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6:43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무대탐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a6cee9><bgcolor=#a6cee9,#010101><table color=#010101,#fff> 파일:이무미나_타이포_청.png ||
등장 세력 및 인물 · 설정 (무공) · 무대탐방


1. 개요2. 시대배경3. 지리
3.1. 등장 지역
3.1.1. 1년차3.1.2. 2년차3.1.3. 3년차3.1.4. 4년차3.1.5. 5년차3.1.6. 6년차
3.2. 등장 명소
4. 생활상
4.1. 복식4.2. 건축4.3. 음식
4.3.1. 주식4.3.2. 탕, 면류4.3.3. 육류4.3.4. 어패류4.3.5. 채소류4.3.6. 과자류4.3.7. 음료4.3.8. 기타

[clearfix]

1. 개요

소설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의 무대탐방에 대한 문서.

2. 시대배경

작중의 시공간을 '원시 고대 미개 중원'[1] 으로 통칭하며 구체적인 년도를 언급하진 않는다.[2] 다만, 무림이라는 요소를 제외하면 주인공인 청이 무천대제의 검혼을 보고 우주공간을 유영하는 유체이탈 경험을 했을 때 보았던 장면[3]으로 미루어보아 실제와 같거나 거의 유사한 역사가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작중에서 등장한 몇 가지 요소를 종합해보면 구체적인 시대배경은 명청교체기, 그중에서도 명나라가 멸망 직전까지 몰리는 1630년대 후반에서 1640년대 초반 정도로 추정된다.

한편, 무림과 무공이 존재하는 만큼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흘러간 부분도 존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소설은 '무림생사전'이라는 게임 속의 무협 세계관에 빙의한 것을 전제로하고 있으니 빙의한 세계가 실제 역사 속의 중국과 다른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지리

파일:무친년 지도_ver1.4.jpg
서문청 무림 5년차까지의 행적도.

중국의 도시와 관광지가 실감나게 등장하여 재미를 준다. 낙양(뤄양), 무한(우한), 성도(청두) 등의 대도시뿐만 아니라 여러 실존하는 중소도시가 배경으로 등장하며, 백마사, 동정호, 평산호대협곡, 도강언, 황학루 등 중국의 주요 문화관광지도 등장한다.

시대 배경상 중원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던 새외 지역 중에선 천마신교가 위치한 톈산 산맥 일대가 직접 등장하며, 북해북해빙궁청해의 아할랍달택산[7]에서 온 등장인물도 존재한다. 그 외에도 설정상으로 언급되는 지역에는 청이 익힌 용상반야호심공과 역근세수경이 기원한 천축대뢰음사, 라마승들의 본산인 서장포달랍궁, 왜구들의 근거지인 동영, 그리고 귀한 영약 취급을 받는 고려인삼과 조선두부의 주 수입처로 나오는 조선 등이 있다.

3.1. 등장 지역

3.1.1. 1년차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서산 북평행도사 대녕위 서산 랴오닝성 차오양시 시산[8] 프롤로그 서문청 빙의 장소.
건평 북평행도사 대녕위 건평성 랴오닝성 차오양시 젠핑현 - 서문청이 낭인으로 활동하던 도중 이곳에 위치한 객잔에서 쫓겨남.

