다르게 이쪽이 훨씬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불발률 1%란 미사일 자탄의 불발률을 의미하는데, 불발된 확산탄지뢰처럼 땅에 그대로 남아 민간 피해를 일으킬 위험이 크기 때문에 UN에서 지정한 집속탄 금지조약에 따라 미국이 2018년까지 1% 이상의 집속탄 사용과 생산을 중단함에 따라 일어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과 미국 내 실험에서 처음에는 1%를 달성했지만 미 의회를 설득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요청에 따라 추가로 경사지, 사막 수풀 환경이 추가된 시험 발사에서 1%를 넘어버린 것이다.
이런 미국에게 승인요청을 한 배경이 있는데 해당 탄종을 그대로 대한민국 국군이 보유한 M270 MLRS에 사용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MLRS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한화에서 MLRS 탄약체계를 면허생산하고 있으며 탄약체계의 이원화를 피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군이 이 탄종만 호환체계로 개발하게 만든 것으로 그 때문에 탄약명도 KM26A2(국내에서 면허 생산된 M26 탄약체계의 2차개량형)인 것이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원형인 M270 MLRS에 운용하는 M26 계열 로켓에 들어가는 M77 DPICM(자탄)의 경우 실전에서 1%의 불발률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2%~5% 심지어 10%의 불발률을 보이기도 하는 상황이며 아직까지 불발률 1% 이하의 집속 탄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미군도 달성 못 한 기준을 달성하려 한 것이다. 아예 미군은 기존 탄두를 포기하고 불량률은 낮아지지만 관통력이 떨어지는 탄두를 새로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가장 화력이 강한 무유도탄이 난관에 봉착하였기에 적어도 무유도탄 생산이 지연되는 것은 확실시되어 보인다. 다만 어쨌든 목표 달성에 실패할 경우에는 관통력 저하와 단가 상승을 택하느니 차라리 MLRS를 대체할 만한 무기를 만들거나, 탄약체계 이원화를 감수하고 그냥 진행할 수도 있다고는 카더라가 있었으며 결국 문제가 된 면허생산 KM26A2 무유도탄을 국산 개발품으로 대체한다는 기사가 보도 되었고 한화에서는 2021년을 목표로 국산 무유도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다만, 한화는 그룹 전체의 ESG 차원에서 확산탄두 관련 사업을 2020년에 전부 별도 법인인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KDInd)로 분할 매각[4]하였기 때문에 이후 무유도로켓탄의 개발과 생산도 KDInd에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3.4.3. 239mm 유도로켓

파일:Dl5nyj0.jpg
(위) 분산탄두 구조도 (아래) 단일고폭탄두 구조도
제식명 탄체구경 전장 발사관수 로켓중량 탄두중량 표준사거리
없음 239mm 3.940m 12발 340kg 90kg 80km
GPS-aided INS 항법을 통해 정밀 유도가 가능한 타격체계다. 정찰위성, 무인정찰기, 대포병레이더(AN/TPQ-37, 아서 K, 차기대포병레이더)등으로 전술사격지휘체계에 기반하여 사격통제, 발사된다. 미군의 GMLRS 탄을 그대로 답습하여 제작되므로 로켓에 앞/뒤로 장착된 날개로 오차를 수정하며 표적까지 유도한다. 탄두는 분산탄두와 단일 고폭탄두가 있다. 분산탄두는 230mm 무유도탄과 같으며, 단일 고폭탄두는 원형 공산 오차가 15m인 관통단두로써 60cm이상의 콘크리트로 방어된 벙커나 건물 등을 파괴한다. 230mm 무유도탄보다 구경과 무게가 증가 되었지만, 동일하게 12발 발사 할 수 있다. 또한 램제트 추진기술을 적용한 사정거리 연장형 유도로켓도 개발 중이라고 한다. 현 사거리의 3배 수준으로, 200㎞ 이상의 사거리를 목표로 추진중이다.#

3.4.4. GLSDB

3.4.5. 전술지대지유도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술지대지유도무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연평도 포격전 이후 급격하게 제기되어 나온 번개사업 중 하나. KTSSM으로 부른다.

