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6:24:27

워 썬더/지상 병기/프랑스 트리/경전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프랑스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공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요격기 | 육군 항공대 · 공군 | 해군 항공대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요격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헝가리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베네룩스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육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 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 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해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gray>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해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해상 병기를 참고. }}}}}}}}}}}}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지상 병기
[ 연구 가능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C.34_YR.png
파일:WarThunder_H.35.png
파일:WarThunder_FCM.36.png
파일:WarThunder_P.7.T_AA.png
파일:WarThunder_AMR.35_ZT3.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D.35.png
파일:WarThunder_H.39.png
파일:WarThunder_R.35_(SA38).png
파일:WarThunder_Lorraine_37L.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AMC.35_(ACG.1).png
파일:WarThunder_S.35.png
파일:WarThunder_D2.png
파일:WarThunder_SAu_40.png
## ↓ 6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rusader_Mk.II_(France).png
파일:WarThunder_M3A3_Stuart_(France).png
[ B1/2C ]
파일:WarThunder_B1_bis.png
파일:WarThunder_2C.png
파일:WarThunder_CCKW_353_AA.png
파일:WarThunder_M4A3_(105)_(France).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4A1_(France).png
파일:WT_VTT_DCA_FR.png
파일:WarThunder_M10_GMC_(France).png
## ↓ 4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13_(FL11).png
파일:WarThunder_M4A4_(France).png
파일:WarThunder_ARL-44_(ACL-1).png
파일:WarThunder_AMX-13_DCA_4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E.B.R._(1951).png
파일:WarThunder_M4A4_(SA50).png
[ ARL/M4A3E2 ]
파일:WarThunder_ARL-44.png
파일:WarThunder_M4A3E2_(France).png
파일:WT_TPK_6.41_FR.png
파일:WarThunder_M36B2_(France).png
## ↓ 4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13.png
파일:WT_M26_FR.png
파일:WarThunder_AMX_M4.png
파일:WT_AMX-10P_FR.png
[ 로렌/ELC ]
파일:WarThunder_CA_Lorraine.png
파일:WarThunder_ELC_bis.png
## ↓ 2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L-90.png
[ 로렌/Char ]
파일:WarThunder_Lorraine_40t.png
파일:WarThunder_Char_25t.png
파일:WarThunder_AMX-50_(TOA100).png
[ AuF/ACRA ]
파일:WT_AUF1_FR.png
파일:WT_AMX-10M_F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X-13-90.png
파일:WarThunder_AMX-30_(1972).png
파일:WarThunder_AMX-50_Surbaisse.png
파일:WarThunder_AMX-50_Foch.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 MARS/AMX ]
파일:WarThunder_MARS_15.png
파일:WarThunder_AMX-13_(HOT).png
[ 30 B2/BRENUS ]
파일:WarThunder_AMX-30B2.png
파일:WarThunder_AMX-30B2_BRENUS.png
[ AMX-32 105/120 ]
파일:WarThunder_AMX-32_(105).png
파일:WarThunder_AMX-32.png
파일:WarThunder_AMX-30_DCA.png
파일:WarThunder_AMX-30_ACRA.png
## ↓ 2행 ↓ ##
## ↓ 3행 ↓ ##
[ AMX/SK ]
파일:WarThunder_AMX-10RC.png
파일:WarThunder_SK-105A2.png
파일:WarThunder_AMX-32.png
파일:WarThunder_SANTAL.png
파일:WarThunder_MEPHISTO.png
## ↓ 4행 ↓ ##
#!wiki style="display: table-cell; 
## ↓ 5행 ↓ ##
파일:WT_VBCI_FR.png
#!wiki style="display: table-cell; 
## ↓ 6행 ↓ ##
#!wiki style="display: table-cell;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T_Vextra_FR.png
파일:WarThunder_AMX-40.png
파일:WarThunder_Roland_1.png
## ↓ 2행 ↓ ##
## ↓ 3행 ↓ ##
파일:WT_2A4NL_FR.png
## ↓ 4행 ↓ ##
## -↓- 8랭 -↓- ##
VIII랭크
## ↓ 1행 ↓ ##
[ 르클레르 S1/S2 ]
파일:WarThunder_Leclerc.png
파일:WarThunder_Leclerc_S2.png
파일:WT_2A5NL_FR.png
파일:WarThunder_ItO_90M_(France).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Leclerc_SXXI.png
파일:WT_2A6NL_FR.png
## ↓ 4행 ↓ ##
## ↓ 5행 ↓ ##
파일:WT_Leclerc_AZUR_FR.png
## ↓ 6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장 비 -↓-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H.39_Cambronne.png
파일:WarThunder_AMD.35_(SA35).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2C_bis.png
## ↓ 4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B1_ter.png
파일:WarThunder_LVT-4_4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X-13-M24.png
## ↓ 4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4A1_(FL10).png
파일:WarThunder_Lorraine_155_Mle.5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E.B.R._(1954).png
## ↓ 4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Panther_Dauphiné.png
파일:WarThunder_E.B.R._(1963).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MX-13_(SS.11).png
파일:WarThunder_Somua_SM.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AMX-50_(TO90_930).png
## ↓ 6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30.png
파일:WarThunder_AMX-50_Surblinde.png
## ↓ 2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MX-30_Super.png
## ↓ 2행 ↓ ##
## -↓- 7랭 -↓- ##



1. 개요2. 1랭크3. 2랭크4. 3랭크5. 4랭크6. 5랭크
6.1. AML-906.2. AMX-13-90
7. 6랭크
7.1. MARS/AMX 계열
7.1.1. MARS 157.1.2. AMX-13 (HOT)
7.2. AMX/SK 계열7.3. VBCI
8. 7랭크
8.1. 벡스트라 105

1. 개요

◉ 문자표가 붙은 차량은 2차대전기 자유 프랑스군 소속의 외산 차량이다.

2. 1랭크

2.1. AMC.34 YR

AMC.34 YR
전투장갑차 르노 AMC.34 Y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c_34.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 AMC.34 YR[1]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9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 전진 속도[2] 40 km/h 특수 기능 수직 주포안정기
BR [3] 1.0 / 1.0 / 1.0 후진 속도[4] 6 km/h
승무원 2명 엔진 출력 120 hp [5]
무장 47mm SA34 30구경장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76) / 재장전 시간 : 7.8초
7.5mm MAC 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800)
사용 탄종 Mle.1892G(APHE) 철갑고폭탄 [스톡] }}}}}}}}}

프랑스에서 단기간동안 생산되었던 기병전차로 AMC-34 파생형 중 전차포가 탑재된 버전이다.