3.1.2. 2년차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청하 북직예 순덕부 청하현 허베이성 싱타이시 칭허현 1화 청하삼협을 처음 만남.
낙양 하남성 하남부 낙양현 허난성 뤄양시 6화 팽대산, 제갈이현, 황보운척을 처음 만남.
흑영회 영애와 그 호위들을 처치함.
? ? 후난성 창더시 근처로 추정[9] 12화 진장명과 그 엄마 양소월을 처음 만남. 이후 무당파 승스도장과 환육을 만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23화 진장명을 데리고 도주하던 도중 서문수린에게 거둬짐.
신녀문에 입문함.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27화 강간마 차남정 패거리를 만나 배를 탐. 이후 차남정은 고자로 만들고 패거리를 처치함.
동정호 호광성 악주부 동정호 후난성 웨양시 둥팅호 30화 장강수로채에서 식인마군을 처치하고 총채주에게 용왕패와 함께 융숭한 대접을 받음.
안경 남직예 안경부 안후이성 안칭시 38화 장강수로채의 호위를 받으며 상륙한 곳.
남궁신재를 처음 만남.
황천 하남성 여녕부 황천현 허난성 신양시 황촨현 42화 팽대산과 재회함. 창빈을 처음 만남.
신양 하남성 여녕부 신양현 허난성 신양시 46화 대정문의 왕손만이 혈교의 사주를 받아 일으킨 섭심공 사건을 해결함.
한 노파의 아들을 찾던 도중 수별산 천후묘를 도굴하던 천마신교 전진파랑대 일당을 처치하고 복신적을 습득함.
화산파 섬서성 서안부 화산 산시성 웨이난시 화산 55화 화산파를 방문함.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8번째 초식 천변만화를 습득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59화 2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3.1.3. 3년차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천산신시 - 신장위구르자치구
아커쑤 지구 포베다 산
72화 아미파, 청성파가 위치한 사천으로 가려던 중 신교지존 염휘영에게 납치되어 끌려감.
견포희, 설가놈과 처음 만남.
칠채산 섬서행도사 고치소 칠채산 간쑤성 장예시 치차이단샤 94화 천마총으로 향하던 도중 지남.
천마총 섬서행도사 감주오위 평산호대협곡 간쑤성 장예시 핑산호지리공원 95화 천마혼을 발굴하면서 환골탈태를 거침.
천마혼을 내면에 봉인하고 새로운 천마신교의 지존으로 등극함.
숭주 사천성 숭주 쓰촨성 청두시 충저우시 106화 생활비를 벌기 위해 지하투기장에서 여항적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함.
성도 사천성 성도부 쓰촨성 청두시 107화 당난아, 자유, 팽초려, 연파, 견노와 처음 만남.
사천당가, 덕현친왕부와 엮인 문제들을 해결함.
도강언 사천성 성도부 도강언 쓰촨성 청두시 두장옌 117화 황실이 자유를 독살하기 위해 민장강에 오양즉을 풀어놓은 것을 확인하고, 오독문 소속 무인들을 처치함.
중경 사천성 중경부 충칭시 142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142화 3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3.1.4. 4년차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147화 설가상회의 상황을 보기 위해 방문함.
무창 호광성 무창부 후베이성 우한시 우창구 148화 제갈이현과 재회함.
신양 하남성 여녕부 신양현 허난성 신양시 152화 -
주마점 하남성 여녕부 주마점 허난성 주마뎬시 153화 당난아의 세침을 수리하기 위해 반가철방에 방문했다가 나면파 소속 무인들을 처치함.
숙압호 하남성 여녕부 주마점 숙압호 허난성 주마뎬시 쑤야호 161화 흑시에서 무영신투 천유학을 처음 만나고, 이후 벌어진 소란으로 도시에서 도망침.
장원 하남성 개봉부 장원현 허난성 신샹시 창위안현 165화 전낭을 맡기고 오는 바람에 여비가 떨어져 거지 행세를 함.
팽대산, 팽초려와 재회함. 모용준, 조학체를 처음 만남.
개봉 하남성 개봉부 허난성 카이펑시 179화 무림맹이 개최한 무림대회에 참여해 결승전에서 역대 최연소로 초절정에 오름.
천유학의 정식 제자가 되어 차기 무영신투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음.
진설, 설이리, 모용주희, 공손요예, 사마춘봉과 처음 만남.
혈교 지부가 고독과 잠람단을 사용해 꾸미던 음모를 차단함.
소림사 하남성 개봉부 숭산 허난성 정저우시 쑹산 271화 황후와 처음 만나 자신의 진정한 출신을 깨달음.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1번째 초식 유아독존을 습득함.
등봉 하남성 개봉부 등봉현 허난성 정저우시 덩펑시 275화 소림사를 방문한 뒤 종남파를 방문할 준비를 하기 위해 설이리와 함께 숙소를 잡음.
부북촌 하남성 하남부 부북촌 허난성 뤄양시 후베이촌 282화 강간미수를 시도한 마부 일당을 처치하고 낙양으로 복귀하기 전 하룻밤 묵음.
감산 하남성 하남부 감산 허난성 싼먼샤시 간산 284화 감산 녹림이십구채를 파괴하고 총채주의 장남을 살해함.
낙녕 하남성 하남부 낙녕현 허난성 뤄양시 뤄닝현 290화 황하 제방을 설계한 기술자를 변호하고 수해 이재민 구휼을 실시함.
낙남 섬서성 서안부 낙남현 산시성 상뤄시 뤄난현 302화 서안으로 향하는 길에 방문함.
서안 섬서성 서안부 산시성 시안시 302화 수해의 원흉인 장흥상방을 처리함.
종남파 섬서성 서안부 종남산 산시성 시안시 쭝난산 317화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7번째 초식 견월망지를 습득함.
석천 섬서성 한중부 석천현 산시성 안캉시 스취안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안강 섬서성 한중부 안강현 산시성 안캉시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평리 섬서성 한중부 평리현 산시성 안캉시 핑리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죽산 호광성 운양부 죽산현 후베이성 스옌시 주산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방현 호광성 운양부 방현 후베이성 스옌시 팡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흥산 호광성 형주위 흥산현 후베이성 이창시 싱산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324화 4년차 1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용산 호광성 사주선위사 용산현 후난성 샹시 룽산현 328화 남녕으로 향하던 도중 바가지 장사에 당함.
천자산 호광성 악주부 천자산 후난성 장자제시 톈쯔산 328화 녹림총채주 왕철군을 처치하고 원가계 일대의 모든 녹림채를 불태웠지만, 이 과정에서 중상을 입음.
원가계 호광성 악주부 원가계촌 후난성 장자제시 위안자촌 350화 녹림제일채를 떠난 뒤 들러서 물자를 보급함.
회화 호광성 진주 회화현 후난성 화이화시 350화 남녕으로 향하는 길에 방문함.
통도 호광성 정주 통도현 후난성 화이화시 퉁다오현 350화 가짜 산적으로 변장하고 만나는 행인들을 학살하던 관군을 마주쳐 모조리 처단함.
관군에게 습격을 당해 도주하던 자유, 연파와 재회함.
무수강 호광성 정주 무수강 후난성 사오양시 무수강 361화 자유, 연파를 수레에 싣고 관군의 포위망과 산불을 피해 도망치다 빠진 강.
남녕 광서성 남녕부 광시좡족자치구 난닝시 371화 자유, 연파와 함께 도착해 무림맹 임무인 계림검파 지원을 완수함.

