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20:06:35

포켓몬스터/2차 창작

포켓몬/동인 만화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CC00><tablebgcolor=#FFCC00>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포켓몬스터
관련 문서
}}}
<nopad>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5%;margin-top:4px;text-align:center;word-break:keep-all"
{{{#!folding [ 캐릭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
포켓몬
]]
분류별 목록 · 전국도감 ·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5세대 · 6세대 · 7세대 · 8세대 · 9세대
스타팅 포켓몬 · 전설의 포켓몬 · 환상의 포켓몬 · 진화 계보 · 600족 · 화석 포켓몬 · 베이비 포켓몬
모습이 다른 포켓몬 (폼 체인지 · 리전폼 · 다이맥스 · 색이 다른 포켓몬) · 기타 유형
사기 포켓몬 ·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등장
인물
관동 · 성도 · 호연 · 신오 · 히스이 · 하나 · 칼로스 · 알로라 · 가라르 · 팔데아
주인공 · 라이벌 · 포켓몬 박사 · 체육관 관장 · 사천왕 · 챔피언 · 악의 조직 · 트레이너 (네임드)
주인공의 어머니 · 간호순 · 체육관의 어드바이서 · 국제경찰 · 보관 시스템 관리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0%;margin-top:4px;text-align:center;word-break:keep-all"
{{{#!folding [ 공략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기초 지식능력치 · 랭크 · 상태이상 · 진화 (메가진화) · 타입 · 환경 변화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공략|
스토리 공략
]]
관동 · 성도 · 호연 · 신오 · 히스이 · 하나 · 칼로스 · 알로라 · 가라르 · 팔데아
기초 공략 · 너즐록 챌린지 · 저렙 플레이 · 난이도
대전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5세대 · 6세대 · 7세대 · 8세대 · 9세대
대전 · 배틀 룰 · (싱글배틀 · 더블배틀) · 사기 포켓몬 목록 · 랜덤 매치 · 우선도 · 결정력
육성종족치 · 성격 · 기초 포인트 · 친밀도 · 포켓러스 · 경험치
교배 · 개체치 · 키우미집 · 알까기 · 확정 교배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5%;margin-top:4px;text-align:center;word-break:keep-all"
{{{#!folding [ 시스템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도구[ruby(배틀, ruby=도구 포켓)] (기술 · 능력치 · 전용) · 육성 · 필드 · 진화 · 회복 · 몬스터볼 · [ruby(배틀, ruby=배틀 포켓)] · 나무열매
기술머신 · 비전머신 · 기술레코드 · 메일 · 보물 · 중요한 물건 · 포켓몬 도감 · 주요 기기
기술기술 · 타입별 · 성능별 (선공기 · 일격기) · 성질별 · Z기술 · 기술 습득법 · 주요 기술
지역관동 · 성도 · 호연 · 신오 · 히스이 · 하나 · 칼로스 · 알로라 · 가라르 · 팔데아
시설포켓몬센터 · 프렌들리숍 · 도로 · 포켓몬체육관 · 챔피언로드 · 포켓몬 리그
트레이너 스쿨 · 사이클링 로드 · 사파리존 · 배틀타워 · 배틀프런티어
기타통신 교환 (GTS · 미라클 교환) · 세대 간 연동 · 리본 · 대량발생 · 동행 포켓몬 · 별명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0%;margin-top:4px;text-align:center;word-break:keep-all"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FCC00><colcolor=#3861AD>설정세계관 추측 · 포켓몬 마스터 · 신오신화
역사시리즈 · 게임 발매 연표 · 게임 전통 · 게임프리크 · 국가별 명칭
평가작품별 평가 · 비판 및 문제점 (개별 비판)
사건 사고버그 · 오류 · 오역 · 에딧 포켓몬 · 에메랄드 루프 · 개별 사건 사고
미디어 믹스
슈퍼 뮤직 컬렉션 · 외전 게임 · 애니메이션 · 포켓몬스터 SPECIAL · 포켓몬 카드 게임 · 포켓프라 · POKÉDANCE · Project VOLTAGE
팬덤포켓몬덕후 · 2차 창작 · 괴담 · · 게이머 · 2차 창작자
이벤트
Pokémon Presents · 포켓몬 월드챔피언십 · 배포 일람 · 인기투표 · 조기 예약 특전
같이 보기: 게임(육성) · 애니메이션 · 극장판 · 닌텐도 게임
}}}}}}}}} ||
1. 편집 가이드2. 목록
2.1. 만화2.2. 게임·개조판2.3. 소설2.4. 영상·유튜버2.5. AA작품
3. 여담

