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8:47:27

수도권 전철 1호선/덕정~덕계 중간역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회천중앙역(가칭)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건설 중
인천 방면
덕 계

1.6 ㎞ →
역명 표기
경원선 회천중앙
Hoecheonjungang
檜川中央 / 桧川中央 / [ruby(桧川中央, ruby=フェチョンチュンアン)]
1호선
주소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 698-1
관리역 등급
미정
(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원선 2029년 예정
1호선
역사 구조
미정
승강장 구조
미정
노선거리표
경원선
회천중앙

(미개통)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 698-1 인근에 신설 예정인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의 역이다. 풍기역처럼 역 건설을 염두에 두고 역 번호를 비워두지 않았기 때문에 역번호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발표된 계획이 없다.

2. 역 정보

경원선 양주시 구간의 역간거리가 인접한 의정부시동두천시 구간에 비해 길어, 양주시에서 추가역 건설을 추진해 왔다. 이 중 양주신도시 회천지구와 기존에 건설된 덕정2지구를 배후인구로 둔 회정역이 2019년 12월 국토교통부의 심사를 통과하여 가장 먼저 신설이 확정되었다. #

2020년 3월 양주시의회의 현장방문사진을 통해 토공구간이 아닌 교량구간에 역이 건설됨이 알려졌다. #

2020년 7월 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한국토지주택공사, 양주시한국철도공사간의 협약이 체결되어 신설이 한층 더 구체화되었다. #

2021년 4월 설계공모 당선작이 공개되었다. ## 동해선 구간의 신축 역사와 비슷한 디자인과 역사 크기 안이 채택되었는데, 교량구간 현장 특성을 살려 선하역사로 건설될 예정이다.

양주시에 따르면 2024년 12월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2025년 하반기 공사 착공하여 2027년 12월 공사 준공 후 시운전을 거쳐 2029년 개통 예정이다. #

역명 공모를 거쳐 양주시청 홈페이지에서 1안 김삿갓역, 2안 독바위역, 3안 회암사지역, 4안 회정역, 5안 회천역, 6안 회천중앙역으로 2022년 12월 30일까지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상위 2개안을 지명위원회에서 심의하여 2023년 1월 최종 역명안으로 회천중앙역을 국가철도공단에 제출했다. #

3. 역 주변 정보

현재까지 역사 예정지 인근이 양주신도시 회천지구 조성 공사 중이라 신축할 장소 주변에는 하천변 산책로를 제외하면 아무 것도 위치해있지 않다. 역사 남측을 통과해 평화로옥정신도시를 잇는 회천로의 회천지구 연장공사가 2020년 6월에 시작되었다.

역사 인근에 예비군훈련장이 위치해 있는데, 역사 건설로 기존 118번 버스에 의존해야만 했던 의정부시 참석대상자의 접근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그리고 회천중앙역은 역사가 새로 조성될 지역에 위치해 있어 덕정주공 4단지를 필두로 한 덕정지구에서의 접근성 강화 계획이 명확하지 않다. 청담천 동쪽까지가 회천지구 사업대상지인만큼 사전에 인도교 등 접근성 강화가 필요해 보이는데, 양주시에서도 이를 인지하여 관계 기관에다 진입도로를 확충해 달라고 요청을 해놓은 상태이다. #

덕계역과 마찬가지로 역사 동측에 회천지구와 옥정신도시의 경계가 위치해 있다. 고암동 286-4번지 인근이 그 경계로, 다행히 임시도로가 개통되면서 회천남로 사례처럼 독바위로 코 앞에서 도로가 끊기는 사태는 면했다.

4. 승강장

5. 기타

이 역이 개통하면 급행은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 대신 덕계역에 추가 정차할 수도 있다.

역이 추가됨으로써 1호선 양주행 열차의 덕정역 연장이 더욱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양주시 입장에서도 남쪽 끄트머리의 양주역 하나만 가는 양주행은 큰 쓸모도 없다.

그리고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연장하려면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도 있는데, 증차해도 광운대역이나 창동역까지만 가는 셔틀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정작 1호선 거의 모든 열차가 지나는 구간인 서울 지하철 1호선동묘앞역~서울역 구간은 선로용량 과포화기 때문이다. 이는 종로3가역 등에서 전동차를 기다려 보면 알 수 있는데, 주말이나 평일 낮에도 서울 지하철 2호선보다 자주 오는 경우가 잦다.

6.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철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덕정 · 덕정~덕계 중간역 · 덕계 · 양주
파일:Seoulmetro7_icon.svg 104정거장 · 201정거장
[[무궁화호|
무궁화호
]]
송추 · 장흥 · 일영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덕정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0.svg수도권제1순환 송추IC
파일:Expressway_kor_400.svg수도권제2순환 서양주IC · 북양주IC · 양주IC · 옥정IC
파일:대한민국_고속국도.svg 서울양주
고속화도로 신평화로 · 신호국로
국도 3 · 39
지방도 360 · 98 · 56 · 364 · 367 · 371 · 375 · 379
버스 양주시의 버스 목록 · 양주시의 마을버스
경기도의 교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