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03:10:32

호세 카레라스

조제프 카레라스에서 넘어옴

파일:2FE0E416-C7B3-4938-9B42-350CBEBDE048.png
아스투리아스 공상 예술부문 수상자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7px;margin-top:-3px;margin-bottom:-3px"
{{{#000,#ddd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헤수스 로페스 코보스
(지휘자)
파블로 세라노
(조각가)
에우제비오 샘페레
(조각가)
오르페온 도노스티아라
(합창단)
안토니오 로페즈 가르시아
(화가)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루이스 가르시아 베를랑가
(영화 감독)
에두아르도 칠리다
(조각가)
호르헤 오테이사
(조각가)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건축가)
안토니 타피에스
(화가)
1991년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소프라노)
테레사 베르간자
(소프라노)
몽셰라 카바예
(소프라노)
호세 카레라스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
(테너)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알프레도 크라우스
(테너)
필라르 로렌가르
(소프라노)
로베르토 마타
(화가)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사엔스 데 오이사
(건축가)
알리시아 데 라로차
(피아니스트)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배우)
호아킨 로드리고
(작곡가)
비토리오 가스만
(배우)
세바스티오 살가도
(사진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건축가)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바바라 헨드릭스
(소프라노)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작곡가)
우디 앨런
(영화 감독)
미쿠엘 바르셀로
(화가)
파코 데 루시아
(기타리스트)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마이야 플리세츠카야, 타마라 로조
(발레리나)
페드로 알모도바르
(영화 감독)
밥 딜런
(싱어송라이터)
엘 시스테마
(육성재단)
노먼 포스터
(건축가)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리처드 세라
(건축가)
리카르도 무티
(지휘자)
라파엘 모네오
(건축가)
미카엘 하네케
(영화 감독)
프랭크 게리
(건축가)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영화 감독)
누리아 에스페르트
(배우)
윌리엄 켄트리지
(화가)
마틴 스코세이지
(영화 감독)
피터 브룩
(연극 연출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엔니오 모리코네, 존 윌리엄스
(영화 음악가, 공동 수상)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호세 카레라스
José Carreras
파일:currynrice.jpg
[ 젊은 시절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IMG_4718.jpg
본명 주제프 마리아 카레라스 이 콜
Josep Maria Carreras i Coll
출생 1946년 12월 5일 ([age(1946-12-05)]세)
스페인국 바르셀로나
국적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스페인국(1946~1975)

[[스페인|]][[틀:국기|]][[틀:국기|]](1975~현재)
직업 성악가, 자선 활동가[1]
활동 1954년~현재
신체 170cm
학력 바르셀로나 대학교(화학 / 중퇴)
리세우 음악원
종교 가톨릭 (세례명: 요셉)
가족 아버지 주제프 카레라스 이 솔레
어머니 안토니아 콜 이 사이치
배우자 메르세데스 페레즈(1971년~1992년)
배우자 유타 야거(2006년~2011년)
아들 알베르트 카레라스(1972년생)
딸 줄리아 카레라스(1978년생)

1. 개요2. 생애3. 음악적 성향4. 내한5. 여담

[clearfix]

1. 개요

스페인 바르셀로나 출신의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플라시도 도밍고와 함께 '쓰리 테너'로서 유명세를 떨쳤다.

백혈병 투병으로부터 복귀한 후 쓰리 테너 콘서트의 초기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태초에 세 명의 테너가 뭉칠 수 있게 한 장본인이며, 사실상 쓰리 테너의 구심점이었다.

동향 출신의 소프라노 몽셰라 카바예와 이탈리아 로비고[2] 출신의 성악가 카티아 리치아렐리[3]와는 환상적인 궁합을 보여주기도 했고, 필립스와 EMI, 도이치 그라모폰에서도 많은 음반을 남겼다. 이외에도 그리스 출신의 성악가 아그네스 발차와도 여러 편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세 카레라스/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음악적 성향

