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0:59:00

작장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f> 면류 기스면 · 도삭면 · 딴딴면 · 마장면 · 뱡뱡면 · 쏸라펀 · 우육면 · 작장면 · 장수면 · 초마면 · 탕육사면
밥류 황금 볶음밥 · 차오판
죽류 납팔죽 · 화생호
탕류 누룽지탕 · 마라탕 · 불도장 · 훠궈
만두류 딤섬 · 만터우 · 물만두 · 소롱포 · 춘권 · 훈툰
두부류 건두부 · 마파두부 · 모두부 · 취두부
육류 거지닭 · 경장육사 · 구수계 · 궁보계정 · 난자완스 · 남경 오리 요리 · 동파육 · 홍소육 · 라조기 · 백운저수 · 북경 오리 구이 · 삼투압 · 저표육 · 양꼬치 · 어향육사 · 오향장육 · 차사오(미즈차사오) · 탕수육 · 궈바오러우 · 해삼주스 · 화퇴 · 회과육
수산물 멘보샤 · 샤오룽샤 · 샥스핀 · 세수해 · 쏸차이위 · 처우구이위 · 취하 · 칭둔귀 · 카오위
반찬
채소류
소채(자차이 · 청경채볶음) · 청초육사 · 파오차이(쏸차이)
음료 량샤
주류 틀:중국의 술 · 틀:대만의 술
간식
후식
내유작고 · 라탸오 · 뤼다군 · 사치마 · 삼부점 · 시미로 · 월병 · 주량원자 · 중화과자 · 탕후루 · 행인두부 · 바쓰
파일:대만 국기.svg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계열
누가 크래커 · 대만 샌드위치 · 대만식 카스텔라 · 루로우판 · 빤켁 · 좌종당계 · 지파이 · 쩐주나이차(버블티) · 쭈빠빠오 · 타로볼 · 펑리수 · 할포
기타 귀령고 · 꽃빵 · 루어보가오 · 부용단 · (젠빙) · 서홍시초계단 · 석자갱 · 유탸오 · 전가복 · 쭝쯔 · 차예단 · 팔보채 · 피단
중국 요리 · 중화 요리의 계통별 분류 · 한국식 중화 요리 · 일본식 중화 요리 · 미국식 중화 요리
}}}}}}}}} ||

파일:external/www.51dayaji.com/%E7%82%B8%E9%85%B1%E9%9D%A2%E7%9A%84%E5%AE%B6%E5%B8%B8%E5%81%9A%E6%B3%95.jpg 파일:external/www.qilibali.com/12dad2be504beb1.jpg
일반적인 작장면 북경[1]

1. 개요2. 명칭3. 역사와 전파4. 한국 짜장면과의 차이5. 인지도6. 여담7. 바리에이션8. 관련문서

1. 개요

작장면(, 자장몐)은 면장에 간을 하여 볶은 뒤 밀면 위에 얹어먹는 중국 요리로, 대만 요리마장면한국식 중화 요리짜장면의 기원이 되는 음식이다.

2. 명칭

중국어로는 zhájiàngmiàn이고, 이것이 약간의 변형을 거쳐 한국에서 '짜장면'이라 불리기 시작했다.[2] 즉, 현재 중국에서 자장몐은 이름 그대로 볶은(炸) 장(醬)을 면(麵) 위에 얹은 요리를 통칭한다. 기름기가 적어 한국 짜장면처럼 먹기 전에 거나하게 비비진 않고[3] 젓가락으로 적당히 슬슬 섞어 먹는 편. 지역별로 볶아 얹은 장도 다양하고 고명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름 앞에 지역명을 붙여서 따로 구분한다.[4]

3. 역사와 전파

한국에서는 산둥 반도에서 주로 먹는 을 주재료로 하는 황갈색 중국식 면장을 사용한 작장면이 짜장면의 원조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이것이 한국으로 들어온 뒤 짜장면으로 변형된 것이지만, 사실 북경식 작장면이 원조이고 훨씬 더 유명하다. 북경식 작장면은 7가지 정도의 채소 고명과 짠 장을 면 위에 올려 먹는 요리이다. 보통 위의 사진처럼 면 주위에 재료 접시가 있어 취식자가 재료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간단하게 오이 정도만 올려놓고 먹기도 한다. 중국 요리에서 보기 어려운 볶거나 찌지 않은 생채소가 들어가는 요리이기도 하다. 고명은 각각 다른 접시에 차려나와 식탁에서 면 그릇에 후다닥 던지듯 얹어 서빙한다.

기원은 여러 설이 있으나 명확히 알려진 것은 없다. 진시황이 국수 요리사를 불러다가 요리를 시켰는데 긴장한 요리사가 무의식적으로 장을 볶아버렸고, 딱히 필요가 없는 단계였는데 이게 뻘짓임을 진시황이 알면 자기 목이 날아갈까봐 그냥 아예 신메뉴라 소개했다는 것이 유래라고 하는 설이 있다. 다만 중국에 본격적으로 밀국수 요리가 처음 문헌에 보이는 시기는 한나라 시기기에 이 설이 꼭 맞는 설은 아니다.[5] 어묵도 그렇고 아무거나 진시황을 갖다붙인 다음 요리사가 목이 잘릴까 벌벌 떨다 만들었다는 일종의 클리셰라 보면 된다. 이자성의 난 때 반란군 측에서 편의성을 높인 전투식량을 개발하다 국물 없는 국수인 작장면을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물론 이런설이 대개 그렇듯이 장사용으로 창작한게 많기는 하다.