[clearfix]

1. 편집 가이드

2. 목록

2.1. 만화


문서 미개설

2.2. 게임·개조판

포켓몬스터 2차 창작 게임은 원작을 기반으로 후속 세대 포켓몬 및 시스템을 첨가한 개조 버전과 원작 요소 및 소스를 기반으로 창작 지방을 만드는 오리지널 팬 게임으로 나뉜다. 대개 2~4세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3DS 기반은 드문 편이다.

참고로 포켓트레이너 DX, 포켓 오리진, 몬스X몬스 등은 2차 창작이 아니라 공식의 허가를 받지 않고 영리적인 목적으로 무단으로 표절·도용한 불법 이미테이션 게임이다. 헷갈리지 말자.

문서 미개설

관련 개조 툴

이 외에도 이 곳이 곳, 그리고 이 곳 이 곳에서 많은 개조 롬들을 볼 수 있다(파일 다운 시에 랜섬웨어 같은 바이러스 감염이 있으니 조심). 한국에서도 2010년도 전후에 네이버 카페를 거점으로 개조 롬 제작 카페가 성행하며 GBC에 어나더 골드(by 바이러스), 미라클(by 팀 세그레토), 그레이(by 팀 그레이), GBA에 모에몬 파이어레드 R 改(by 켈로그), 래피드(by 프로젝트 플라이) 등 여러 유명한 작품이 나왔으나 카페가 저작권 문제로 신고를 당하여 계속 폐쇄를 반복하다 보니 지친 회원들이 서서히 없어져서 쇠퇴하게 되었다.

더 알고 싶다면 국내의 포켓몬 개조 롬 게시판(레쿠쟈 갤러리)Play and Create Pokémon Hacks 서브레딧Pokémon RPG Maker XP 서브레딧, 포켓몬 팬 게임 위키 참조.

2.3. 소설


문서 미개설

2.4. 영상·유튜버


문서 미개설

2.5. AA작품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포켓몬들보다는 인간·인간형까지 포함한 각종 다른 작품의 캐릭터들을 '현대종' 등의 이름으 포켓몬으로 취급하여 다루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트레이너, 배틀, 체육관 관장 등의 시스템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정작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주역인 포켓몬의 비중이나 역할이 원작과 다른 경우가 많기에 포켓몬스터의 2차 창작보다는 포켓몬에서 모티브만 따온 AA작품 내의 한 분류로 보는 것이 옳을 수 있으며, 포켓몬 팬들에게 호불호가 상당히 갈릴 수 있다.

각 작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 항목과 AA작품/목록 항목 참고.

3. 여담

재미있는 우연이 있는데, 바로 과거에 포켓몬스터 본가 시리즈를 흉내내서 나온 개조 롬들의 타이틀들은 나중에 반드시 어떤 형태로든지 진짜로 '본가 게임의 타이틀로 채용된다'는 우연이다.

포켓몬스터 에메랄드 버전, 포켓몬스터 다이아몬드·제이드 버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버전,[37] 포켓몬스터 골든선(골든썬)·실버문 등이 그 우연의 예시다.