3.1.5. 5년차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광주 광동성 광주부 광둥성 광저우시 394화 진설, 견포희, 염휘영과 재회해 광동진가를 재건하는 것을 돕고 사도련의 광동 진출 시도를 차단함.
청원 광동성 광주부 청원현 광둥성 칭위안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양산 광동성 광주부 양산현 광둥성 칭위안시 양산현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연주 광동성 연주 광둥성 칭위안시 롄저우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의장 호광성 침주 의장현 후난성 천저우시 이장현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침주 호광성 침주 후난성 천저우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형양 호광성 형주부 형양현 후난성 헝양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431화 염휘영, 견포희, 랑랑과 헤어진 뒤 설가놈의 근황에 대해 전해들음.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431화 4년차 2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삼문협 하남성 하남부 삼문협 허난성 싼먼샤시 435화 태원으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운성 산서성 평양부 운성현 산시성 윈청시 435화 태원으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태원 산서성 태원부 산시성 타이위안시 435화 천유학과 재회해 한림원 태학에 등록, 글공부를 함.
태학 학사들과 요리점에서 식사를 하던 도중 병주삼흉과 싸움이 붙어, 그들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흡정마공의 비급을 가리키는 장보도를 입수함.
낙양 하남성 하남부 낙양현 허난성 뤄양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정주 하남성 정주 허난성 정저우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하나, 마차를 탄 채로 지나침.
개봉 하남성 개봉부 허난성 카이펑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해, 단흉 유행이 찾아온 것을 확인함.
제남 산동성 제남부 산둥성 지난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정구 산동성 제남부 정구현 산둥성 지난시 장추구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치박 산동성 청주부 치박현 산둥성 쯔보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청주 산동성 청주부 산둥성 웨이팡시 칭저우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유방 산동성 내주부 유방현 산둥성 웨이팡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내서 산동성 내주부 내서현 산둥성 칭다오시 라이시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즉묵 산동성 내주부 즉묵현 산둥성 칭다오시 지모구 442화 흡정마공 수색을 위한 보급기점으로 삼고 장기간 체류하던 도중, 모용주희와 재회해 일행으로 삼음.
노산 산동성 내주부 노산 산둥성 칭다오시 라오산 444화 흡정마공을 찾기 위해 도착하자마자 마공 수색을 명분으로 대규모 약탈 및 학살 행위를 일삼던 사도십대천성과 조우, 각개격파와 이간질을 통해 수많은 사파 무인들을 처치함.
왕가촌 산동성 내주부 왕가촌 산둥성 칭다오시 왕자촌 457화 강패천이 마을을 점거하는 바람에 쫓겨난 주민의 부탁을 받고 사파 무인들을 처치함.
청도 산동성 내주부 청도진 산둥성 칭다오시 463화 사도련의 용의선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잠시 숨어있던 도중 들름.
상장 산동성 내주부 상장현 산둥성 칭다오시 상짱촌 463화 청도가 너무 작은 마을이라 숙소를 잡기 위해 방문. 유라달, 역태강과 재회함.
죽와촌 산동성 내주부 죽와촌 산둥성 칭다오시 주워촌 466화 절낙성 노산지부. 청이 강패천의 무사로 위장해 절낙성 소성존 준우탕을 포함한 사파 무사들을 처치한 곳.
교주 산동성 내주부 교현 산둥성 칭다오시 자오저우시 503화 산동도지휘사사 치소. 청이 흡정마공 및 섭심공 비급을 노리는 사파 무인들에게 쫓기는 신세가 된 청이 황후의 신분패를 사용해 관부의 도움을 받기 위해 방문함.
유방 산동성 내주부 유방현 산둥성 웨이팡시 505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재방문함.
임기 산동성 연주부 임기현 산둥성 린이시 516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방문함. 현지 유림들의 성지 취급을 받는 왕희지고택을 방문해 방명록에 친필 서명을 남기고 떠남.
회음 남직예 회안부 회음현 장쑤성 화이안시 523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방문함. 청의 사죄행 소식을 듣고 대운하를 따라 남하한 반검쌍도회 회원들과 합류함.
태주 남직예 양주부 태주 장쑤성 타이저우시 529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방문함. 공손요예, 설이리와 재회함.
여고 남직예 양주부 여고현 장쑤성 난퉁시 루가오시 532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방문함. 왜구들이 노략질을 위해 쳐들어오자 화포를 동원해 모조리 격퇴함.
