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1:20:02

동경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 공인 품종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진돗개 · 삽살개 · 동경이 · 풍산개
비공인 품종 제주개 · 불개 · 발바리 · 오수개 · 코리안 마스티프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colbgcolor=#315288> 경주개 동경이
慶州개 東京이
Donggyeongi Dog of Gyeongju
파일:동경이.jpg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용명공단길 138-14 (건천읍)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특수성
수량/면적 200두
지정연도 2012년 11월 6일
소유단체 (사)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
관리단체 경주시 }}}

1. 개요2. 특징3. 역사4. 천연기념물 540호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견종. 천연기념물 540호로 지정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4번째 토종견이다. 경상북도 경주 지역에서 예부터 많이 길러온 한국의 토종 견종으로, 현지 방언으로는 댕댕이[1]혹은 댕견이라고도 불린다. 영어로는 Donggyeongi Dog라고 한다.

'동경이'라는 이름은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동경이의 원산지인 경상북도 경주시고려시대에는 동경[2]이라 불렀다. 아마도 현재의 명칭은 여기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경상도에서는 '댕갱이', 전라도에서는 '동개', 강원·경기도에서는 '동동개' 등으로 불린다.

2. 특징

외형상 진돗개와 매우 비슷한데 선천적으로 꼬리가 퇴화되어 몽똑하거나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을 영어로는 밥테일(bobtail)이라고 한다. 웰시 코기처럼 단미(斷尾, 꼬리 자르기)를 하여 후천적으로 꼬리가 짧은 견종도 있지만[3] 동경이는 선천적으로 밥테일인데, 만약 동경이가 국제견종으로 인정받는다면 밥테일이라는 특징 하나만으로도 외국에서 이 견종을 특별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나타날 수 있다.

수컷 기준 체고(어깨높이) 47~49 cm, 몸무게 16~18 kg 정도[4]의 중형견으로 진돗개풍산개보다 더 작은 편이다. 빛깔은 황색(황구)ㆍ흰색(백구)ㆍ검은색(흑구)ㆍ호랑이무늬(호구) 등 4가지를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은 둥글고 눈썹이 발달했으며 눈동자는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다. 는 양 사이가 길고 높이가 높으며 앞을 향해 쫑긋하고 정수리에 위치한다. 는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다. 백구나 호구의 경우 적갈색 빛을 띠기도 한다. 입술 부분은 검은색이며 구열은 깊게 파여 있지 않다. 은 길지 않고 근육이 잘 발달했다. 꼬리는 아예 드러나지 않는 무미(無尾)거나 길이 5 cm 이하의 단미(短尾, 짧은 꼬리)인데, X-ray를 찍어보면 미추의 마디가 단미견은 5-9마디, 무미견은 4마디 이하라고 한다.[5] 이때 이 꼬리 끝부분에 긴털이 나 있고 피부가 노루의 꼬리와 같이 뾰족하게 돌출되었다.

앞다리는 곧고 뒷다리는 몸체를 앞으로 미는 듯한 각도에, 목과 가슴이 발달하여 몸이 유연하고 민첩하며 후각도 뛰어나다. 은 둥근데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발가락이 촘촘하게 모였다.

기본적으로 낯을 많이 가리는 한국의 다른 토종견들과는 달리 사람과의 친화력이 매우 좋아 금방 친밀해질 수 있다. 낯선 사람을 봐도 잘 짖지 않고 골든 리트리버처럼 아무 사람 말이나 잘 듣는 특성 때문에 과거에 이 개를 바보 취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견주가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성격이 변화되기도 한다. 주인이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따라 일부 동경이들은 주인에게만 복종하고 타인들에게 낯을 무척 가리거나 사나운 개체들도 생긴다. 물론 기본 성격 베이스는 토종견 중 가장 순한 편이 맞다.

하여간 사람에게는 상당히 유순하지만, 이 녀석도 태생은 사냥개이다 보니 다른 동물이나 개들에게는 몹시 사납다. 특히 개들이 싸울 때 배를 뒤집어 복종과 항복을 표시하는 행위를 절대로 하지 않아 새끼일 때조차 다른 성견들에게 덤비다 죽는 경우도 종종 있다.[6] 유순하게 키우고 싶으면 주인이 새끼 때부터 잘 보듬어주고 여러 강아지나 동물들과 같이 지내게 해주는 것이 좋다.