2020년 6월 기준으로 정규트리에서 벗어났으며, 대공차량을 제외하면 최약체 전차이다.[7]. 문제의 원인은 단독으로 쓰고 있는 SA34 30구경장 주포인데 이 주포는 최대 관통력이 27mm에 불과한 철갑유탄 단 한종만 사용할 수 있기에 그렇다. 주포 구경이 47mm이므로 관통에 성공한다면 확실한 피해를 보장할 수 있으나 이 주포로 전면에서 관통이 가능한 차량은 BR 1.0대에서도 그렇게 많지는 않다. 다만 측면을 노린다면 상위 BR에 매치되더라도 관통이 가능한데, 현실과 마찬가지로 측면만 노린다는 건 쉬운 얘기가 아니다.[8]

비슷한 신세인 이고 갑형의 90식 주포는 대전차고폭탄이 추가됨으로써 그나마 숨통이 트였지만 이고 갑형은 정규트리에 남아있다는 게 큰 이유로 보이며, 트리에서 벗어난 AMC-34 YR은 앞으로도 개선이 요원해 보인다.[9]

주포 문제를 제외하면 평범한 전차인데, 추중비가 프랑스 전차지고는 나쁘지 않아서 기동력에 큰 문제는 없지만 반대로 차체가 커다란 박스 형태라서 피격당하기 딱 좋다. 차체는 물장갑까지는 아니더라도 결코 두터운 장갑은 아니지만, 소뮤아나 B1과 같은 상위 전차와 비슷한 포탑을 갖고 있어 그럭저럭 튼튼하다. 그러나 여전히 승무원은 2인 구성이라 리얼리스틱 전차전에서는 말 그대로 스치면 사망 수준이다. 리얼리스틱 전차전에서 AMC-34 YR이 빛을 발하는 건 초기 리스폰 기준으로 50포인트 밖에 요구하지 않는 저렴한 비용이라는 점이다. 다만 마찬가지로 정규트리에서 벗어난 H35도 리스폰 비용이 동일하므로 두 대 모두 출격시킬게 아니면 당연히 H35를 선택하는 게 낫다. 결국 BR 1.0 전차를 다수 출격시키는 변태 플레이때나 유용한 전차라는 말이 된다.[10]

2.2. AMD.35

AMD.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d_35.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 AMD.35 AMC.35 (ACG.1)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무료 가격 무료 전환 훈련 비용 무료
<colcolor=#373a3c> 랭크 I 전진 속도[11] 72 km/h 특수 기능 -
BR [12] 1.0 / 1.0 / 1.0 후진 속도[13] 42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 105 hp [14]
무장 25mm SA34 72구경장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48) / 재장전 시간 : 3.9초
7.5mm MAC 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900)
사용 탄종 Mle.1934 TP (Ch.f)(APC) 피모철갑탄 [스톡] }}}}}}}}}

1.93 "Shark Attack" 업데이트로 추가된 프랑스 예비장비이다.[16]
25mm SA34 L/72 포를 장착했는데, 저구경이지만 관통력이 최대 71mm로 프랑스 치곤 나쁘지 않다. 이 주포는 구축전차인 AMR 35 ZT3도 사용하는 물건인데, 회전 포탑을 지닌 이 전차가 상위호환인 셈이다. 다만 저구경 특성상 빠른 장전속도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포탄 적재량은 최대 48발에 불과하여 지속적인 전투가 어렵다. 주포 특성을 잘 활용한 저격 플레이에 제한이 걸린 셈이다. 구경이 작아 승무원을 확실하게 노려서 쏴야 하며 장갑이 아예 없다시피한 대공차량은 차라리 기관총을 쏘는 게 격파가 쉽다. 비슷한 구경의 2호 전차나 이탈리아의 AB 41의 기관포에 비하면 관통력은 다소 높을지언정 화력면에서는 상대가 될 수 없다. 근접을 허용한다면 사실상 패배나 마찬가지이다[17].

장륜형 차량 특성상 지형 적응성이 좋지 못하여 설원이나 늪지, 언덕에서의 기동성은 바닥을 긴다. 그러나 후방 조종석이 존재하고 후진속도가 최대 시속 42km까지 도달하여 엄폐물을 활용한 저격이나 시가지 등지에서 잘 활약할 수 있다. 장갑도 비교적 두터운 편인데 측후면 두께도 15mm라서 포격 파편에 벌벌 떨어야 하는 여타 경장갑 차량에 비하면 한 숨 놓을 수 있다[18]

프랑스 트리 처음 플레이할 때 추천하는 차량이다[19].

2.3. AMC.35 (ACG.1)

AMC.35 (ACG.1)
르노 AMC.35 전차 (ACG.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c_35.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D.35 AMC.35 (ACG.1)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9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 전진 속도[20] 42 km/h 특수 기능 수직 주포안정기
BR [21] 1.3 / 1.3 / 1.3 후진 속도[22] 6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180 hp [23]
무장 47mm SA35 32구경장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96) / 재장전 시간 : 3.9초
7.5mm MAC 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1800)
사용 탄종 Mle.1935G(APC) 피모철갑탄 [스톡] }}}}}}}}}

벨기에에 수출되었던 경전차로 수출형의 이름은 ACG-1이다.

프랑스 초기 차량들 중에서 단 둘뿐인 2인승 포탑[25]을 탑재하였다.

재장전 속도가 다른 국가 전차들과 비슷하다. 덕분에 화력투사력에선 그나마 암이 덜 걸리는 편이다. 장갑은 경전차이기 때문에 그렇게 단단하지는 않으며, 전간기 전차답게 속도는 느리다. 특히 등반속도가 6km/h밖에 안 나와서 언덕만 만나면 중전차보다 느리고 그만큼 가속력도 많이 떨어진다.

탄종은 1935년형 APC 47 mm 탄종 하나밖에 없지만 동일 배틀레이팅 대 전차들은 충분히 잘 잡는다.