남통 남직예 양주부 남통현 장쑤성 난퉁시 536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방문함.
소주 남직예 소주부 장쑤성 쑤저우시 536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남하하는 도중 방문함. 사죄행에 지인들이 엮여드는 것을 막기 위해 밤중에 야반도주를 감행함.
항주 절강성 항주부 저장성 항저우시 539화 언연영을 만나기 위해 도착함. 청과 혈교를 싸움붙이려는 언연영의 계략에 빠져 고생하지만, 섭심마희 유량과 혈라문주 창산야를 포함한 다수의 혈교 전력을 처치하고 화경에 도달, 섭심공 또한 유량의 진기를 남김없이 빨아먹으면서 손에 넣는데 성공함.
소주 남직예 소주부 장쑤성 쑤저우시 559화 개봉으로 복귀하는 도중 무림맹에서 파견한 구출대가 탑승하고 있는 쾌속선과 마주침.
개봉 하남성 개봉부 허난성 카이펑시 559화 무림맹에 노산 및 형주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전말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방문함.
무창 호광성 무창부 후베이성 우한시 우창구 564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제갈세가에 들름.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565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팽대산, 설이리, 당난아와 함께 들름.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566화 5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570화 -
구당협 사천성 기주부 구당협 충칭시 펑제현 취탕샤 571화 사천당가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중경 사천성 중경부 충칭시 571화 사천당가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합천 사천성 중경부 합천현 충칭시 허촨구 571화 사천당가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성도 사천성 성도부 쓰촨성 청두시 571화 사천당가에 방문, 마라탕집에서 자유와 오랜만에 재회함. 곤륜파로 여행을 떠나기 위한 준비를 함.
도강언 사천성 성도부 도강언 쓰촨성 청두시 두장옌 574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문천 사천성 성도부 문천현 쓰촨성 청두시 문촨현 574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이현 사천성 성도부 이현 쓰촨성 아바자치주 리현 574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홍원초원 관외 홍원초원 쓰촨성 아바자치주 훙위안현 574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니마 관외 니마진 간쑤성 간난자치주 마취현 니마진 574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극기혁 관외 극기혁곡 칭하이성 황난자치주 허난자치현 커치허가거얼 581화 청해 일대에서 극성을 부리는 도적들을 토벌하기 위해 이곳에 건설된 산채에 쳐들어감.
하남 관외 하남성 칭하이성 황난자치주 허난자치현 588화 도적들을 토벌한 뒤 곤륜파로 향하기 전 하룻밤 숙박함.
택고 관외 택고성 칭하이성 황난자치주 쩌쿠현 588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맥수 관외 맥수진 칭하이성 황난자치주 쩌쿠현 마이슈진 588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해, 장족 주민들에게 큰 환대를 받고 잔치를 벌임.
황남 관외 황남성 칭하이성 황난자치주 588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첨찰 관외 첨찰성 칭하이성 황난자치주 젠자현 588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본강구 관외 본강구 칭하이성 하이둥시 화룽자치현 번캉거우촌 588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평안 섬서행도사 서녕위 평안현 칭하이성 하이둥시 핑안현 588화 곤륜파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서녕 섬서행도사 서녕위 칭하이성 시닝시 588화 곤륜파로 향하기 전 최종 중계지로 방문함.
곤륜파 섬서행도사 서녕위 일월산 칭하이성 시닝시 황위안현 리웨산 588화 곤륜파를 방문함.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3번째 초식 수처작주를 습득함.
청해호 관외 청해호 칭하이성 하이난자치주 칭하이호 597화 일행들과 함께 호수를 관광함.
해남 관외 해남성 칭하이성 하이난자치주 597화 청해호 관광을 마친 후 말을 구매하기 위해 방문함.
문파촌 관외 문파촌 칭하이성 하이난자치주 궁허현 원바촌 597화 해남에서 떠나 차잡호로 향하던 도중 숙박함.
차잡호 관외 차잡호 칭하이성 하이시자치주 우란현 차카옌호 598화 호수를 관광함.
차잡촌 관외 차잡촌 칭하이성 하이시자치주 우란현 차카촌 598화 차잡호 관광을 마지초 숙박을 위해 방문하나, 혈뢰음사 파계승들에 의해 학살당한 마을 주민들의 시체를 목격함.
천준 관외 천준성 칭하이성 하이시자치주 톈쥔현 601화 차잡촌 주민들의 복수를 위해 파계승 토벌을 개시, 아묵합랍과 협력해 모든 파계승들을 쓰러뜨리고 현지 주민들에게 처분을 맡긴 뒤 떠남.