[1] 파라스 - 파라섹트는 사실 아래의 벌레보다 버섯(동충하초) 쪽이 포켓몬이라 할 수 있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단순히 버섯포자라는 게 아니라 포켓몬에 의하여 점점 지배당하게 되는 세계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가 동충하초로 인해 벌어지는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시작이라는 느낌이다보니 라스트 오브 어스도 떠오르게 한다.[2] 일단 배경 자체는 4세대지만 타입, 기술등은 6세대도 있다. 회상장면 중 레이싱하던 사람들사이에 파이어로불카모스가 날아다닌다던가, 태엽산을 보여주는 방송에서 프리지오가 나온다던가, 푸린이 노말/페어리타입이거나, 포켓파를레가 나온다거나. 빛나가 잡은 킬리아는 장막체육관전에서 매지컬샤인을 썼다. '하얗게 닫혀진 길'에서는 빛나가 먹던 찻잔에 7세대 스타팅 포켓몬나몰빼미가 그려져 있다. 최신화인 '분노의 오리'에서는 투구뿌논이 등장. 킬리아가 힘겹게 쓰러트리고 가디안으로 진화한다.[3] 또한 국내 팬들은 우스갯 소리로 입을 모아 어떤 콩의 포켓몬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고 있다.[4] 최신화에서 봉신마을 간호순이 어머니에게 들었다는 소리로 보아, 봉신마을에 있었다는 것이 확인됐다. 10여년 전, 상처 입은 야생 고라파덕을 치료해줬더니, 매일 아침마다 물고기를 가져와 줘서, 어디서 가져오나 보러 갔더니, 낚시대로 낚고 있었다고. 아니, 그럼 낚시는 어디서 배운 거야? 그래서 봉신마을로 가려고 하지 않았던 건가[5] 최신화인 하얗게 닫혀진 길에서 나온 묘사에 따르면 원래 예지호수 출신으로 보이며, 거기서 따돌림당해 봉신마을을 거쳐서 떡잎마을까지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빛나와 천관산에서 눈보라를 헤치고 예지호수에 갔더니, 고라파덕들이 진흙을 던지고 난리가 아니었다. 반격하지도 않고 아주 풀죽은 골덕이 씁쓸해 보인다. 그 도중, 진흙이 빛나에게 맞자, 화가 치밀었는지 기술을 쏘려고 했지만, 고라파덕들이 물러서자 바로 풀죽어서 기술을 멈추기도 한다. 단, 선단시티에 도착한 다음날, 예지호수에 수상한 녀석들이 탄 헬기가 착륙하자, 무언가를 각오한 듯 예지호수로 먼저 걸어갔다.[6] 초기에는 개그만화란 시각이 강렬했으나, 점점 갈수록 배틀횟수가 늘어나고 그 퀄리티 또한 장난 아니다. 그리고 골덕을 찬양 특히 장막체육관전의 골덕 VS 루카리오는 직접 보길 추천.[7] 크리스와 코토네 등 등장인물들이 전부 등장! 취급으로는 또 다른 지방 및 평행 세계로 취급 하는 듯하다.[8] 치코리타를 좋아하는 바보 변태로 등장.(…)[9] 정작 2세대 은동이는 강력한 포스를 보여주고 있다.[10] 살짝 후술할 현실 같은 전투를 보여주는 악타입 포켓몬하는 만화랑 비교하면 이건 여러 의미로 현질적인 스토리와 연출이다.[11] 밀탱크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으로 취급당하고,(원작 파괴) 치코리타는 이건 아예 개그 소재이고(…), 게다가 광기가 넘쳐나는 면도 없지 않다.[12] 참고로 현재는 '마티니사탕'이라는 필명으로 카카오페이지에서 '내 어깨 위에 공룡'이라는 작품으로 데뷔했다.[13] 작가가 데뷔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그 데뷔작마저도 건강 문제로 무기한 휴재에 들어간 터라 이 작품이 다시 나올 일은 영원히 없다고 보아도 된다.[14] 모음곡이란 뜻.[15] 현재 홈페이지는 폐쇄[16] 나중에 추가된 신작으로, 게임 포켓몬스터 XY의 발매를 기념하며 만든 만화이다. 이 작품과 무제의 님피아 진화 버전을 포함한 완전판 동인지도 같이 발매하였다.[17] 사람들이 이브이로 알고 있지만 해당 회차의 픽시브상 제목이『 』이다.[18] 혹은 이브이 만화나 네가 가르쳐 준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19] 레드 또한 에브이가 아닌 라프라스를 가지고 있다. 근데 레드는 모자만 빼고 복장은 1세대풍.[20] 작중 그린의 이브이가 말하길 레드의 멤버 중엔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는 멤버는 한 마리도 없고, 그저 레벨이 높으니까 평범한 포켓몬과 차이가 나는 것뿐이라며 전원이 덤벼든다 해도 자기 혼자 쓰러뜨릴 자신이 있단다. 