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濟州 沙溪里 龍머리 海岸 Yongmeori Coast in Sagye-ri, Jeju | |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남로216번길 24-32 (사계리) |
소유자 | 건설교통부 외 |
관리자 | 제주특별자치도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
시대 | 신생대 |
수량/면적 | 51,132㎡ |
지정연도 | 2011-01-13 |
|
|
1. 개요
용머리해안은 서귀포시 안덕면에 위치한 해안가이다. 용머리해안은 산방산과 인접해 있다.2. 상세
용머리해안은 산방산 부근에 위치해 있어서 지리적으로 산방산과 가깝다. 그리고 202번 버스가 산방산을 지나는 경우가 많으며 산방산 부근을 지나간다. 용머리해안에는 헨드릭 하멜이 표류했을 때의 배를 재현해놨다.[1] 이에 용머리해안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많은 편이다.용머리해안은 삼양해수욕장 같이 검은 모래가 특징이다.
3. 가는 방법
전술했다시피 산방산과 가깝다보니 산방산에서 내려서 가는 방법도 있다. 202번 버스가 산방산을 통과하지만, 통과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4. 현황
5. 천연기념물 제526호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은 바닷속 세 개의 화구에서 분출된 화산쇄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해안으로, 성산일출봉, 수월봉과 달리 화구가 이동하며 생성된 지형적 가치가 크다.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수성화산이며, 해안의 절벽은 오랜 기간 퇴적과 침식에 의해 마치 용의 머리처럼 보이는 경관적 가치도 있다.
※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2021. 7. 26. 고시)
※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2021. 7. 26. 고시)
[1] 다만, 용머리해안에서 하멜이 표류한 것에 대해 의견이 나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