4. 한국 짜장면과의 차이

한국식 짜장면에 비하면 단맛과 물기가 적고 짠맛이 좀 더 강하다. 장은 첨면장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고, 중국식 된장과 섞어서 만들기도 하며, 변형판으로 진자배기 사천짜장도 있기는 하다. 차라리 고추장 대신 된장으로 만든 비빔국수에 더 가깝다. 질감만 따지면 카레라이스와 드라이카레의 차이 정도라고 해야 할까? 사용하는 장도 대량생산화되면서 미묘하게 달라졌다.[6] 한국에서 원조 작장면을 먹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으로는 울진의 해주작장면이 있었다. 북경식으로 서빙됐으며 맛은 매콤하게 조금 어레인지가 되어 있다고 설명하던 가게였는데, 2017년 문을 닫았고 안산 원곡동 등지 국내 중국인 밀집 지역에서 판매한다. 홍콩 요리 체인점 '크리스탈 제이드'에서 '상해식 짜장면'이라는 메뉴를 주문하면 산동식 작장면과 비스무레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데, 본토와 비슷하긴 하지만 단맛이 좀 더 가미되어 있다.

이렇게 맛에 있어서 원조 작장면과 한국식 짜장면의 맛이 다르기 때문에 1980년대 말에 중국관광이 시작되었을때 원조 짜장면을 찾으러 간다며 작장면 집에 들렀다가 기름지고 달달한 맛 대신 짠맛이 나서 당황하는 관광객들이 많았고 반대로 중국에서 작장면 먹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짜장면이 대중적인 음식이라는 소리를 듣고 한국식 짜장면을 찾으러 갔다가 너무 달고 기름지다면서 이게 무슨 작장면이냐는식의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7] 이들 전통 작장면을 즐겨먹는 사람들에게는 한국 짜장면은 짜장면이라기보다는 무슨 볶음국수에나 쓰는 양념장에 비벼먹는 음식인 셈이다. 하지만 지금은 한국 짜장면이 오히려 더 인기가 있으며 중국인들도 한국식 짜장면은 한국 요리라고 생각 한다고 한다.[8]

5. 인지도

작장면의 변형인 짜장면한국에서 매우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은 것과 다르게, 중국 본토에서 작장면은 부산밀면 비슷하게 특정 지역의 서민적인 향토음식 취급이다. 지역으로 봐도 중국 내에서 작장면을 많이 먹는 곳은 베이징, 허베이성, 산둥성 등 북방 지역이며, 인스턴트 제품으로 팔기도 하나 보다는 이 주로 재배되어 쌀국수를 즐겨 먹는 남방 지역에서는 흔히 먹는 음식은 아니고, 북방음식 전문점 같은 데에 가야 먹을 수 있다. 때문에 아예 작장면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중국인들도 많다. 특히 강남(중국)에서는 거의 모른다.

대만에서는 외성인의 영향으로 먹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자자멘(ジャージャー麺)이라는 이름으로 현지화되었으며, 일본의 중화요리집을 가보면 종종 발견할 수 있으나 한국의 짜장면처럼 흔하지는 않다. 한편 모리오카 지방에서는 모리오카 자자멘(盛岡じゃじゃ麺)이란 이름으로 지역의 명물로 자리잡았다. 모리오카 자자멘은 작장면의 형태를 많이 유지하고 있어서 한국의 짜장면과는 차이가 크다고 한다.

6. 여담

7. 바리에이션

8. 관련문서



[1] 물론 베이징에서도 북경식이 아닌 일반적인 작장면을 볼 수 있다.[2] 본래 국립국어원은 zhájiàngmiàn을 외래어 표기법 대로 적으면 '자장몐'이기에 짜장면이 아니라 자장면이 맞다고 주장했다. 다만 '짜장면'이라는 표기가 일상적으로 훨씬 많이 사용되기에 지금은 짜장면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짜장면/표기법 논쟁 참조.[3] 사실 세계적으로는 한식처럼 밥이나 국수를 소스에 '비벼서' 먹는 요리가 생각보다 드물다. 카레의 경우 일본에서는 밥과 소스를 비비지 않고 밥을 소스에 발라먹는 느낌으로 먹는다.[4] 다른 이름이 있는 건 아니고 북경식, 복건식, 사천식 등을 앞에 붙여서 구분. 사천식 작장면은 그릇 바닥에 고추기름을 깔아둔다.[5] 중국에서는 처음에 밀가루를 이용한 수제비 형태의 면을 먹다가 후한 때부터 가늘고 긴 형태의 국수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고, 5~6세기에는 단자나 전병과 비슷한 수인병(水引餠)이라는 국수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 한편 중국 중서부 칭하이성 황하 유역의 라자 지방에서 4,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국수가 발견되었는데,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형태의 제면 기술이 아니라 밀가루 반죽을 손으로 비벼서 면을 뽑은 것으로 보인다지만 이 요리가 정말 우리가 아는 그 국수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6] 검은콩을 주재료로 하여 파를 넣어 발효시키는 '총장'(蔥醬)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 총장이 오늘날 우리가 이야기하는 춘장의 원류라고 생각된다. '춘장'이라는 이름의 기원도 총장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전문가(주영하 교수)의 의견도 있다.[7] 북중국인들은 한국에 오면 음식이 왜이리 다 다냐고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등 서양인들도 한국 과자나 빵이 다 달다고 불평하기도 한다.[8] 일본의 경우 라멘이 비슷한 입장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