단 레드의 지휘를 받을 경우라면 한 마리가 덤빈다 해도 이길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다고.[21]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를 비롯한 DP의 후속작의 설정은 반영되지 않았다. 어디까지나 DP의 2차 창작인 것으로, 정사하고는 다른 일종의 IF라고 할 수 있다.[22] 1화의 업로드 시간이 2013년 12월 9일 오후 2시 21분으로, 같은 날 7시에 XY 9화인 미아레 체육관 공략! 시트론의 비밀!!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한달에 한편꼴로 올라오는걸 생각해보면, 실질적으로 10월 말에서 11월 초, 즉 1화에서 4화가 방영된 사이에 1화를 그리기 시작했다고 보는 게 맞다![23] 참고로 지우는 애니에서는 알랭과 메가 리자몽X를 한 번도 이기지 못했지만 여기에서는 지우는 알랭과 메가 리자몽X를 상대로 승리하였다.[24] DP에서 나온 파동탄 리오르[25] 이건 어디까지나 장단 맞추기용. 실제로는 아이리스와의 커플링 내용은 거의 없다시피 한다.[26] 덧붙여서 분명히 하나지방 대표로 슈티가 나올 거라고 지우의 입으로 언급되었는데, 정작 하나지방 대표로 나온 사람은 아이리스였다. 21화에서 "슈티가 아니라 미안하게 됐네요"라며 삐진 아이리스는 덤.[27] 특정한 속성의 적에게 그와 맞는 색상의 규토리를 적에게 던지면, 해당 적을 쓰러뜨렸을 때 동료로 들어올 확률이 높아진다.[28] 예를 들면 꼬렛은 꼬리선이나 지그제구리 정도의 포켓몬으로 바꾸게 하고 망나뇽 같이 강력한 포켓몬으로 바뀌지 않게 한다.[29] 트켓몬4는 파이어레드, 트켓몬6은 하트골드를 이 프로그램으로 돌려서 진행했다.[30] 작가가 소개 페이지에서부터 어차피 자기가 쓰는 것도 2차 창작물이니 자기 팬픽 관련해서 허락을 구하지 않아도 되며 자유롭게 이 도감 설정을 활용해도 괜찮고 대신 링크를 달아두면 고맙겠다고 직접 써둘 정도로 굉장히 관대한 편이다.[31] 예를 들어서, 포켓몬의 기술의 경우, 원래 기술의 타입에 더하여 자신의 타입의 에너지도 조금은 섞여들어가면서 상성에 영향을 준다거나 반대로 물 단일 타입인 고라파덕이 사용하는 비자속 사념의박치기가 기본 스테이터스도 높은데다가 자속보정을 받은 루카리오그로우펀치를 기술끼리의 타입상성을 이용하여 완벽하게 상쇄한다거나(사념의박치기:에스퍼>격투:그로우펀치), 기술폭이 적기 때문에 오히려 적은 기술폭을 변태적으로 파고드는(예를 들어서 목호는 포케스페에 나오는 휘어지는 파괴광선을 특기로 삼는다) 트레이너들을 보여준다거나 하는 식.[32] 인간과 같은 이종족 없이 포켓몬만 등장하는 세계관은 불가사의 던전 이외에는 제대로 묘사된 적도 없는 데다 그 설정마저 상당히 느슨한 편이라 세계관 구성이 인간과 함께 등장하는 포켓몬 계열 2차 창작보다 훨씬 자유로운 경향이 있다.[33] 고지는 무슨 드릴을 가지고 있질 않나, 두트리오는 심지어 변신까지도 한다.[34] 일부 에피소드에선 원작과 다른 부분이 있다. 예를 들면 원작에선 실프주식회사 결전이 레드 VS 비주기 둘만의 싸움이었으나 여기선 레드가 지금까지 만난 동료들과 로켓단 간부 4인방까지 합세하였다.[35] 원래 이름은 그린이지만 서양에서는 블루로 번역되였다.[36] 이슬이, 블루, 칸나, 그리고 원작에선 비중도 많이 없는 그린의 누나 등등 다양한 여성 캐릭터들이 거유로 등장하거나 서비스씬이 난무하니 주의하자.[37] 당연히 그 5세대가 아니라 과거 1세대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버전의 개조 롬이다. 그리고 도시전설과 5세대의 블랙 버전과 이름이 겹친 덕분에 의도치 않게 검색되어 인지도가 높아졌다. 5세대 블랙 버전과 구분하기 위해서 '고스트 블랙'(GHOST BLACK)이라고 부른다. 자세한 것은 보라타운이나 포켓몬스터 블랙 버전 또는 포켓몬스터 고스트 블랙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52
, 8.2.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52 (이전 역사)
문서의 r28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