낮은 기동력과 장갑 때문에 1.5선에서 싸우는 게 좋다.

1.9.7 패치 이후 1랭크로 밀려나가면서 정찰 기능을 크루세이더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3. 2랭크

3.1.크루세이더 Mk.II

◉크루세이더 Mk.II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WT_Crusader.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 크루세이더 Mk.II AMX-13 (FL11)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9,2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6,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4,5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 전진 속도[26] 42 km/h 특수 기능 수직 주포안정기
BR [27] 2.3 / 2.7 / 2.7 후진 속도[28] 7 km/h
승무원 5명 엔진 출력 340 hp [29]
무장 40mm QF 2파운더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110) / 재장전 시간 : 3.6초
7.92mm BESA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8325)
50mm 연막탄 × 26
사용 탄종 Mk.1 AP/T(AP) 철갑탄 [스톡]
Mk.1 APCBC/T 포탄(APCBC) 저저항피모철갑탄
Mk.1 APHV/T(AP) 철갑탄
Mk.1 AP/T(APHE) 철갑고폭탄
}}}}}}}}}

1.97 업데이트인 'Viking Fury'에서 프랑스 경전차 2랭크에 추가되었다.[31]

영국에 있는 그 크루세이더와 스펙이 동일하다. 경전차 트리에 추가된 것 때문에 정찰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영국도 마찬가지이다.

BR 2.7에서는 나름 좋은 기동력과 탄속, 화력을 갖추고 있어 우회기동으로 전차들의 측면을 타격하기 좋다.

4. 3랭크

4.1. AMX-13 (FL11)

AMX-13 (FL1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x_13_fl_11.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크루세이더 Mk.II AMX-13 (FL11) E.B.R (1951)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6,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6,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2,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I 전진 속도[32] 61 km/h 특수 기능 -
BR [33] 4.0 / 4.3 / 4.3 후진 속도[34] 7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270 hp [35]
무장 75mm SA49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37) / 재장전 시간 : 7.8초
7.5mm MAC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495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M72(AP) 철갑탄 [스톡]
M48(HE) 고폭파편탄 [스톡]
M89(연막) 연막탄
M61(APCBC) 저저항피모철갑탄
}}}}}}}}}

75mm SA49 고속포와 함께 장갑차 파나르 EBR의 FL-11 포탑을 장착한 AMX-13이다.[38]

주포의 성능은 괜찮은 편이다. 기본탄인 M72의 경우에는 계속되는 버프로 인해 관통력이 동일 티어대 전차를 정측면에서 관통할 수준이 되며, 업탄인 M61의 경우 M24 채피와 동일 탄종이다. 따라서 잘만 하면 측면에서 티거 1도 잘 잡을 수 있다. 하지만 보다 느린 탄속으로 인해 탄의 낙차가 존재할 수 있다.

포탑은 소련 전차처럼 납작한 형상에 포탑 전면 장갑이 60도 경사 40mm라 의외의 도탄과 중기관총에 대한 방호력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정말 의외의 경우이고 대부분은 포탑에 맞으면 그냥 관통당하며 포탑 형상으로 인해 내림각이 -8 도로 소련만큼이나 처참한데다 포탑 위치 또한 후방 포탑이라 언덕에서는 헐다운 사격 자체가 힘들거나 불가능하다.

요동포탑이지만 자동장전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장전은 일반적인 전차와 같은 대신 클립을 전부 소모해, 장전하느라 발사하지 못 할 일은 없다.

차체 장갑은 다른 경전차들과 마찬가지로 종잇장 수준인 20mm 라서 중기관총만 맞아도 쉽게 무력화된다. 후방의 연료탱크나 우측 전방의 엔진이 탄이나 파편 등을 방어해주는 해주는 운좋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상부 장갑은 매우 취약한 편이라 채피처럼 기총소사에 노려질 경우 무력화당하기 쉽다.

기동성은 경전차치곤 부족하나 채피보다는 나은 편이다. 카탈로그상 최대 속력은 60km/h이나 사실상 내리막길에서나 볼 수 있는 수준이고, 평지에선 평균 50km/h (시가전에서는 평균 55km/h로 달린다)정도가 나온다. 다만 후진 속력이 -6km/h 로 매우 안 좋으니 후방 포탑인 점을 이용하여 차체는 항상 도주 방향을 바라보게 한 뒤 후방 포탑을 이용하여 쏘고 도망치면 된다.

포탑을 포함한 차체 높이가 매우 낮기 때문에 조그만 바위나 수풀뒤에 숨기 쉬워 리얼리스틱 모드에서 정찰하기에 매우 좋다.

포신이 많이 흔들려 기동사격은 거의 불가능 하다.

게다가 앞쪽의 조명에 주포가 걸린다.

반 고증 도색으로는 외인부대 도색이 있다. [39]

계속되는 BR 확장 및 조정의 영향으로 인해 BR이 4.0~4.3까지 오르며 해당 차량을 중심으로 덱을 편성하기에 어려워졌다.

4.2. E.B.R. (1951)

E.B.R (1951)
파나르 E.B.R (19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WT_EBR1951.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3 (FL11) E.B.R (1951) AMX-13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4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135,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39,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II 전진 속도[40] 105 km/h 특수 기능 -
BR [41] 4.3 / 5.3 / 5.0 후진 속도[42] 105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 200 hp [43]
무장 75mm SA49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60) / 재장전 시간 : 7.8초
7.5mm MAC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495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M72(AP) 철갑탄 [스톡]
M48(HE) 고폭파편탄 [스톡]
M89(연막) 연막탄
M61(APCBC) 저저항피모철갑탄
}}}}}}}}}

정규 트리 EBR

AMX-13 (FL11)의 FL-11 포탑의 원래 주인이다.

기동성은 프리미엄 EBR과 거의 차이점이 없고 FL-11 포탑 특유의 모양새 때문에 전체적으로 차체가 낮아 전방에 풀만 제대로 붙인다면 덤불 속에서도 쉽게 찾기란 힘들다. 또한 요동포탑이지만 포탑 높이가 낮기 때문에 헐다운도 쉽게 할 수 있어 빼꼼샷을 노려봄직 하다.