3.1.6. 6년차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서녕 섬서행도사 서녕위 칭하이성 시닝시 611화 포달랍궁이 파계승들을 파견해 꾸민 음모를 저지한 뒤 곤륜파로 돌아오는 길에 방문해 새해를 맞이함.
곤륜파 섬서행도사 서녕위 일월산 칭하이성 시닝시 황위안현 리웨산 611화 천비자 진인에게 차잡촌 및 천준에서 있었던 일들을 보고하지만, 손속이 지나치게 잔인했다는 이유로 참회동에서 며칠을 보냄.
아합랍달택산 - 칭하이성 위수시 취마라이현 야허라다쩌산 637화 거탑천황을 앞세워 곤륜파로 쳐들어오려는 혈뢰음사의 라마승들을 요격하기 위해 출격, 대규모 전투를 벌임.

3.2. 등장 명소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width=33%> 백마사 ||<width=33%> 서릉협 ||<width=33%> 동정호 ||
파일:중국 백마사 2.jpg 파일:서릉협.jpg 파일:洞庭湖.jpg
낙양의 관광지. 7화에서 팽대산과 놀러간 장소. 장강삼협. 29화에서 호북부찰도위사 차순단의 아들 차남정에게 납치된 곳. 중국 5대 담수호. 30화에서 장강수로채 총채주와 함께 식인마군을 처리하기 위해 향한 곳.
<rowcolor=#FFF> 천산신시 칠채산 도강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engish_Chokusu_from_BC.jpg 파일:칠채단하.jpg 파일:external/visitchina.or.kr/0104.jpg
천산산맥 최고봉. 72화에서 방문한 천마신교 총본산 천산신시가 위치한 산. 장예의 명소. 천마총으로 향하던 도중 지나간 산. 전근대 중국의 최대규모 저수지. 117화에서 덕현친왕 암살용 오양즉을 풀어놓은 범인을 잡기 위해 들른 곳.
<rowcolor=#FFF> 황학루 숙압호 철탑
파일:중국 우한 황학정.jpg 파일:숙압호.jpg 파일:중국 카이펑 1.jpg
무한의 관광명소. 148화에서 당난아, 견포희와 함께 갔다가 제갈신재와 만난 곳. 주마점 동쪽에 붙어있는 호수. 161화에서 흑시가 열려 구경간 장소. 개봉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철탑(철로 만든 탑은 아님). 185화에서 공손요예를 데리고 간 곳.
<rowcolor=#FFF> 호구탑 검지 청해호
파일:쑤저우 석탑.jpg 파일:쑤저우 호구산 중국.jpg 파일:external/www.absolutechinatours.com/qinghai-lake-china(1).jpg
소주의 관광명소. 중국의 피사의 사탑이라는 별명이 있다. 538화에서 반검쌍도회 회원들과 함께 놀러간 곳. 소주의 관광명소. 오왕 합려가 수집한 3천 자루의 보검이 버려진 곳이라는 설화가 있다. 538화에서 반검쌍도회 회원들과 함께 놀러간 곳. 청해의 관광명소. 중국 최대의 호수다. 597화에서 반검쌍도회 회원들과 함께 놀러간 곳.

4. 생활상

4.1. 복식

||<tablewidth=100%><width=50%> 파일:external/pbs.twimg.com/ChIPgWYU8AELUed.jpg ||<width=50%>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aff57f4a2727965bfdc9fa289edf939b--chinese-clothing-asian-clothes.jpg ||
황자 및 친왕의 복식. 중국 드라마 여의명비전에서 친왕 시절의 경태제가 착용했던 복장으로, 작중 배경에서 약 200년 전인 토목의 변 시기의 복식을 고증한 것이지만 황실 인사들이 입었던 복장은 철저한 예법에 따랐기에 시대에 따른 변화의 영향이 적은 편이었으므로 덕현친왕 자유가 대외적 활동을 할때 입는 복장 또한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금의위의 복식. 이름 그대로 금색으로 물들인 호복 계열의 옷을 입고 있는 것과, 옷에 신화 속 동물을 자수로 새겨 신분을 나타낸 것이 특징이다.
파일:external/pds25.egloos.com/b0031106_508d22130a7e1.jpg 파일:소오강호-포스터.jpg
동창을 비롯한 환관 조직에 소속된 태감들의 복식. 중국 영화 용문비갑에서 고증된 복장으로, 작중에서 사천당가 토벌을 명령했던 동창 태감은 아마도 이런 옷을 입고 있었을 것이다. 소오강호의 세 주인공인 영호충, 임평지, 동방불패가 2018년 드라마판에서 착용한 복장. 아래쪽이 잘려서 잘 보이지 않지만 호복 양식을 따랐기 때문에 한푸에 비해 다리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전투를 벌이기에 더욱 적합하다. 남성 무인들뿐만이 아니라 여성 무인들 중 상당수 또한 전투 중에는 이와 비슷한 느낌의 옷을 입었을 것이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d81814f335a6146e1df1fd8e1e04ab42.jpg 파일:황후화스틸컷.jpg
명 후기 여성들의 한푸 복식. 작중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여성들의 평상복은 이런 느낌이었을 것이다. 후당 왕조로 추정되는 가상역사를 다루는 영화 황후화에 나오는 단흉 양식 복장. 시대배경은 한참 뒤지만 작중에서 진설이 유행시킨 단흉 내지 폭유장[10] 유행의 복장은 대략 이와 비슷한 느낌이었을 것이다.??? : 와 젖탱이보소