사람이 반가울 때는 퇴화된 꼬리를 대신해 엉덩이를 마구 흔드는데, 실제로 보면 웃기고 귀엽다. 실제로 친한 사람에게는 엉덩이를 들이밀지만 성견의 경우 힘이 세서 힘들다.

3. 역사

실제로 존재하는 견종 ‘댕댕이’

기록상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한국의 개로, 지금으로부터 2천여 년 전인 신라 때부터 한국인들이 꾸준히 길렀던 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부분의 강아지 혈통 족보가 근현대 시대인 빅토리아 시대 때 켄넬 클럽(Kennel Club)이 공식적으로 발족하면서 본격적으로 분화되기 시작했으므로, 세계적인 기준으로 봐도 굉장히 역사가 오래된 몇 안 되는 견종이다.

문헌적으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ㆍ동경잡기(東京雜記)ㆍ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외 옛 문헌 수십 편에서 "노루를 닮은 개"[7] 또는 "동경구"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노루와 사슴 꼬리를 닮아 장자구(獐子狗) 또는 녹미구(鹿尾狗)라 불렀다."라고 나온다. 조선 순종 때 간행된 증보문헌비고 12권의 고려조에 '이상한 개'가 적혀 있는데 이에 따르면 "동경의 지형은 머리만 있고 꼬리가 없는 형상인 까닭에 그곳에서 태어난 개는 꼬리가 없는 것들이 많았다. 그리하여 속언으로 꼬리가 없는 개를 '동경견(東京犬)'이라고 한다." 하였다.

문헌외적으로는 신라시대인 5~6세기에 만들어진 토우에서 꼬리가 뭉툭한 개들이 많이 등장하므로 최소 신라시대 때부터 많이 길러졌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때 개체수가 급감했는데, 당시 일제가 전쟁 물자용으로 개 가죽을 얻기 위해 개들을 대량 도살한 것이 원인이었다. 일본 신사의 수호견 코마이누를 닮았다는 이유로 학살당하였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사실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이전까지 국내에서는 잘 알려진 진돗개풍산개, 삽살개 정도만 토종견으로 인정하고 있을 뿐 동경이는 토종견으로 공인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석규 교수와 동경이보존협회 같은 단체의 노력에 의해 동경이의 혈통 고정이 이뤄지는 한편 서서히 그 개체수가 늘어났으며 그 결과 동경이는 2010년 10월 11일에 엄격한 심사를 거쳐 한국의 4번째 토종견으로 공인되었고# 2011년에 아시아 견종 인증까지 마쳤다. 2012년 11월 16일에는 천연기념물 제540호로 지정되었다.

