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11-25 05:26:48

백운저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f> 면류 기스면 · 도삭면 · 딴딴면 · 뱡뱡면 · 쏸라펀 · 우육면 · 작장면 · 장수면 · 초마면 · 탕육사면
밥류 황금 볶음밥 · 차오판
죽류 납팔죽 · 화생호
탕류 누룽지탕 · 마라탕 · 불도장 · 훠궈
만두류 딤섬 · 만터우 · 소롱포 · 춘권 · 훈툰
두부류 건두부 · 마파두부 · 모두부 · 취두부
육류 거지닭 · 경장육사 · 구수계 · 궁보계정 · 난자완스 · 남경 오리 요리 · 동파육 · 홍소육 · 라조기 · 백운저수 · 북경 오리 구이 · 삼투압 · 양꼬치 · 어향육사 · 오향장육 · 차사오(미즈차사오) · 해삼주스 · 화퇴 · 회과육
수산물 멘보샤 · 샤오룽샤 · 샥스핀 · 세수해 · 쏸차이위 · 처우구이위 · 취하 · 칭둔귀 · 카오위
반찬
채소류
소채(자차이 · 청경채볶음) · 청초육사 · 파오차이(쏸차이)
음료 량샤
주류 틀:중국의 술 · 틀:대만의 술
간식
후식
내유작고 · 라탸오 · 삼부점 · 시미로 · 월병 · 주량원자 · 탕후루 · 행인두부
파일:대만 국기.svg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계열
누가 크래커 · 대만 샌드위치 · 대만식 카스텔라 · 루로우판 · 마장면 · 빤켁 · 좌종당계 · 지파이 · 쩐주나이차(버블티) · 쭈빠빠오 · 타로볼 · 펑리수 · 할포
기타 귀령고 · 꽃빵 · 부용단 · 서홍시초계단 · 석자갱 · 유탸오 · 전가복 · 젠빙 · 쭝쯔 · 차예단 · 팔보채 · 피단
중국요리 · 중화요리의 계통별 분류 · 한국식 중화요리 · 일본식 중화요리 · 미국식 중화요리
}}}}}}}}} ||

파일:attachment/lxy0910-cai.jpg

白雲猪手

1. 개요2. 역사

1. 개요

중국 요리. 중국족발. 백운(白雲)이라는 곳의 돼지 족발이란 뜻이다.

2. 역사

광저우(廣州) 백운산이라는 산에 백운사(白雲寺)라는 절이 있었다. 절간 뒤에는 거울처럼 맑고 깨끗했으며 단맛이 나는 한 줄기 시냇물이 있었다. 옛날 이 절에 갓 들어온 동자승 하나가 있었는데 어린 나이에 을 떠나 절에 오니 고기가 먹고 싶어 견딜 수가 없었다. 어느 날 주지 스님이 외출한 틈을 타서 동자승은 재빨리 산 아래로 내려가 족발을 사다가 깨끗이 씻어 토기에 넣고 끓이기 시작했다. 그런데 고기가 막 익기 시작할 무렵 공교롭게도 주지 스님이 돌아왔다. 놀라 어찌할 바를 모르던 동자승은 족발을 시냇물에 던져버리고 겨우 위기에서 벗어났다.

이튿날, 한 나무꾼이 백운산에 나무를 하러 가다가 시냇가에서 그 족발을 발견하고 아까운 생각에 집으로 가져갔다. 그리고 설탕, 소금, 식초조미료를 추가한 후 잠깐 끓이다 맛을 보았더니 껍질은 쫄깃쫄깃하고 고기는 부드럽고 담백하여 전혀 느끼한 맛이 없었다. 백운산의 시냇물이 고기맛을 만든 노하우였던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요리는 인근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는데 백운산 기슭에서 만들어졌다 하여 이름을 ‘백운저수(白雲猪手)’라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