2016년 개발완료를 목표로 진행하였으며 2017년 7월 완성되어 언론에 공개된다. 이후 2019년에 한화테크윈에서 K-239 천무를 홍보하는 위의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400mm와 600mm 전술 탄도미사일이 공개되었다.

400mm는 천무-II로 밝혀졌다. 이전에 계획 되던 카나드가 장착된 로켓탄이나 KTSSM-I과는 또 다른 탄종으로 추정한다. 1개 포드에 2발씩 총 4발 장착할 수 있다.

600mm는 사거리 290km 탄도탄으로 KTSSM-II로 보인다. 1개 포드에 1발씩 총 2발을 장착할 수 있다.

2021년 현재 천무에는 아직 인티되지 않았다고 보인다. 다만 천무 운용을 크게 의식하여 개발했음은 사실이다.

2022년에는 사거리 200km가 넘는 전술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2024년에는 폴란드 수출용 전술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영상을 공개했다. 사거리는 300km.

3.5. 탄약운반차량

파일:QHYkpg9.png
발사 차량(좌) 및 탄약수송차량(우)

약칭은 탄운차. K239T 탄약운반차량은 발사대 차대와 동일하다. 이로 정비소요를 줄였으며 발사대 차량과 동일한 기동성을 가진다. 운송능력은 4개의 포드이다. 230mm 로켓 24발, 130mm 로켓 80발을 실어 나를 수 있다.

4. 실전

4.1. 예멘 내전

2023년 11월 12일에 예멘 북부에 위치한 후티 반군의 미사일기지 공격에 사우디군이 다연장로켓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공격 거리가 45km에 달해 K-239 천무를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사실로 확인될 경우 천무의 첫 실전사례가 된다.

5. 운용국

5.1. 대한민국

파일:d8ge6xjtyum01.jpg
대한민국 육군 소속 K-239 천무
원조 사용국. 주요 육군 군단 포병여단과 해병대에 1개 대대 이상씩 배치되었다. 천무 1개 대대분은 구룡 다련장대대 시절과 동일하게 1개 대대 18문의 천무를 운용하며, 대대(18문)-포대(6문)-사격소대(3문)-사격반(1문) 체제로 편성된다. 이후 약 218문(약 12개 대대분)에서 367문이 양산된다고 한다.[5]

5.2. 아랍에미리트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아랍에미리트 육군 소속 K-239 천무
2017년 가을에 중동의 어느 국가와의 7천억 원대 수출계약이 이루어졌다. 수출국명을 공개할 시 계약을 파기하겠다는 수출국가 측의 요구로 해당국가의 이름은 비공개 처리되었다. # 이때 정황상 UAE로 추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후 2020년, 아랍에미리트로 천무가 수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021년, 아랍에미리트에 8억 5백만 달러(약 9천억 원)어치 천무가 수출되었다는 기사가 나왔다. #

5.3. 폴란드

파일:폴란드판 천무.jpg
WR-300 호마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R-300 호마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사우디아라비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사우디아라비아 육군 소속 K-239 천무
2022년 3월 9일에 한화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약 1조원 가량의 대규모 방산수출을 성사시켰다는 사실이 1년이 지나서야 뒤늦게 알려졌다. 당시에는 어떤 무기를 얼마나 수출했는지 양국 정부와 한화가 비공개해서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1년 후인 2023년 4월 4일에 사우디아라비아군 총참모장이 천무 운용부대를 방문한 영상이 공개됨으로써 천무로 확정되었다. # 이로써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천무의 두 번째 해외 운용국이 되었다. 추후 MBC경남의 보도에 따르면 2022년 11월 윤석열 대통령이 한화공장을 시찰할 당시 배경에 찍힌 사막색 천무가 아랍에미리트 추가인도분이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분이었다고 한다. #

예멘 내전에 투입되면서 천무의 첫 실전기록을 만든 국가가 되었다.

