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역 구조 유형 | ||
지상역 | 선상역 | 반지하역 |
선하역 | 고가역 | 지하역 |
1. 개요
천안아산역 |
線下驛舍 |
철도 아래에 역무 시설이 존재하는 역사를 말한다. 선로 아래에 역이 세워진다. 대개 철도 아래에 맞이방이 존재하면 선하역사에 해당한다.
부산김해경전철, 용인 에버라인,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도권 전철 2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등 거의 모든 고가 도시철도 지상역이 선하역사에 해당된다. 대부분 고가 선로 아래에 역무실 및 맞이방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선상역사가 있다.
고가역사도 선하역사의 일종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의 선하역사 목록에는 고가역사도 등재한다.
1.1. 장점
선로가 고가교에 있기 때문에 양쪽 선로에서 접근하는 것이 쉽다.1.2. 단점
역사의 상부에 선로가 있기 때문에 열차 운행으로 인한 진동이 직접 역사 구조물로 전달된다. 그 때문에 소음 및 진동에 취약하다.지상의 철도 구조물로 미관상 보기 안 좋을 수 있기 때문에 경관상의 배려가 필요하다.
규모가 큰 역(민자역사, 많은 노선들의 환승역, 차량기지와 연결되는 큰 역들 등)을 짓기에 구조상의 이유로 짓기 어렵다. 그래서인지, 대부분의 큰 역들은 죄다 선상역사이다.[1]
2. 대한민국의 선하역사 목록
도시철도 역사 중 선하역사가 많이 있기 때문에 따로 분류한다.2.1.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 공주역
- 군북역
- 군산역
- 김천(구미)역
- 남춘천역[2]
- 대천역
- 마석역[3]
- 매곡역
- 반성역
- 봉천역(전라선)
- 삼산역
- 상봉역[4]
- 서광주역
- 경주역
- 아산역
- 안동역
- 여천역
- 오송역(경부고속선)
- 울산역
- 일신역
- 죽림온천역
- 천안아산역
- 태화강역
- 창원중앙역
- 선하역
2.2. 도시철도 + 광역철도
- 1호선
- 청산역, 보산역, 동두천중앙역, 지행역, 덕정역, 덕계역, 양주역, 녹양역, 가능역, 망월사역, 도봉역, 방학역, 석계역, 남영역, 대방역, 소사역, 동암역, 동인천역, 세마역, 쌍용역, 탕정역, 배방역, 온양온천역
- 2호선
- 3호선
- 4호선
- 7호선
- 경강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수인·분당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공항철도
- 용인 에버라인
- 의정부경전철
- 모든 역
- 부산 1호선
- 부산 2호선
- 부산 3호선
- 부산 4호선
- 부산김해경전철
- 모든 역
- 동해선
- 대구 1호선
- 대구 2호선
- 대구 3호선
- 모든 역
- 대경선
- 광주 1호선
3. 세계의 선하역사 목록
4. 관련 문서
[1] 예를 들어, 고속철도+광역철도(일반철도 포함)(서울역, 수원역, 용산역, 수서역, 청량리역), 광역철도(일반철도 포함)(의정부역, 왕십리역), 차량기지와 연결된 역(장암역, 광운대역).[2] 일반 전동차를 제외한 ITX청춘에만 포함[3] 남춘천역과 마찬가지로 일반 전동차를 제외한 ITX청춘에만 포함[4] 남춘천역과 마찬가지로 일반 전동차를 제외한 ITX청춘에만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