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香爐峰·乾峰山 天然保護區域 Natural Reserve of Hyangnobong Peak and Geonbongsan Mountain |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서화면 일부, 고성군 수동면·간성읍 일부 |
소유자 | 산림청 외 |
관리자 | 강원도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보호구역 / 자연과학성 / 특수생물상 |
수량/면적 | 106,671,207㎡ |
지정연도 | 1973-07-10 |
|
정상부 전경. 시설물 바로 옆에 솟은 봉우리가 실제 정상이다. |
1. 개요
香爐峰강원특별자치도의 고성군과 인제군에 걸친 백두대간의 봉우리 중 하나. 높이는 1,296 m이다. 금강산의 일부에 속한다.
2. 생태
멸종위기종인 날개하늘나리, 금강제비꽃 등의 130여 종의 고산 초본식물이 생육한다. 지역주민들 사이에서는 취나물의 일종인 곰취가 유명하다.2006년 산림청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20년 12월에는 명품숲에 선정된 바 있다. #
3. 군사
향로봉은 남한에서 오를 수 있는 백두대간의 최북단인 동시에 군사적 요충지로서, 제12보병사단이 정상부에 독립중대를 설치했다.[1] 육군 블로그 아미누리의 소개글 참조. # 대한민국 육군 부대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는 상징성 때문에 언론의 관심도도 높다. 춘천문화방송에서 제작한 향로봉 부대 영상이 있다. # 그리고 통신 감청 관련 임무 부대도 주둔하고 있으나 깊게 알려고는 하지 말자.향로봉으로 향하는 전술도로는 매우 험하다. 진부령 정상에서 시작하는 전술도로에는 전봇대마다 적설량을 보여주는 눈금이 있다. 차량 이동이 가능하지만 길이 험해 고참급 병사가 아니면 운전이 어렵다. 겨울철 야간에는 운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다만 특수한 경우에 운행을 한 예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