6. 수출 시도

6.1. 루마니아

7. 수출 실패 국가

7.1. 스페인

스페인의 차기 다연장로켓 사업 SILAM에서 이스라엘의 PULS, 브라질의 ASTROS II와 경쟁했다.# 그러나 사업에서 PULS가 선정되면서 탈락했다.

7.2. 노르웨이

2022년 6월 23일 tu.no의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는 이제 300km 대의 장거리 공격 능력을 갖추기를 희망하며 RFI를 시작했다고 한다. 초기전력화가 2028년이 목표인 사업으로, 결과가 나올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잠재적인 경쟁업체가 많은 사업으로, 기사에서는 록히드마틴 ER-GMLRS, PrSM, 보잉-사브 컨소시엄의 GLSDB를 소개하고 있다.

2022년 6월 24일 tu.no의 보도# 에 따르면 한화와 콩스버그 디펜스는 MOU를 맺고 해당 사업에 K239 천무로 도전할 것이라고 한다.

2024년 6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Eurosatory에서 노르웨이가 한국관을 찾아 천무 수출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다연장 로켓 도입을 검토해 온 노르웨이가 미국 하이마스와 천무를 놓고 고민 중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2024년 8월 노르웨이는 천무대신 하이마스 6대와 관련 장비 및 탄약을 최대 5.8억 달러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8. 기타

9. 미디어

10. 모형

11. 둘러보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아랍에미리트군 기갑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MBT <colbgcolor=#ffffff,#191919> 2세대 AMX-30R, OF-40 Mk.2
3.5세대 르클레르 전차
경전차 FV101 스콜피온
장갑차 차륜장갑차 FV701 페렛, 파트리아 AMV, EE-11, 파나르 M3, AML-(30/90), FV601 살라딘/FV603 사라센, 아르마
VAB 6×6, 푹스 1 NBC, RG-31 Mk.5, M1224 MaxxPro, 카이만, BTR-3, 에니그마
궤도장갑차 AMX-VTTR, AMX-10P, ACV-300, BMP-3M
차량 소형 험비, M-ATV, 오토카르 코브라, Nimr, VP11
트럭 오시코시 M1070, FMTV, HX81
자주포 자주곡사포 AMX-13 Mk F3R, M109A3, G6 M1A3
자주박격포 RG-31 Agrab-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파나르 M3 VDA*
저고도방공 판치르-S1
다연장로켓 BM-21, BM-30, K-239 천무, M142 HIMARS, SR-5, T-122 Sakarya, Jobaria MLRS, {AR3}
무인 차량 UGV {테미스}, {타입 X}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현대 사우디아라비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2e8b57> 사우디아라비아 왕립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MBT <colbgcolor=#2e8b57> 1세대 M47 패튼R
2세대 AMX-30SAS, M60A3S
3.5세대 M1A2S
경전차 M41 워커 불독R
장갑차 차륜장갑차 UR-416, TPz 푹스, 파나르 M3, 넥스터 아라비스, Al-Masmak MRAP,
LAV 6.0SANG, 피라냐 IISANG, V-150SANG, EE-11SANG
궤도장갑차 M113, AMX-10PS, M2A2
차량 소형 M151R, 험비, M-ATV, URO VAMTAC, CUCV
트럭 M939, M35, HET/HEMTT,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3/A5), AU-F1, PLZ-45, CAESARSANG
자주박격포 LAV II AMS-II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AMX-30DCA
단거리 대공미사일 AMX-30 SA, 크로탈, HQ-17AE
레이저 사일런트 헌터
다연장로켓 M270 MLRS, ASTROS II, K-239 천무, TOS-1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SANG: 사우디아라비아 국가경비대(Saudi Arabia National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국산 미사일 및 국산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white> 대공 미사일 <colbgcolor=#fffefc,#303030>신궁 맨패즈 | 천마 단거리 미사일 | 해궁 대공 미사일 | 천궁 Block-I 중거리 미사일 | 천궁 Block-II 중거리 미사일 | L-SAM | LAMD | 한국형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 한국형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 함대공 유도탄-II
대지 미사일 현궁 대전차 미사일 | 천검 공대지 미사일 | 239mm 유도로켓 | 우레(KTSSM) | 현무-II(2021년 개량형[HP]) | 현무-III | 해성-II | 해룡 전술함대지 유도탄 | 천룡 공대지 미사일 | 현무-IV[HP] | 현무-IV-4 SLBM | 현무-V[HP] | 한국형 극초음속 미사일
[HP]: 통칭 (초)고위력 현무 탄도 미사일
대함 미사일 비궁 유도 로켓 | 비룡 유도로켓 | 해성 아음속 대함 미사일 |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 공대함-II 유도탄
어뢰 청상어 어뢰 | 백상어 어뢰 | 범상어 어뢰 | 홍상어 대잠 로켓 | 경어뢰-II
퇴역 및
시제품
KT-75 상어 경어뢰 | K-744 경어뢰 | 해룡 단거리 대함 미사일 | 현무-I 전술 탄도 미사일 | 백곰 탄도 미사일
}}}}}}}}}