하지만 포탄이 이전 전차와 거의 차이나지 않는 탄종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업티어 매치에서는 들판 맵에서의 경우 맵을 크게 돌아서 적 전차들[46]의 측후면을 노리는 게 좋다. 아무래도 SA49 전차포가 셔먼 계열이 쓰는 75 mm M3와 같은 포기 때문에 BR 5.3에서는 중전차는커녕 중형전차도 정면에서는 거의 관통이 불가능하다.

하다못해 APCR조차 없기에 상당히 불합리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부분.

5. 4랭크

5.1. AMX-13

AMX-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x_13_75.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E.B.R (1951) AMX-13 AML-90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71,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21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61,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IV 전진 속도[47] 61 km/h 특수 기능 -
BR [48] 6.3 / 6.7 / 6.7 후진 속도[49] 7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270 hp [50]
무장 75mm SA50 57구경장 전차포[51] × 1 (탄약 적재량:36) / 재장전 시간 : 5.0초
7.5mm MAC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495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POT-51A(APBC) 저저항모부철갑탄 [스톡]
OE Mle 1951(HE) 고폭파편탄 [스톡]
PCOT-51P(APCBC) 저저항피모철갑탄
}}}}}}}}}

판터 주포 기반 프랑스제 75미리 주포를 12발이 들어가는 드럼식 자동장전장치와 결합해서 요동포탑에 달아 놓은 13톤짜리 경전차다.

장갑은 헬켓 수준으로 없지만 포탑을 무력화시킨 적이 조종수를 잡으려고 차체 전면을 쏘면 가끔씩 승무원 오른쪽에 위치한 엔진이 포탄을 흡수 해버려서 금강불괴를(?) 띄울 수도 있다.

자동장전기 덕분에 승무원 숙련도에 상관 없이 빠른 장전 속도와 업글탄이 202 mm나 되는 준수한 관통력이 장점이다. 다만 기동성은 타 경전차에 비하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기어 5단이 들어가면 가속력이 부족해서 평지에서조차 4단보다 속도가 줄어드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 경우 30km/h대 진입 시 수동으로 4단으로 기어를 내려주거나, 순항 2단을 걸면 4단 최대로 한계가 설정되어 40~41km/h의 안정된 속도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5단은 내리막길이나 긴 평지를 직진할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간접 체험을 하고 싶다면 프리미엄 전차인 대전차 미사일 장착형 AMX-13을 시험 주행해보자.

화력 하나는 BR과 체급을 감안했을 때 정말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200mm를 웃도는 관통력에 훌륭한 탄속, 12(+1)[54]발의 자동장전장치를 장비한데다 재장전 간격은 고작 5초인데, BR 6.3에서는 이 포 자체만으로 상위권에 속하는 화력이며 이렇게 지속적으로 화력을 투사할 수 있는 전차는 같은 프랑스를 제외하면 없다.[55] 샤르 25t와 AMX M4가 6.7초라는 다소 높은 발사 간격과 동시에 적은 수의 포탄을 들고 나오고, AML-90과 CA 로렌이 일반 포를 장비한 덕분에 프랑스 6.X대 BR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경전차인 이 전차가 화력 투사 능력이 가장 뛰어나다.

BR 6.7으로 너프되었다.

6. 5랭크

6.1. AML-90

AML-9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WT_AML-90.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3 AML-90 AMX-13-90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95,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27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78,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 전진 속도[56] 91 km/h 특수 기능 -
BR [57] 7.0 / 7.7 / 7.7 후진 속도[58] 17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90 hp [59]
무장 90mm DEFA F1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20) / 재장전 시간 : 8.7초
7.62mm AA NF1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420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OCC 90-62(HEATFS) 날개안정대전차고폭탄 [스톡]
OE 90 F1(HE) 고폭파편탄 [스톡]
OFUM PH90-F2(연막) 연막탄
}}}}}}}}}

1.95 업데이트인 'Nothern Wind' 에서 추가된 전투장갑차. 샤르 25t의 위치를 대체했다.

포탄은 기본탄이 HEATFS(날대탄)라서 관통력은 최대 320mm까지 나오지만,전차 내부에 주는 피해량이 적어서 적을 한 번에 잡기 힘들다.

기본 상태에서 장전이 8.7초로 느리고,에이스의 경우에 6.7초로 상당히 빨라진다.

장갑은 기관총에도 쉽게 뚫리니 조심히 운용해야 한다. 500m가 넘는 거리에서도 M2 중기관총에 관통되며 이론 상 1000m까지는 M2에게 관통될 수 있는 매우 약한 장갑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덩치가 작기 때문에 수풀이나 나무에 탄이 안 걸리게 주의하면서 사격을 해야 한다.

제동력이 매우 좋지 않으므로 항상 신중히 움직일 것. 차륜형인지라 가속력이 꽤 나오고 실질 최고 속도가 70km/h에서 노는데 반해서 20km/h만 넘어가도 바퀴가 멈춘 채로 브레이크가 밀린다(...). 50km/h에서 브레이크를 잡으면 바퀴는 가만히 있는데 10m가 넘는 거리를 더 나아가는 기적을 볼 수 있으며 때문에 치고 빠지기에 상당히 불리하다. 이는 차륜형 장갑차이기 때문에 감수해야 하는 운명이다. 따라서 급제동할 때에는 제동거리를 계산하며 해야 좀 더 수월하다.

여담으로 차체가 가벼워서인지 두 정의 7.5mm 기관총을 정면을 향해 연사하고 있으면 차체가 살짝 들린다(!). 재밌는 점은 주포 자체는 AMX-13/90의 그것보다 더 저압포라 그런지 의외로 주포 반동은 심하지 않다는 점. 오히려 AMX-13/90보다 덜 휘청거린다.

주로 매복하여 사격하거나 지형지물 뒤에 숨어서 정찰하면서 아군 보조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6.2. AMX-13-90

AMX-13-9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x_13_90.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L-90 AMX-13-90 MARS 15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05,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30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86,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 전진 속도[62] 61 km/h 특수 기능 -
BR [63] 7.7 / 7.7 / 7.7 후진 속도[64] 7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270 hp [65]
무장 90mm CN90 F3 전차포 [66] × 1 (탄약 적재량:34) / 재장전 시간 : 5.0초
7.5mm MAC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495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OCC 90-62(HEATFS) 날개안정대전차고폭탄 [스톡]
OE 90 F1(HE) 고폭파편탄 [스톡]
OFUM PH90-F2(연막) 연막탄
}}}}}}}}}

AMX-13의 75mm SA50 고속포를 90mm CN-F3 중압포로 바꾼 개량형이다.