다양한 지역과 출신의 인물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작중에서 나오는 복식의 종류 또한 그만큼 다양한 편이지만, 무인들이 등장인물 비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성상 전투에 유리한 호복 계열의 복장이 가장 많이 나온다. 시대 배경이 근접해있는 작품인 소오강호, 그중에서도 고증과 서사 양면에서 매우 좋은 평가를 받는 2001년 드라마판을 시각자료로 참고하는 것도 좋다.

4.2. 건축

||<tablewidth=100%><width=50%>파일:핑야오 중국 2.jpg ||<width=50%> 파일:핑야오 중국 4.jpg ||
중국 핑야오 고대도시 전경. 핑야오는 16세기경의 도시 구조 및 건축양식을 현대까지 거의 그대로 보존했기 때문에 작중 도시들의 모습도 이와 같을 것이다.
파일:중국 아문.jpg 파일:Pingyao-Ancient-City-by-Cycle-China_0-1024x682.jpg
명나라 시기의 중국 아문의 형태. 북방식 사합원 양식에 기반한 모습이 특징적이다. 보통 현급 이상 도시의 관아는 본청에 현승 및 주부의 아문과 각종 주거시설, 서리들이 근무하는 육방(六房) 등이 부속건물로 달린 복합 구조를 띠기 때문에 사진 속 모습보단 면적이 훨씬 넓은 편이다. 핑야오에 보존된 명나라 시기 길거리의 모습. 자전거나 간판, 송전탑 같은 현대 문물을 제외하면 명대 도시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잘 느낄 수 있다.

명나라 시기엔 관료제 기반의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통해 인구가 15세기 초 6500만 명에서 명청교체기 시기엔 2배 이상인 1억 5천만 명까지 크게 증가했으며, 이와 더불어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 또한 크게 늘어 전근대 중국 역사상 유례가 없는 도시화율을 달성하게 되었다.

특히 한나라 시기부터 수당, 넓게 잡으면 북송 시기까지 흥성했던 장안이나 낙양, 개봉 등의 대도시들이 철저히 이상적인 형태의 계획도시로 건설되어 군사 목적으로 건설된 소규모 성채도시들과 짝을 이뤘던 반면, 명대에는 이와 대조적으로 남송 시기의 항주임안부 및 명 초기의 남경응천부를 뿌리로 하는 '자연 발생한' 대도시들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이렇게 도시화가 급격히 일어난 후 변화한 건축 양식은 당송 시기까지 어느정도 유사성을 보이던 한국의 전통 건축 양식과 상당한 차이를 갖게 되었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요소로 기와지붕과 벽을 꼽을 수 있다. 기와지붕의 경우 한국식이 비교적 부드러운 경사를 보이는 반면 명대 이후 중국식 기와지붕은 더욱 날카로운 경사를 보이는데, 이는 비가 많이 오는 날씨에 더욱 잘 대처하기 위해 건축 기술이 발전한 결과라는 설이 있다. 한국에선 도기 기와를 제외하면 다른 재료로 만든 기와들의 명맥이 끊긴 것과 달리 명대 중국에선 여전히 청자기와, 유리기와 등의 다양한 고급 기와가 제조되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자금성 건설에 사용된 황색 유리기와인 황유(黃釉)기와다.

또한, 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사이사이에 흙을 채워넣으며 한지로 마무리하는 한옥의 벽과 달리 중국식 건물의 벽은 나무의 비중을 점차 배제하고 벽과 기둥을 벽돌로 일원화한 뒤 한국에선 주로 궁궐과 묘지 건설에 사용하던 회반죽을 발라 마감하는 식으로 나아갔으며, 특히 고급 건물일수록 회반죽을 그냥 펴바르는 것을 넘어 붉은색 염료로 채색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width=50%> 파일:external/weekly.chosun.com/2207_68.jpg ||
가장 전형적인 사합원 양식.

