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6:40:44

이승현(2002)

좌승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승현의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이승현(2002)/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이재익 · 4 육선엽 · 15 이상민 · 17 김대우
· 18 원태인 · 19 양현 · 20 이승현 · 21 오승환
· 27 김태훈 · 28 김윤수 · 29 백정현 · 35 이승민
· 37 최하늘 · 40 최지광 · 43 레예스 · 44 김대호
· 45 임창민 · 51 최충연 · 54 최성훈 · 55 이호성
· 57 이승현 · 61 황동재 · 62 김재윤 · 64 송은범
· 65 홍원표 · 66 박준용 · 67 정민성 · 102 유병선
· 109 박시원 · 110 신경민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 # 박주혁 · # 이재희 · # 최원태 · # 후라도
· # 배찬승 · # 권현우 · # 홍준영 · # 천겸
· # 우승완 · # 진희성 · # 김백산 · # 김유현
· # 최예한
최종 편집: 2024년 12월 6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이승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태한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황성관
{{{#!folding (고졸)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권혁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김동명
김상걸
우동균 김상수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정현(2)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이승현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4번
구준범
(2020)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승현
(2021~2023)
최성훈
(2024~)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등번호 40번
팀 데이
(2017-18)
이승현
(2023-24)
마코토 쿄모토
(2024-2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7번
와이드너
(2023.8.11.~2023)
이승현
(2024~)
현역
}}} ||
}}} ||
파일:24 이승현(좌) 고화질.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57
이승현
李昇玹 | Lee Seung-hyun
출생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남도초 - 경복중 - 대구상원고 - (대구대)[1]
신체 183cm, 93kg[2]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21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1~)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2023/24)
연봉 2024 / 7,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Lil Nas X - 《STAR WALKIN’》 (202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가족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
종교 불교[3]
MBTI ESTP#
소속사 어썸스포츠[4]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선발 전향 후
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승현(2002)/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데뷔 시즌에는 권혁을 연상시키는 좌완 파이어볼러의 전형이었으나 허삼영 체제에서 혹사를 겪고 자기관리 문제도 겪은 현재는 구속이 리그 평균을 살짝 하회하는 정도가 되었다.[5] 그래도 나이가 어리고 데뷔 시즌의 충격적인 고점으로 인하여 양창섭, 최충연 등과 함께 아직 터지지 못한 삼성 투수 유망주 중에선 실링 최상위권으로 분류되고 있다.

겉보기엔 다소 투박한 투구 폼을 가지고 있지만, 탄탄한 하체를 바탕으로 묵직한 구위를 자랑한다. 디셉션 동작도 뛰어나 상대에게 쉽게 공략당하지 않는다. 변화구는 주로 슬라이더와 커브를 던지며, 독특하게도 오프스피드 피치는 하나도 안 던진다.[6]이 변화구들은 각이 매우 크기에 구속이 느려진 후에도 좌승현의 피칭을 지탱하는 핵심 무기이다. 공이 밋밋해져서 더 이상 힘으로 타자를 압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변화구의 각으로 상대 타자들을 농락하는 모습이 간혹 나온다. 큰 각에 걸맞게 회전수가 상당히 높게 찍히는데, 커브의 경우 고교 시절 이미 RPM이 무려 2,600대에 이르렀고(랩소도 측정값).[7] 프로에서는 아직 체인지업을 구사한 적이 없지만 시즌 전 장착한 체인지업을 조금 더 가다듬으면 충분히 위협적일 것으로 예상된다.[8] 위기 상황에서도 표정 변화가 거의 없는 포커 페이스.

종합적으로, 노쇠화 이후의 클레이튼 커쇼와 플레이 스타일이 매우 비슷하다. 실제로 선발 전향 이전까지 이승현은 상승 무브먼트가 우수한 직구를 바탕으로 슬라이더와 낙차 큰 커브를 섞어서 던지는 유형이었으며, 다른 구종은 단 하나도 던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커쇼와 유사했다. 단, 제구력이 안정적인 커쇼와 달리 이쪽은 구속과 제구력 모두 기복이 상당히 심하기에 아직까지는 성장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9]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구속의 기복. 평균 구속은 142km~143km로, 아주 느리다고 볼 수는 없지만 문제는 구속이 130km 중반~150km까지 널뛰기가 심하며 패스트볼 구속과 컨디션이 연결되어 간혹 평균 구속이 140km/h 전후로 떨어질 때가 있을 때에는 아웃카운트 하나조차 잡기 힘들어한다. 좋을 때는 140km/h 후반의 패스트볼을 던져 삼자범퇴를 가볍게 하지만 때로는 1이닝조차 마무리짓지 못하고 6실점을 허용하는 등, 기복이 크다.