포탑을 FL-12로 바꾸었다. 차체의 경우 특히 궤도가 기존 철 궤도에서 고무패드 궤도로 바뀌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엔진 변속기 모두 동일하지만 동일 중량인 AMX-13 SS.11보다 기동성이 좋다.[69]

주력 탄종인 90mm HEATFS는 탄속 950m/s, 수직 관통력이 350mm로 준수하다.

AMX-13과 마찬가지로 12(+1)발의 클립 장탄 수에 탄 간격 5초를 가지는 화력을 자랑하며, 역시 BR 7.7 에서는 상당한 수준.

HEATFS 특성 상, 살상력이 아쉬운 경우가 가끔 있지만 타 전차들과 달리 장전 속도가 워낙 짧은 덕분에 어느정도 상쇄 가능하다. 더구나 화력이 워낙 좋고 좀 굼뜨긴 해도 경전차라고 정찰 기능도 들어가 있기 때문에 상위 BR에 끌려가도 1인분 정도는 해낼 수 있다. 다만 부작용으로 포 반동이 꽤 강해서 차체가 좀 휘청거리는 감이 있으며 경사로에서 발포하면 쌍안경으로 탄착을 확인해줄 필요가 있다. 화력의 좋고 나쁨과는 별개로 철갑탄을 주력으로 사용하던 포들과는 달리 연막 포탄이 주어지는데, 클립 특성 상 장전 속도가 상당히 짧아서 유연한 포탄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몇 발 정도는 챙겨가자.[70]

주력탄인 HEATFS가 기본탄인데다가 대부분 유저가 비슷한 특성인 AMX-13을 경험해 본 유저이기 때문에 그냥 AMX-13 상위호환인 이 전차에 따로 적응할 필요도 없고, 스톡 상태가 연막탄 유무 빼고는 딱히 부족한 것도 아니라서 쉽게 탈출할 수 있다. 경장갑이든 중장갑이든 HEATFS 하나면 거의 해결되기 때문에 포탄에 대한 고민도 필요 없다. 다만 AMX-13 시리즈 특유의 뭔가 굼뜬 움직임 및 안정성 부재는 단점.

7. 6랭크

7.1. MARS/AMX 계열

7.1.1. MARS 15

MARS 1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MARS_15.jp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3-90 MARS 15 AMX-13 (HOT) [71]
AMX-10RC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35,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38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1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72] 75 km/h 특수 기능 레이저
거리측정기
정찰 UAV
BR [73] 8.3 / 8.3 / 8.3 후진 속도[74] 75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400 hp [75]
무장 90mm CN90 F4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30) / 재장전 시간 : 6.5초
7.62mm AA NF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OCC 90 F2(HEATFS) 날개안정대전차고폭탄 [스톡]
OFUM PH90 F1(연막) 연막탄
OE 90 F1(HE) 고폭파편탄 [스톡]
OFL 90 F1(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

2.5버전 업데이트인 "Ixwa Strike"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6랭크 프랑스 경전차다. 1990년대에 AMX-13의 후속을 잇는 경전차 및 다목적 플랫폼으로서 개발되었지만 끝내 프랑스 육군에 채택받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린 비운의 차량이다.

이 지상 장비는 여러 버전 중 ERC-90이 사용했던 90mm F4 주포에 TML 포탑의 사실상 시조격인 포탑(GIAT TS90)을 장착한 버전이다.

날탄을 연구하면 비로소 괜찮아지기는 하지만, 거의 VFM 5의 하위호환 버전이란 얘기를 들어도 좋을 정도로 성능이 별로 안 좋다. 열상 장비는 없고 스테빌라이저도 없어서 아무리 프랑스가 좋아죽는 프랑스 유저라도 이 경전차 만큼은 잘 안 타려 한다. 차라리 이것보다 시야 부분에서는 훨 나은 퀴라시어를 타려고 하는 정도이다.

그래도 장점을 찾아보자면 비슷한 무게에 다른 경전차들에 비해서 높은 400 마력의 엔진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엄청 빠르고 경전차라 불러줄수 있을만한 추중비와 속도를 보여준다.

90 mm 날탄의 관통력은 좋은 편이나, 소구경이라 파편이 부족한 것이 단점이다. 반면 연사력은 에이스 승무원 기준 5초로, 자동장전기 수준으로 좋아서 약점 사격만 잘하면 상당한 위력과 유연성을 보여준다.

AMX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차체 전방에 엔진 및 변속기가 있어서 하위 BR대 전차들의 구식 철갑탄 및 초기 분리철갑탄에 저항력이 있다. 물론 운 좋으면 살 수 있게 해주는 정도이며 당연히 날탄에는 무력하다. 철갑탄으로 적 MARS 15를 상대하려면 차체보다 포탑을 공격하는 것이 낫다.

그리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도 있으므로 속도를 살려 저격위치를 선점하거나 시가전에서 뺑뺑이돌아서 우회나 옆구리를 공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연사력과 기동성이 우수해 우회 공격에 매우 적합하다.

7.1.2. AMX-13 (HOT)

AMX-13 (HO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x_13_hot.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MARS 15 AMX-13 (HOT) AMX-10RC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81,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45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3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78] 61 km/h 특수 기능 정찰 UAV
BR [79] 8.3 / 8.3 / 8.3 후진 속도[80] 7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400 hp [81]
무장 75mm SA50 57구경장 전차포[82] × 1 (탄약 적재량:36) / 재장전 시간 : 5.0초
7.5mm MAC 3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4950)
HOT ATGM × 6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POT-51A(APBC) 저저항모부철갑탄 [스톡]
OE Mle 1951(HE) 고폭파편탄 [스톡]
PCOT-51P(APCBC) 저저항피모철갑탄
보조 무장 미사일HOT(ATGM) 대전차미사일 }}}}}}}}}

AMX-13에 HOT 미사일 런처를 올려놓은 전차이다.[85] SS.11 하푼을 발사하는 AMX-13 버전과 다르게 시선 유도형 미사일을 쏘기 때문에 라케텐판저 HOT와 마찬가지로 BR 8.3 에 걸려있다.