명나라는 북송이 망한 1127년 이후 약 3세기 반만에 중원을 통일한 왕조로 건축 양식이 남중국 양식으로 통일된 모습을 보였던 남송 시기에 비해 다양한 주거 양상을 보였지만, 적어도 한족 우세 지역에서의 건축 양식은 사합원을 기반으로 통일되어 있었다. 사합원은 천원지방 사상에 따라 네 면의 건물이 중정(中庭)을 둘러싸는 회(回)자 형태로 건설되고 사이사이엔 벽과 문이 둘러쳐진 형태의 집으로, 여기서 부유층의 경우 안채의 면적이 늘어나고 별채, 행랑채, 창고 등의 건물들이 추가로 부설되는 식으로 집을 확장하며, 반대로 하류층은 한쪽 건물이 없이 벽과 문으로 둘러쳐진 삼합원에서 살았다.

북경을 중심으로 한 북직예 지방에서 기원한 북방식 사합원과, 남경을 비롯한 남직예 지방을 중심으로 퍼진 남방식 사합원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햇빛'이다. 북위 40도 부근에 위치한 북경에 비해 북위 30도 부근에 위치한 남경은 평균 남중 고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건물에 입사하는 햇빛의 양도 훨씬 많으며, 따라서 남방식 사합원은 북방식에 비해 정원을 좁게 만들어 최대한 그늘을 확보하는 한편 벽을 높게 쌓아 강한 직사광선이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피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중국식 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사합원은 크게 남방식과 북방식 분류 외에도 일명 '민거(民居)'라 하는 성 단위 양식 구분법을 갖는데, 대표적으론 산서와 섬서를 비롯한 서북부식 사합원인 산서민거(山西民居)[11], 안휘와 강소를 비롯한 동부식 사합원인 휘파민거(徽派民居)[12], 광동과 광서를 비롯한 남부식 사합원인 광동민거(廣東民居) 내지 확이옥(鑊耳屋)[13]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작중에서 부유층인 무영신투 천유학의 자택으로 나온 집은 산서의 태원에 위치해있으므로 산서민거의 형태를 띨 것이며, 광동 광주에 위치한 광동진가의 진가장은 거대한 확이옥의 형태를 띨 것으로 추측된다.

||<tablewidth=100%><width=5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nail_pit_tulou.jpg ||<width=50%> 파일:external/23c4da1406edb0774996de483c71941755195e6a3cdfc4912d595fae1d5bec5d.jpg ||
명청시대 토루의 모습. 작중에서 등장하는 여러 장강 이남 세가들의 장원이나 촌락들은 이러한 형태를 보였을 것이다.

한편, 이 시대의 또다른 주요 거주양식에는 토루가 있다. 토루는 복건, 광동, 강서 일대에 거주하는 객가인들이 12~13세기 이래로 발달시킨 고유한 건축 양식으로, 장원을 낀 대형 집성촌이자 요새의 역할을 겸한다. 무협지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새화된 세가장들의 원형인 만큼 작중 세계관에선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는 형태의 주거지일 것이며, 특히 혈교에 의해 파괴된 다수의 군소 세가들과 금의위의 작전 도중 파괴된 호남, 광서 일대의 집성촌들이 이런 모습을 보였을 것이다.

4.3. 음식

무대와 함께 음식이 많이 등장한다. 청이 식도락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서술이 많은 편. 중국 문화에 대한 작가의 지식이 여럿 보인다.

음식점의 경우 괜찮은 요리를 내놓는 곳은 요리점(料理店) 내지 채점(菜店), 그보다 급이 떨어져 배를 채우기 위해 먹는 음식을 내놓는 곳은 반점(飯店), 다과를 중심으로 영업하는 곳은 다점(茶店), 술과 안주를 중심으로 영업하는 고급 식당은 객잔(客棧), 객잔보다 급이 떨어지지만 반점보단 고급진 곳은 주점(酒店)이다. 더욱 자세한 조리법 및 식재료 설명에 대해선 중국 요리 문서의 해당 문단을 참고하면 좋다.