2018년 1월 1일 기준 487마리가 있었다.#

4. 천연기념물 540호

경주지역에서 사육된 것으로 알려진 동경이는 <동경잡기(東京雜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 옛 문헌에 자주 등장하였고, 신라고분에서 토우로 발굴되는 등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현재 경주에서 사육 중인 경주개 동경이는 단미(短尾)·무미(無尾)를 특징으로 하는 문헌 기록과 외형적으로 일치하고, 유전자 분석결과 한국 토종개에 속하는 고유 견종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경주개 동경이는 개체 이력관리, 질병관리, 번식관리, 혈통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 등 체계적인 보호·관리를 통해 300여 두가 사육되고 있다.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합천백조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맹산의만주흑송수림}}}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통의동의백송}}}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내자동의백송}}}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원효로의백송}}}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회현동의백송}}}
  1. 서울 재동 백송
  2. 서울 조계사 백송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연희동의수지적송}}}
  1. 광릉 크낙새 서식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진나학도래군서지}}}
  1.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의미선나무자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백조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밀양의백송}}}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당진학도래지}}}
  1.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2.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해주학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연안학(황새)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연안학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백천학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진학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선천랍도고양이갈매기,쇠백로,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26
  1.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2. 완도 주도 상록수림
  3.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4.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대강면의은행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화산의소나무갈졸참나무포합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금성면의느티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옥룡면의팽나무}}}
  1. 강진 사당리 푸조나무
  2.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례면의이팝나무}}}
  1.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2.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3.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중문면의녹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평양목단대의화석입목}}}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평양남산리의화석림}}}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송광사의이팝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죽청리의동백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대문리의팽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석문동의오동나무}}}
  1.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2.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3.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해남학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해남학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보천보 검은담비 서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어의궁의은행나무}}}
  1. 서울 문묘 은행나무
  2. 고양 송포 백송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의측백수림}}}
  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4. 울주 목도 상록수림
  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선남리의음나무}}}
  1.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금란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1.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잠실리의뽕나무}}}
  1.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2.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장성면의 왕버들}}}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개성리의백송}}}
  1.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무안사마리의동백나무}}}
  1.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안월평리의상수리나무,소나무포합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안의줄사철나무자생북한지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금구의송악자생북한지대}}}
  1.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2. 경주 오류리 등나무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벌교의 은행나무}}}
  1.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원성성남리의수림지}}}
  1. 원성 성남리 성황림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삼척의회화나무}}}
  1.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2.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주문진교항리의밤나무}}}
  1. 제주 김녕굴만장굴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예산학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산학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 보은 속리 정이품송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보은의백송}}}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여의동매}}}
  1. 예산 용궁리 백송
  2.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3.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귀포의곰솔}}}
  1.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2.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3.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2.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청송의향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음성의학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예산삽교의학도래지}}}
  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구례원달리의산수유}}}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철산책도의저어새,고양이갈매기,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풍산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칠보산개심사의중국율}}}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명천운만대의고려세}}}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대초도의산벚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수라의산벚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개성크낙새서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의학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오골계}}}
  1.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안면도의굴거리나무군락}}}
  1.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해안면의갯노가자·소사나무군락}}}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귀성면의떡갈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수산면의중국율}}}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참면의들매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양산면의나도박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전천면의잣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후창의조릿대군락}}}
  1.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2.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속리의망개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난읍비자림}}}
  1.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2.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3. 함양 상림
  4. 울진 성류굴
  5.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1. 울진 후정리 향나무
  2.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3. 제주 산천단 곰솔 군
  4.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5.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6.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7.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8.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9.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0.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1.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2.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3. 홍도 천연보호구역
  14.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15.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16.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17.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18.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1. 익산 천호동굴
  2.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3.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4.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하청의 느티나무}}}