2세대 소련 전차들을 잡기 위해 HOT 만 달린 것이기 때문에, 2세대와 3세대 전차를 상대하기 위해 75 mm 주포를 쓸 때에는 측면이나 후면을 공격하는 게 낫다. 75 mm 철갑탄이라 주포나 궤도를 비롯한 외부 모듈도 잘 파괴한다. 나름 관통력은 높기 때문에 초기형 MBT도 상대가 가능하다.

요동포탑형 자동장전기는 여전하여 5초마다 발사할 수 있는데, 해당 BR대에도 높은 연사력이라 HOT 만큼이나 활용도가 높다.

HOT 미사일은 최대 700mm라는 높은 관통력을 가지고 있지만, 발사대의 각도가 수평이 아니기 때문에 발사 시 위로 올라갔다가 시선대로 날아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근거리에서 적 전차를 상대할 때 이 짓을 하는 것은 금물이며, 만약 급할 시에는 RBT나 크롬웰 RP-3처럼 지형지물을 사용하거나 주포를 아래로 내려 발사대를 수평에 가깝게 만들고 발사하는 게 좋을 것이다. 근접전에는 무조건 주포 조준점을 적 아래에 두고 미사일을 쏴야 한다. 미사일 발사를 위해 포탑 위에 광학장치를 달았는데 이게 포탑에 우뚝 솟은 큐폴라보다도 더 높이 있어 적에게 잘만 들키는데 또 부품 판정이라 여기에 고폭 맞으면 폭압킬이 난다. 여러모로 단점만 가득한 애물단지.

이런 두 가지 특성들을 이용해볼 때, 근거리에서는 매복해서 지나가는 MBT의 측면을 노릴 수 있고 원거리에서는 HOT 미사일로 저격을 하면서 치고 빠지는 전술을 구사할 수 있다. 하지만 구식전차를 급조개량했던 물건이기에, 야시경과 열영상 장비가 없어서 주간에서 1,5선이나 2선에서나 굴려먹을만 하다. 애초에 미사일만 빼면 6.7짜리 물건이 8.3에 돌아다니는 격이라 더욱 조심스러운 운용이 필요하다.

7.2. AMX/SK 계열

7.2.1. AMX-10RC

AMX-10R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x_10rc.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MARS 15 AMX-10RC SK-105A2 [86]
AMX-13 (HOT) [87] VBCI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6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45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3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88] 84 km/h 특수 기능 1세대 열상 [89]
레이저
거리측정기
정찰 UAV
유기압 현수장치 제어
수륙 양용
BR [90] 8.3 / 8.3 / 8.3 후진 속도[91] 84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 280 hp [92]
무장 105mm CN105 F2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38) / 재장전 시간 : 9.8초
7.62mm AA NF1 기관총 × 2 (탄약 적재량:4000)
76mm 연막탄 × 4
사용 탄종 OCC 105 F3(HEATFS) 날개안정대전차고폭탄 [스톡]
OE 105 F3(HE) 고폭파편탄 [스톡]
O-FUM-PH-105 F3(연막) 연막탄
OFL 105 F3(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

1.85 업데이트인 'SuperSonic'에서 추가된 강행정찰차량이다.

특징으로 차체 선회 방식이 특이해서[95] 제자리 선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게 이동 중에 조금만 선회해도 속도를 확 깎아먹는 단점이 있으니 감안하고 움직여야 한다. 기본 고저각 자체가 나쁘지 않거니와 유기압 서스펜션으로 차체 각도를 제어할 수 있어 지형을 조금 덜 타는 장점이 있고 언덕 같으뉴 지형지물을 이용해 헐다운하면서 치고 빠지는 것도 가능하다.

차륜형 치고는 험지 주파력이 나쁘지 않기는 하지만 출발 후 가속 자체가 그리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니 유의할 것. 수륙양용이라는 장점도 있어서 사용자에 따라서는 오만가지 전술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깨알 같이 전개되는 앞 쪽의 방탄유리는 덤.

업그레이드 탄으로 최대 325mm 관통의 날탄이 존재하는데, AMX-30에 쓰이는 그 날탄보다는 관통력이 조금 낮고 객관적으로도 높다고 하기는 좀 뭐한 관통력이긴 하지만 상위 BR 전차들도 일단 날탄인지라 경사도가 어쨌든 웬만해선 다 뚫을 수 있다. 거기에 포수 열상 조준경과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장비되어 있고 상술했듯이 상위권의 기동력과 더불어 지형을 덜 타는 점이 날탄, 소프트웨어 부분과 시너지가 엄청나서 저격 난이도 자체를 없애는 수준에 가깝게 만들어버린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대 프랑스 종특인 포신 안정기 생략은 이 전차도 피해가지 못했고 자체 안정성이 좋은 축에 들지는 못하기 때문에 기동 중 신속한 정밀 사격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우회보다는 저격하는 플레이 스타일에 조금 더 어울린다.

흔히 간과되는 장점이 방호력이 나쁘지 않다는 점인데, 장갑 수치 자체가 나름 튼튼한 편이며 승무원도 4명에 나름 현대 장비라고 탄약고가 터지지 않는 이상, 어디를 무슨 탄을 맞든 한 발 정도는 버텨준다. 비슷한 포지션인 센타우로가 가끔 한방 컷이 나는 걸 생각하면 확실한 장점.

종합적으로 BR이 8.3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상당히 훌륭한 장비라고 할 수 있다. 인근 BR에 위치한 장갑차인 브래들리, 센타우로, 89식 등이 모두 있는 스테빌라이저 생략이 아쉬울 수는 있지만 애초에 스테빌라이저가 달렸으면 BR 8.7정도를 받아도 이상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아쉬운 정도로 생각하자.

기본적으로 저격의 효율이 매우 높으며, 장갑차라 정찰 기능도 탑재되어 있어 다방면에서 지원이 가능한 다재다능한 전차다. 다만 근거리 개싸움은 단점이 더 부각되기도 하고[96] 중구경 기관포만 만나도 정면 방호가 되지 않기 때문에 십중팔구 적 장갑차에게 지므로 웬만해선 피하는 것이 좋다.