기본적으로 리릭 테너로 분류되는 목소리지만 음색 자체는 스핀토 만큼이나 어둡다. 그러한 속성이 목소리를 너무 쨍하지 않도록 하여 화려하고 풍부한 음색을 만든다. 오래 전부터 평론가들은 이러한 그의 목소리를 ‘벨벳 같다’라고 표현해왔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러한 음색에 독자적인 해석을 더한 열정적이고 호소력 짙은 노래와 연기로 유명하다.
그의 리릭 테너로서의 성질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랑의 묘약 중 ‘Una furtiva lagrima’

20세기 극후반, 기량이 쇠퇴한 이후 쓰리 테너로의 활동으로 인해 3인 중 가장 실력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지만 사실 전혀 그렇지 않다. 카레라스의 전성기는 70년대 초중반~중후반으로 상당히 짧지만, 그 기간동안은 잠시지만 세 명 중 가장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었다. 뒤이어 설명할 조기 기량 쇠퇴 이후의 후반기 활동으로 인해 그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가지는 사람들마저도 젊은 시절 그가 가지고 있었던 위대한 테너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은 누구보다 뛰어났음을 부정하지 못한다. 그러한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음반이 76년에 녹음된 토스카이다. 또, 77년에 몽셰라 카바예와 함께 녹음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는 3옥타브 미 플랫을 안정적으로 내는 모습까지도 볼 수 있다. (아래 영상의 10분 36초)


일반적으로 그의 기량이 쇠퇴한 것은 백혈병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그것뿐만은 아니다. 카레라스는 카라얀의 지도 하에 목소리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배역을 너무도 많이, 그리고 자주 맡았다. 무리해서 크고 강력한 소리를 내려 한 것이 그의 목을 조기에 해쳤다. 그러나 잃은 것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스핀토 역할을 위해 목을 해쳤지만, 그 결과 잠시동안(목을 해치기 시작했을 때부터 목이 완전히 다치기 전까지) 그의 풍부하고 화려하고 또 서정적인 음색과 드라마틱한 퍼포먼스가 결합하여 다시 보지 못할 해석으로 스핀토 역들을 연기할 수 있었다. 그러한 행위는 성악가의 경력에 치명적이기에 아무도 하지 않지만, 카레라스는 그렇게 해서 짧은 몇 년간 그 누구도 따라할 수 없는 최고의 노래를 할 수 있었다. 비록 목소리에 무리가 오게 된 것은 아쉬운 일이지만, 이 시기의 카레라스는 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리리코-스핀토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76년~77년에 녹음된 그의 카바라도시는 진정 최초이자 최후로 남을 전설적인 해석이다. 그중에서도 아래 두 곡은 정말 최고의 녹음이니 꼭 들어보기 바란다.
1976년 녹음된 토스카 중 ‘Recondita armonia’
1977년 녹음된 토스카 중 ‘E lucevan le stelle
(4분 36초부터)

대표적으로 초기 베르디 작품들과 카르멘의 돈 호세, 토스카의 카바라도시, 라 보엠의 로돌포는 그가 누구보다 가장 잘 연기했다고 알려진 배역들이다. 아래 영상은 그가 1977년에 부른 라 보엠의 ‘Che gelida manina’이다. 역시 조회수는 저조하지만 그의 전성기 시절 최고의 기량을 볼 수 있다.


백혈병 치료 이후 성량이 줄면서 기량이 쇠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심금을 울리는 호소력은 수많은 사람들의 눈가를 적시게 했다. 특히 복귀 이후 그는 포르티시모에서 부드럽게 피아니시모를 표현하는 해석을 자주 선보이곤 했다. 당장 밑의 50주년 바르셀로나 앵콜을 뒤 관객들을 향해 불러주는 노래 마지막 부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투병 전에도 다른 테너들이 카르멘의 ‘La fleur que tu m'avais jetée’에서 기량을 과시하기 위해 피아니시모의 고음을 포르티시모로 표현할 때, 그는 동요하지 않고 비제가 의도한 대로 오페라의 맥락에 맞는 표현을 하여 찬사를 받기도 했다. 이러한 피아니시모 표현은 그의 미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섬세한 감정 연기에서 빛을 발한다. 그가 쓰러지기 직전에 메트로폴리탄에서 공연했던 카르멘(1986년 공연)은 그의 연기와 연주의 진면목을 여실히 볼 수 있는 명반이다. 로맨틱하면서도 비굴한 음색을 요구하는 카르멘의 돈 호세와 같이 불쌍한 남자 주인공 역할을 맡을 경우, 그의 목소리의 진가가 멋지게 드러난다.
카르멘 중 ‘La fleur que tu m'avais jetée’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인데, 카레라스는 성악 훈련을 시작할 때 바리톤으로 시작했었다. 그래서인지 극고음에서 파바로티와 같은 편안함을 주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그러한 부분이 클라이막스의 고음을 더욱 드라마틱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딱히 단점으로 보지는 않는 편이다. 적어도 전성기 동안에는 그랬다.