3.1. 선발 전향 후

2024년 선발로 전향하고 나서 구속 기복이 많이 줄었고 변화구의 무브먼트를 이용하여 탈삼진을 무더기로 잡아내고 있다. 팔각도를 오버핸드에서 약간 낮춘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동시에 2023 시즌의 부진으로 정신을 차리고 살을 빼며 워크에식이 개선된 것이 기량 향상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박희수와 함께 투심과 커터를 장착했다고 한다.

특히나 2024년 기준으로는 체인지업과 커터의 투구 비중이 늘어나며 단조로웠던 투구 패턴이 다채로워졌다.

다만 구속은 체중 감량의 영향인지 과거에 비해 꽤 감소해 포심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은 139km/h 정도가 찍힌다. 최고 구속은 147km/h 정도로 형성된다.[10] 그러나 구속 대비 구위는 여전히 좋은 편이고 무엇보다도 피칭의 완성도가 이전과는 차원이 다르게 좋아져 이제 타자들을 상대로 제대로 된 승부가 가능해졌기에 구속 하락이 부각되지는 않는 편이다. 구속이 느려지며 선발 투수로 더 나은 성적을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팀의 백정현이나 LG 김윤식이 연상되기도 한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승현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1 삼성 41 1 4 0 7 39⅓ 5.26 35 3 23 3 46 1.47 112.79 0.54
2022 58 2 4 1 14 47⅔ 4.53 43 5 21 3 57 1.34 106.89 0.25
2023 48 1 5 5 7 43⅓ 4.98 41 6 29 2 37 1.62 116.40 0.07
2024 17 6 4 0 0 87⅓ 4.23 88 9 37 6 68 1.43 81.15 2.70
KBO 통산
(4시즌)
164 10 17 6 28 217⅔ 4.63 207 23 110 14 208 1.46 99.52 3.56

5. 여담

6. 관련 문서



[1] 프로 데뷔 후 입학, 문화예술학부 22학번[2] 원래 100kg가 넘는 거구였으나, 2024년 기준으로 살을 많이 뺐다.[3] 인스타에 卍 (만자 만)이 적혀 있다.[4] 팀 동료 강민호, 김지찬, 이재현이 소속되어 있다.[5] 좌완 이승현의 구속 저하는 삼성을 넘어서 KBO 리그의 처참한 투수 육성능력을 평가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사례가 되었다.[6] 2024년부터는 체인지업을 조금씩 던지기 시작했다.[7] 2,500대를 넘어가면 준수한 편. 즉, 이승현의 경우는 프로에서도 최상위권 수준인 것이다.[8] 24년 6월 9일 투구를 마치고 한 인터뷰에서 원태인의 체인지업을 배우려 했지만 잘 안 됐다고 말했다. 전에도 원태인에게 체인지업을 배웠다는데 아직 써먹기는 힘든 모양.[9] 삼성 관계자는 이승현을 뽑을 때 "원태인, 최충연보다 내구성이 좋고 황동재보다 공격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내구성 면에서는 국대까지 꼬박꼬박 나가는 원태인에 비할 바는 아니고, 오히려 구속과 구위에서 강점을 보이는, 최대 실링면에서 고평가받는 원석형 유망주에 가깝다.[10] 다만 구속 억까가 2~3km/h 정도 있는 라팍을 홈으로 쓰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11] 대표적으로 같은 팀인 삼성에서 뛰었던 임현준이 있다. 좌완 이승현과는 2021년 1시즌 동안 같이 뛰었다.[12] 참고로 우승현도 '삼성이 잃어버린 것'같은 식으로 비슷한 파생 별명을 갖고 있다.[13] “좌완 이승현의 경우 개인적으로 잘 알고 있다. 지금은 시간이 조금 필요한 것 같지만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면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한다”[14] 2023년과는 아예 턱선부터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