4.3.1. 주식

4.3.2. 탕, 면류


4.3.3. 육류

4.3.4. 어패류

4.3.5. 채소류

4.3.6. 과자류

4.3.7. 음료

4.3.8.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단어의 순서는 바뀔 때도 있다.[2] 실제로 미개하다고 할만한 전근대적인 문화나 행태를 비꼬는 용도로 사용될 때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인공인 청이 워낙 무식해서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 그렇게 얕보는 경향도 있다.[3] 플레이트 아머를 착용한 유럽인 군대와 아메리카를 탐험하는 식민 개척자 등의 모습이 등장했다.[4] 상관이 정4품인 위지휘첨사인 점과, 휘하에 정6품인 백호(百戶)들을 거느리는 천호(千戶)인 것으로 보아 구체적인 관직은 정5품 상계 무절장군(武節將軍) 정천호(正千戶)에 상응한다.[5] 현 랴오닝성 젠핑현.[6] 이 점에 대해선 무천대제가 딱히 나라를 개박살내놓거나 하기보단 오히려 황제 본인만을 때려잡고 각지에 준동하는 사파와 마교, 혈교 등을 조져놓아서 행정력을 확보하기엔 오히려 더 좋은 여건을 조성해줘서 그럴 가능성도 있다. 작중 시점에서 약 200년 전에 활동했던 것으로 묘사되는 무천대제 당시의 황제는 토목의 변의 당사자인 정통제로, 그가 오이라트에 포로로 잡혀 풀려나는 과정에서 북방 영토를 대부분 상실한 게 아니라 단순히 자금성 꼭대기에서 무천대제한테 멱살 한 번 잡히고 관무불가침을 인정하는 선에서 끝났다 치면 명나라의 영역이 고스란히 유지되었어도 말이 안 될 것은 없다.[7] 칭하이성 위수시 야허라다쩌산. 황허강의 발원지이며, 현지 티베트 불교도들에게는 성산으로 숭앙받았다.[8] 요녕성 서산 2개 중 건평 근처.[9] 진장명은 복건성에서 신녀문으로 가는 중(ep 15), 형산파에서 무당산으로 복귀하던 무당파를 만남(ep 17), 신녀문이 북북서 방향에 있음. 이 3가지로 추정하면 창더시 행정구역내에 있었을 가능성 큼.[10] 문자 그대로의 폭유가 아니라 가슴의 상당부분을 노출한다는 뜻이다.[11]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햇빛을 많이 받기 위해 남북으로 길쭉한 형태로 짓고 지붕을 벽돌을 써서 평평하게 만들거나 각이 낮은 기와지붕을 올리며, 가옥 내부 사이사이에 아치형 중문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12] 햇빛을 반사하기 위한 흰 벽과 태양열이 건물 안으로 들어오기 전 흡수해 분산시키기 위한 검은 기와지붕, 건물 본채에 입사하는 태양광을 최대한 줄임과 동시에 도둑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지붕보다 높게 계단식으로 세워지는 외벽 겸 방화벽인 마두장(馬頭墻), 가옥 내의 유일한 채광창이자 비가 오면 밑의 연못으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도 겸하는 천정(天井) 등이 특징이다.[13] '가마솥 귀'라는 이름대로 통풍과 방화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솥의 손잡이 모양처럼 곡선 형태를 띠는 지붕과 청벽돌 등의 석재 중심 건축자재 사용, 본채 역할인 개간을 3개 이상 연달아 배치하고 양옆에 부엌 내지 문간방인 낭옥을 붙여 한쪽으로 굉장히 긴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14] 만두는 개당 1~2문에 살 수 있지만, 고기만두의 가격은 무려 15~20문이다.[15] 단순히 전분물로 겉을 바삭하게 만들기만 한 교자는 현지에서 궈톄(鍋貼)라고 부르는 반면, 하네츠키 교자와 같이 아예 전분물로 날개를 만든 일본식 교자는 젠자오(煎餃)라고 부른다.[16] 최단거리 기준 대략 900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다.[17] 이때는 탕초우육, 소고기로 만든 탕수이다.[18] 다만 북경오리도 남경오리의 변형 레시피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구워서 먹지 않은 것은 아니다.[19] 정확히는 발효시킨 연유. 이름에 연유 소(酥)가 들어가는 것 또한 똑같은 이유에서다.[20] 다만 일반적인 공갈빵은 당고화소(糖鼓火燒)나 공심병(空心餠)라고 검색해야 하며, 호병을 검색할 시에는 공갈빵을 납작하게 누른 듯한 빵이 나온다.[21] 다만 현대 중국어로 검색할 시 호떡은 당소병(糖燒餠),유전당병(油煎糖餠), 봉밀당병(蜂蜜糖餠) 등으로 검색되며 호전병은 파전, 당밀전병은 당밀을 쓴 펜케이크가 검색된다.[22] 아이스 아메리카노처럼 생각하고 먹는 듯[23] 중국인들은 차를 무조건 뜨겁게 해서 먹기 때문, 콜라를 뜨겁게 먹는 격이라 비유된다.[24] 창빈, 최리옹, 설이리, 진자강이 그랬는데, 창빈과 설이리는 그냥 끔찍하다는 정도의 반응이었지만, 최리옹과 진자강은 청을 사뭇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 보듯 본다.[25] 청은 박하나 계피로 착각했지만 약 성분이 맵고 화한 맛을 더한 것으로 보인다. 청이 유자차를 멀쩡하게 마시는 모습을 보고 의아하게 여긴 당난아는 한모금 마시자마자 곧바로 재채기를 해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