7.2.2. SK-105A2

SK-105A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WT_SK105_A2.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0RC SK-105A2 VBCI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94,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52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5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97] 68 km/h 특수 기능 3세대 열상 [98]
레이저
거리측정기
정찰 UAV
BR [99] 8.7 / 8.7 / 8.7 후진 속도[100] 8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320 hp [101]
무장 105mm PzK M57 전차포[102] × 1 (탄약 적재량:42) / 재장전 시간 : 4.0초
7.62mm MG3A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76mm 연막탄 × 6
사용 탄종 OCC 105 F1(HEAT) 대전차고폭탄 [스톡]
OE 105 F1 Mle.60(HE) 고폭파편탄 [스톡]
OFPH 105 F1(연막) 연막탄
OFL 105 G1(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

2.5버전 업데이트인 "Ixwa Strike"에서 추가되었다.

오스트리아에서 프랑스의 AMX-13-105의 FL-12 포탑과 105mm 주포를 유용해 자체 개발한 차체와 합쳐져 만들어진 물건이기 때문에, 탄종도 프랑스제 물건들이다. 기본탄이 대탄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프랑스 대탄 특유의 화력이 어디 안 가기 때문에 장갑이 특정 부위에 한해 약하거나 하는 MBT나 경차량들에게는 상당히 위협적이다. 날탄은 AMX-30B2와 비슷한 성능을 낸다.

열상 장비가 3세대급으로 8.3 대 전차 치고는 압도적으로 좋은 편이다.

원래 개발 중에는 수직안정기도 있었고 배틀레이팅도 9,0이었으나 개발진에서 소속국가가 오스트리아라고 독일에다가 집어넣는 바람에 포럼을 포함해 모든 유저들이 이건 아니다라는 반응을 보이고 프랑스에도 추가해달라는 항의를 연거푸 받아 결국 독일은 아르헨티나 수출형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수직 안정기를 잃어버리고 대신 현재의 배틀레이팅으로 내려가게 되었다.

7.3. VBCI

VBCI
VBCI (VCI)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WT_VBCI.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AMX-10RC VBCI 벡스트라 105
SK-105A2 [105]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19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52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15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 전진 속도[106] 100 km/h 특수 기능 2축 주포안정기
3세대 열상 [107]
레이저
거리측정기
정찰 UAV
LWS
추적 IRST
BR [108] 9.3 / 9.3 / 9.3 후진 속도[109] 36 km/h
승무원 3명 엔진 출력 550 hp [110]
무장 25mm CN25 M811 기관포 × 1 (탄약 적재량:600) / 재장전 시간 : 10.4초
7.62mm AA NF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4600)
80mm 연막탄 × 14
사용 탄띠 기본 [스톡] APDS/HEI-T/HEI-T [112] (분리철갑탄/고폭소이예광탄)
M792 HEI-T/HEI-T/HEI-T (고폭소이예광탄)
M791 APDS/APDS/APDS (분리철갑탄/분리철갑탄/분리철갑탄)
PMB 090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

2.43 업데이트 "Storm Warning" 업데이트로 추가된 프랑스군의 병력수송장갑차/차륜형 보병전투차다.

8. 7랭크

8.1. 벡스트라 105

벡스트라 105
Véhicule d'EXpérimentation de TRAnsmission 10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랑스 육군 경전차 트리
파일:fr_amx_10rc.png
이전 차량 현재 차량 다음 차량
VBCI 벡스트라 105 - }}}}}}}}}
성능 카탈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필요 RP 260,000 파일:13px-Rp_icon.png 가격 710,000 파일:19px-Sl_icon.png 전환 훈련 비용 200,000 파일:19px-Sl_icon.png
<colcolor=#373a3c> 랭크 VII 전진 속도[113] 120 km/h 특수 기능 2축 주포안정기
2세대 열상 [114]
레이저
거리측정기
정찰 UAV
수륙 양용
BR [115] 9.7 / 9.7 / 9.7 후진 속도[116] 19 km/h
승무원 4명 엔진 출력 700 hp [117]
무장 105mm CN105 G2 전차포 × 1 (탄약 적재량:35) / 재장전 시간 : 8.7초
7.62mm AA NF1 기관총 × 1 (탄약 적재량:2000)
80mm 연막탄 × 14
사용 탄종 OCC 105 F3(HEATFS) 날개안정대전차고폭탄 [스톡]
OE 105-60(HE) 고폭파편탄 [스톡]
O-FUM-PH-105 F3(연막) 연막탄
OFL 105 F1(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

2.37 업데이트 "Seek & Destroy" 를 통해 프랑스 경전차 트리에 추가되었다.

GIAT에서 개발한 시제 장갑차 차대에 AMX-10RC에 장비된 TK 105 포탑의 개량형을 탑재한 전차다. 해외 국가들이 중무장형 차륜 장갑차에 관심을 보여 만들어진 변형이지만, 정작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음에도 프랑스 육군과 해외 구매자 모두에게 관심을 받지 못하여 프로젝트는 취소되었고 한 대 제작된 프로토타입은 바로 박물관으로 직행했다. GIAT가 벡스트라를 제작하며 얻은 경험은 이후 VBCI 시리즈로 이어졌다.

고랭크 차륜 경전차 중에서도 독보적인 25라는 추중비 덕에 기동이 매우 날렵하다. 최고속도는 무려 120km/h이고, 후진은 19km/h로 아주 빠르진 않아도 무난한 수준이다. 차체는 경사가 많이 들어가 있어 생각보다는 튼튼하지만, 포탑은 차체보다 두께도 얇은데 수직장갑 구조라서 매우 취약하다.

포수 2세대 열상을 장비하고 있으며, 다소 특이한 2-10배율 조준기를 사용해 시야가 아주 쾌적하다. 에이스 기준 포탑 선회는 초당 40도, 포신 구동은 초당 30도라 기동 중 조준도 편안하다. 다만 장전이 에이스 기준 6.7초로 조금 느린 편이고, 날탄도 AMX-30 Super와 같은 OFL 105 F1을 사용하여 관통력이 다소 애매한 편이다. 부각이 고작 -6도라 헐다운이 거의 안 되는 것도 치명적인 단점.