2000년대 이후에는 오페라 공연보다는 주로 연주회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일본에서의 베르디의 에르나니 공연을 마지막으로 오페라에는 출연하지 않던 중 무려 12년 만인 2014년에 그에게 헌정된 오페라 크리스티안 콜로노비츠의 '엘 후에즈'에 출연하였다. 다음 링크에서 전체 공연 실황을 감상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sRcHBJXLFY&t=5398s 초연 후에도 2017년까지 주연으로 출연했으며 이후에는 일본, 호주 등에서 비공개 리사이틀을 주로 다니거나, 지역 행사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4. 내한

외국 성악가로서는 드물게 한국에 대한 애정이 깊은 편[4]인지 자주 내한해서 콘서트를 가지는 편이었다.

국내 연주를 자주 왔던 몇 안 되는 성악가로, 한국 출신 성악도들에게도 호의를 보이기도 했다. 파바로티와 도밍고의 내한 횟수가 7회 이하인 것에 비해 카레라스는 15회 이상이다.

1993년 2월에 세종문화회관 대강당에서 MBC 초청 독창회를 가졌다. 당시 우리나라 가장 많았던 4000여개의 좌석을 가진 공연장에서 전원의 기립박수를 받았다.
1993년 독창회 - 본 공연
1993년 독창회 - 앵콜 및 커튼콜

다만, 2014년 내한 연주회에서는 11월 23일자 세종문화회관 공연을 준비하던 중, 급성 후두염과 감기로 인해 공연을 취소했는데, 언론에서 자극적인 기사로 이를 비난하며 빈축을 사기도 했다. 당시 공연 포스터 자체가 "전설을 맞이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식으로 홍보했기에 관객들은 아쉬움이 컸을 것이다. 전날에도 공연 시작 직전 안내 멘트로 건강 문제에 대한 양해를 구했다고 한다. 추후에 일요일 공연을 예매한 관객들에게는 티켓값의 110%를 환불해 주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AKR20170305035900005_01_i.jpg

2017년 3월 4일 예술의 전당에서 한국에서의 마지막 공연이 펼쳐졌다. 이 공연에서는 무려 6곡의 앵콜 이후에도 4번 이상의 커튼콜까지 선보였다. 1부에서는 아끼듯이 노래를 불렀으나 2부에서는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열창했다. 나이가 나이인지라 그의 전성기 시절 쩌렁쩌렁한 고음을 들을 수 있는 공연은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세계를 호령했던 가수답게 모든 순간들에서 거장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특히 그의 오랜 애창곡 <Core 'ngrato>는 정말 잘 표현해주었다. 2014년 공연과는 다르게 여러모로 컨디션 관리를 잘 했고, 한국 관람객들의 열띤 호응과 박수와 함께 성황리에 무대를 마무리했다. 2부 후반에선 매 노래와 커튼콜마다 전원 기립박수를 받았다. 이날 공연은 2500여석 좌석 가운데 2400여석이 넘는 관중이 있었고, 2100여석의 일반판매석이 매진되었다고 한다. 장비 등으로 인해 관람이 여의치 않은 자리와 초대석 일부를 제외하면 가득 찼다.

5. 여담


[1] https://fcarreras.org/en/[2] 베네치아 지방의 일부이다.[3] 심지어 리치아렐리와는 연인관계로 발전하기까지 했다.[4] 실제로 인터뷰에서 한국은 자신의 고향과 굉장히 비슷해서 친숙하다고 이야기한 적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