  1.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2.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3.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4.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양산 석계리의 이팝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양정동의이팝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익산신작리곰솔}}}
  1. 울릉 성인봉 원시림
  2. 한강의 황쏘가리
  3. 제주의 한란
  4. 청송 신기리 느티나무
  5. 청송 관리 왕버들
  6. 창덕궁 향나무
  7. 제주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
  8. 의령 서동리 백악기 빗방울자국
  9. 크낙새
  10. 따오기
  11. 황새
  12. 먹황새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 두루미
  2. 재두루미
  3. 팔색조
  4. 저어새(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
  5. 느시
  6. 보은 속리산 망개나무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삼천 포학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1. 여주 신접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해남 방축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1.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영암금강리의향나무}}}
  1.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
  2. 흑비둘기
  3. 사향노루
  4. 산양
  5. 장수하늘소
  6. 영월 고씨굴
  7. 괴산 추점리 미선나무 자생지
  8. 괴산 율지리 미선나무 자생지
  9. 함안 용산리 백악기 새발자국 화석산지
  10.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11. 밀양 남명리 얼음골
  12.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통영도선리백로와왜가리번식지}}}
  1.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2.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3.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4.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5.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황금굴,협재굴)
  6.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7. 금강의 어름치
  8.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9. 서울 선농단 향나무
  10.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1. 까막딱따구리
  12. 독수리(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3. 소백산 주목군락
  14. 철원 철새 도래지
  15.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16.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17.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8.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19.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 안동 구리 측백나무 숲
  2. 이천 신대리 백송
  3. 서울 삼청동 등나무
  4. 서울 삼청동 측백나무
  5. 단양 고수동굴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인천연희동및경서동의두루미도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무태장어}}}
  1. 어름치
  2. 평창 백룡동굴
  3. 단양 온달동굴
  4. 단양 노동동굴
  5.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용주사회양목}}}
  1. 연산 화악리의 오계
  2. 괴산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
  3.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4. 장흥 어산리 푸조나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무안망운면의곰솔}}}
  1. 부산 좌수영성지 곰솔
  2.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3. 삼척 갈전리 당숲
  4. 영풍 단촌리 느티나무
  5. 영풍 태장리 느티나무
  6. 안동 사신리 느티나무
1.#2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양성면의느티나무}}}
  1. 양주 황방리 느티나무
  2.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
  3. 김제 행촌리 느티나무
  4.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안부귀면의느티나무}}}
  1. 영암 월곡리 느티나무
  2. 담양 대치리 느티나무
  3. 영풍 병산리 갈참나무
  4. 파주 무건리 물푸레나무
  5.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6. 안동 대곡리 굴참나무
  7. 합천 화양리 소나무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괴산 삼송리 소나무}}}
  1. 무주 삼공리 반송
  2. 문경 화산리 반송
  3. 상주 상현리 반송
  4. 예천 천향리 석송령
  5. 청도 동산리 처진소나무
  6. 김제 종덕리 왕버들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청송부곡동의왕버들}}}
  1. 청도 덕촌리 털왕버들
  2.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3. 금릉 조룡리 은행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무주설천면의음나무}}}
  1.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고성하이면의팽나무}}}
  1. 부산 구포동 당숲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무안현경면의팽나무}}}
  1.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2. 울진 화성리 향나무
  3. 청송 장전리 향나무
  4.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5.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괴정동의회화나무}}}
  1.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2.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3.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4.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5. 연기 봉산동 향나무
  6.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7. 매류(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8. 올빼미류, 부엉이류(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9. 기러기류(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2.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3.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4.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5.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6.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7. 통영 추도 후박나무
  8.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9. 제주의 제주마
  10.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11. 영월 청령포 관음송
  1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명주삼산리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 보은 서원리 소나무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천신송리의곰솔}}}
  1.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
  2. 전주 삼천동 곰솔
  3. 장흥 옥당리 효자송
  4. 구미 독동리 반송
  5. 함양 목현리 구송
  6. 의령 성황리 소나무
  7.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
  8. 노랑부리백로
  9.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
  10. 삼척 궁촌리 음나무
  11.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12.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13. 담양 관방제림
  14. 고창 삼인리 송악
  15. 경산의 삽살개
  1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흑산도진리의초령목}}}
  1.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
  2.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군락
  3. 양구 개느삼 자생지
  4.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5.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6. 제주 납읍리 난대림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오르도비스기 화석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문경존도리의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1.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2.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3. 정선 산호동굴
  4. 평창 섭동굴
  5. 태안 내파수도 해안 자갈톱
  6. 경산 대구가톨릭대학교 백악기 스트로마톨라이트
  7.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8. 영덕 도천리 도천숲
  9.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0.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1. 제주 물장오리 오름
  12.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3. 영양 무창리 산돌배
  14. 강릉 방동리 무궁화
  1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충무공동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2.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3. 제주 강정동 담팔수
  4.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5. 제주 흑우
  6.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7.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8. 정선 용소동굴
  9.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1] 실제로는 지방홍보 프로젝트 일환으로 널리 퍼진 댕댕이란 말을 차용했을 뿐, 현지 방언으로 댕댕이라 쓰이진 않는다.[2] 마찬가지로 수도였던 개경을 제외한 지방의 주요 도시를 서경, 남경 등으로 불렀다.[3] 미관 기준으로 꼬리가 단미된 것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다만 요새는 단미를 안 하는 추세로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 단미금지국가들의 펨브로크 웰시코기들만 의도적으로 밥테일이 유지(50-60%)된다. 다른 단미 허용 국가들에선 자유로이 번식시킨 후에 대부분 단미한다. #[4] 암컷 기준 체고 44~47 cm, 몸무게 14~16 kg[5] 일반적인 개들은 꼬리뼈가 18~22마디이다.[6] 사실 사냥개 품종들이 다른 동물들에게 사납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자주 보인다. 수렵용으로 길러졌다보니 타 동물을 쫓아다니거나 공격하는 경향성이 발달되었다.[7] 노루는 꼬리가 뭉툭하다.[8] 2023년 기준[9] 2025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