[1] 다른 장비와의 연계가 전혀 없음[2] 리얼리스틱[3] (ab)(rb)(sb)[4] 리얼리스틱[5] 리얼리스틱[스톡] [7] 사실 대공차량의 본연의 임무를 고려하면 대공차량을 포함하더라도 제 밥값 못하는 이 전차가 최약체 맞다[8] BR이 1.0으로 변경된 3호 전차 E형의 경우 측면 약점과 후면 차체를 제외하면 장갑 두께가 평균 30mm이므로 AMC-34 YR로 격파는 매우 어렵다. 그 외에도 측면이 25mm 정도의 두께인 차량은 BR 1.0에도 다수 있으며 결국 측면조차 여유롭게 관통하기 어렵다는 말이 된다. 약점을 노리려면 곡사포에 가까운 이 전차의 주포 특성상 근접거리가 아니면 힘들며 그 전에 격파당하지 않고 근접한다는 것 자체가 난이도가 너무 높다.[9] 물론 고증이라면 애초에 어쩔 수가 없다.[10] 2020년 6월 기준, 프랑스는 프리미엄 H39를 포함하면 BR 1.0전차가 무려 8대에 달한다. 물론 이는 정규트리에서 내려간 차량들이 1.0 성능 이하(...)였기에 가능했던 것. 르노 FT-17 만큼은 아니더라도 골동품 전시장이 따로 없는 프랑스 저티어 전차들의 열악한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물론 전간기 프랑스전차 매니아들은 되려 기쁜 비명을 지르고 싶은 상황이기도 하다.[11] 리얼리스틱[12] (ab)(rb)(sb)[13] 리얼리스틱[14] 리얼리스틱[스톡] [16] 정식명칭은 파나르 178이다.[17] 그나마 T-60은 기관포의 최대 관통력이 32mm에 불과하여 어느 한 쪽이 크게 유리하다고 보기는 어렵다[18] 심지어 차체 내부 중간~후방에 걸쳐 2겹의 7mm 장갑판이 있어서 측후면에서 받은 피해를 경감시켜준다. 모듈 파괴를 무시할경우 차체 후방 장갑은 실질적으로 29mm가 되는셈. 이 정도면 기관포나 파편에 대한 생존력은 꽤 향상된다.[19] 이유는 다른 프랑스 전차보다 관통력이 그나마 나아서...[20] 리얼리스틱[21] (ab)(rb)(sb)[22] 리얼리스틱[23] 리얼리스틱[스톡] [25] 다른 하나는 AMD-35.[26] 리얼리스틱[27] (ab)(rb)(sb)[28] 리얼리스틱[29] 리얼리스틱[스톡] [31] 기존의 AMC-35는 1랭크로 내려갔다.[32] 리얼리스틱[33] (ab)(rb)(sb)[34] 리얼리스틱[35] 리얼리스틱[스톡] [스톡] [38] AMX-13의 개량형이며, 당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때 정글환경에 맞게 개량했다. 허나 전쟁에 투입되기 전에 종전이 나게 되고, 그 이후로는 모로코에서 사용하게 되었다.[39] 제 2 외인 공수부대[40] 리얼리스틱[41] (ab)(rb)(sb)[42] 리얼리스틱[43] 리얼리스틱[스톡] [스톡] [46] 특히 독일 전차들[47] 리얼리스틱[48] (ab)(rb)(sb)[49] 리얼리스틱[50] 리얼리스틱[51] 자동 장전 장치[스톡] [스톡] [54] 약실[55] BR이 6.7으로 너프되어 같은 6.7인 스웨덴의 Bkan 1C(반드카논)과 미국의 M50 온토스 등이 생겨서 1위는 아니다. 온토스는 106mm 무반동포를 6개를 장착한 무식한 모습을 하고있으며 재장전 필요없이 106mm 무반동포를 6발 연속으로 쏠수 있으며 반드카논 자주포는 155mm 고폭탄을 3.2초마다 날려댄다.[56] 리얼리스틱[57] (ab)(rb)(sb)[58] 리얼리스틱[59] 리얼리스틱[스톡] [스톡] [62] 리얼리스틱[63] (ab)(rb)(sb)[64] 리얼리스틱[65] 리얼리스틱[66] 자동 장전 장치[스톡] [스톡] [69] 왜냐면 AMX-13 SS.11은 75mm 사양이기 때문[70] 쓸데없다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생각보다 사용할 만한 곳이 많다. 연막탄이 다른 현대 전차들과 다르게 대전기 전차들처럼 투발 후 굉장히 늦게 연막을 펼쳐주기 때문이기도 하고, 떨어져 있는 아군을 위해 연막을 피워줄 수도 있는 선택지를 제공한다. 필요하다면 적 전차에 직격으로 발사해 시야를 가릴 수 도 있다.[71] 필수 X[72] 리얼리스틱[73] (ab)(rb)(sb)[74] 리얼리스틱[75] 리얼리스틱[스톡] [스톡] [78] 리얼리스틱[79] (ab)(rb)(sb)[80] 리얼리스틱[81] 리얼리스틱[82] 자동 장전 장치[스톡] [스톡] [85] 후기형이다. 초기형 HOT AMX-13은 HOT 미사일 런쳐가 8개나 달려 있었다. 둘 다 시제품으로 끝났다.[86] 필수 X[87] 필수 X[88] 리얼리스틱[89] 사수[90] (ab)(rb)(sb)[91] 리얼리스틱[92] 리얼리스틱[스톡] [스톡] [95] 흔히 쓰이는 바퀴를 틀어 조향하는 방식이 아니라 양 쪽 바퀴의 속도를 다르게 해서 조향한다. 즉, 궤도 장비처럼 조향한다.[96] 특히 센타우로 하위호환이 되어버린다.[97] 리얼리스틱[98] 사수[99] (ab)(rb)(sb)[100] 리얼리스틱[101] 리얼리스틱[102] 자동 장전 장치[스톡] [스톡] [105] 필수 X[106] 리얼리스틱[107] 사수,전차장[108] (ab)(rb)(sb)[109] 리얼리스틱[110] 리얼리스틱[스톡] [112] 자폭탄[113] 리얼리스틱[114] 사수[115] (ab)(rb)(sb)[116] 리얼리스틱[117] 리얼리스틱[스톡] [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