대한민국 국군의 이동형 미사일 발사차량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대지 로켓 <colbgcolor=#fffefc,#303030>M386 | M809 | K-136 | M270/A1 | K239
탄도 미사일 M818 | K711/A1 | K715 | | M270/A1 | K239 | K409 | K501 | K-91X
순항 미사일 K409 | K501 | K-91X
대함 미사일 타타대우 노부스 | K711A1
지대공 미사일 MAN SX45 | K-916 | LSAM 발사차량 | LAMD 발사차량
미상장비 K901 20X20 | 초대형 발사차량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2. 관련 문서



[1] 발사차량 1문당 12발을 동시에 발사한다. 특히 집속탄을 사용할 경우 300개의 자탄이 공중에서 뿌려져 최대 축구장 약 3배 크기의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다. 구형 구룡에서 사용되었던 130mm 사거리 연장 로켓을 장전할 경우 40발.[2] 탄종류에 따른 확장력을 볼 수 있다.[3] 첨언하면 한 발당 살상반경이 축구장 3개란 뜻은 그 넓이의 모든 표적을 다 제거 한다는것이 아니다. 로켓의 자탄의 파편이 날아가는 넓이가 축구장 3개 정도라는것. 그 넓이에 있더라도 생존하는 표적도 있을 수 있다.[4] #[5] 군단 포병여단은 완편대대로, 연대급인 사단 포병여단에 배치된 천무 사격대는 감편대대로 12문을 운용한다. 국방개혁 2.0에 따라 존속하는 부대만 계산해보면, 군단 포병여단 6개(수도, 1, 2, 3, 5, 7)에 1개 대대씩, 화력여단에 3개 대대, 그리고 해병대 사단과 육군 기계화사단 3개를 포함한 상비사단 17개의 포병여단(수기사, 1, 3, 5, 6, 7, 8기, 9, 11기, 12, 15, 17, 21, 22, 25, 해병1, 해병2)에 감편대대가 배치되면 얼추 366문이 나온다. 다만 여기에 연평부대, 해병대 제6여단의 사격반은 빠져있으며 육군미사일사령부의 대외비 부대에서 운용하는 수량이 따로 존재하므로, 정확한 양산 수량은 공식적인 발표가 있기 전에는 알기 어렵다. 현재 구룡 다연장로켓을 대체하고도 더 많은 분량이 양산되고 있다는 것 이외에 정확히 몇대가 배치되었는지 국방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는 없다.[6] 천무-2, 천무-3를 개발한다는데 이는 주한미군 제210여단의 철수에 대비한 것과 관련이 있다. 스메르치와 같은 동급으로 개발할 수도 있다. 일단 천무2는 ATACMS형 미사일과 카나드 장착형 로켓탄등 다양한 탄종을 장착 하고 천무3는 길이가 더 연장된 400mm급 다연장 유도 로켓의 형태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실제로는 ADEX 2023 에서 공개된 280mm 로켓탄의 정체가 천무-II 이고 천무-III는 연구 끝에 KTSSM-III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