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04:29:48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svg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 화이트.svg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연대회의)) · 최종 후보
여론조사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변수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결과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
기타 타임라인 · TV 토론회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3><tablewidth=500><bgcolor=#FFED00,#FFED00><tablebordercolor=#FFED00,#FFED00><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right>
가자! 평등으로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
<nopad> 파일:특별페이지_웹자보.jpg
{{{#!wiki style="margin: -7px -12px" 2021년 10월 12일
제20대 대선 경선
2025년 4월 30일
제21대 대선 경선
2030년
제22대 대선 경선
}}}
선출 대상 정의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투표율 85.70% ▲ 30.12%p
방식 선거인단 투표 100%
선거 결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후보 [[정의당|
정의당
]]
권영국
무소속

한상균
전체 득표
4,565표
70.47%
1,912표
29.53%
}}}
대통령 후보 당선인
<nopad> 파일:권영국 8대 정의당 대표.jpg
정의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권영국

1. 개요2. 상세3. 경선 참여 단체4. 일정5. 후보6. 선거 운동
6.1. 온라인 토론회
7. 개표 결과
7.1. 출마 기자회견
8. 총평9. 둘러보기

1. 개요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ffed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ed00> ||
하나된 진보정치, 가자! 평등으로!
||

제21대 대통령 선거 참여를 위해 노동당-녹색당-정의당-진보시민단체 연대조직 '사회대전환 연대회의'가 진행한 대통령 후보 경선.

2. 상세

경선을 주관하는 '사회대전환 연대회의'에는 진보좌파 성향의 정당과 시민단체들이 참여한다. 정당 중에서는 정의당노동당이 참여하며, 이들과 함께 소위 '진보 3당'으로 불리며 그동안 연대 활동을 해온 녹색당은 정식으로 합류하지는 않고 지지 선언 및 간접 참여[1]한다. 노동단체들 중에서는 '노동해방을 위한 좌파활동가 전국결집(전국결집)', '노동자가 여는 평등의길(평등의길)'을 비롯해 진보좌파 성향의 '노동·정치·사람', '새로운노동자정치운동추진모임(새노추)', '체제전환운동[A] 조직위원회'가 참여했다.

노동·기후·여성·소수자 인권 운동에 천착해온 진보좌파 정당 및 시민단체들, 산별노조들이 참여하는 연합단체를 대선후보 선출의 장으로 만들어 '원외 진보대연합 단일후보'를 출마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현행법상 선거 후보자는 정당에 소속되거나 무소속으로만 출마할 수 있고 시민단체정당연합 이름을 내걸고 출마할 수 없기 때문에, 경선에서 선출된 후보자가 정의당 후보로 본선에 출마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의당은 진보좌파 제정당·사회단체 세력의 연합 후보임을 내세우기 위해 당명을 변경할 예정이다. 정의당 소속으로 출마하는 이유는, 정의당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외로 밀려났지만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전국 유효득표수의 3% 이상인 4.14%를 득표한 바 있어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개혁신당과 함께 대선후보 TV 토론회에 참여할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노동조합·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하여 '진보좌파연합 단일후보'를 선출해 출마시키는 방식은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민중경선'이라는 이름의 선거연합[3]으로 실현될 뻔 했지만, 단일화 방식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정의당 심상정, 진보당 김재연, 노동당 이백윤 세 후보가 각자 출마하며 무산된 바 있다. 이후 당내 제3지대 계파가 집단 탈당하면서 좌경화한 정의당노동당·녹색당과 급속도로 가까워졌고, 다양한 활동 공조를 해오다 이번에 시민단체들까지 포괄하는 연합이 성사된 것.

연합 후보 출마의 플랫폼으로 기능할 정의당노동당·녹색당 및 여러 사회단체들과 두 달에 걸쳐 연석회의를 벌이면서 조기 대선 대응 관련 비공개 논의를 진행했고, 단일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경선 방식과 함께 당명 변경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의에 따라 제22대 총선 당시의 녹색정의당처럼 당명 변경을 수반하는 사실상의 정당연합을 결성할 것으로 보인다. # 다만 녹색당이 연대회의에 불참하되 후보를 지지하는 수준의 선거연대 방침을 확정하고, 노동당 역시 연대회의에 정식으로 참여하되 유력한 출마자로 손꼽혔던 이백윤 대표가 불출마하면서 정의당 몫으로 출마한 권영국 대표와 노동계 대표로 출마한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 간 양자 경선이 확정되었다.

한편 당명의 경우 4월 27일 실시된 정의당 정기당대회에서 '민주노동당'이라는 임시 당명으로 변경하는 안을 당원총투표에 부치는 것이 확정되어, 총투표에서 찬성이 다수일 시 민주노동당이라는 당명으로 출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3. 경선 참여 단체

4. 일정

||<-3><tablewidth=600><bgcolor=#FFED00,#FFED00><colcolor=#000><tablebordercolor=#FFED00,#FFED00><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
가자! 평등으로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
||
제21대 대통령 후보 선출 일정
후보 등록 <colbgcolor=#f5f5f5,#2d2f34> 4월 14일 경선 후보 등록 시작
4월 15일 경선 후보 등록 종료
선거운동 4월 16일 ~ 4월 26일 선거운동 기간, 선거인단 모집
후보 토론회
4월 16일 경선 후보 출마 및 선거인단 참여 독려 기자회견
투개표 4월 27일 ~ 4월 30일 선거인단 투표
4월 30일 개표
당선 확정 후 5월 1일 대선후보 출마 선언 기자회견
당선인 예비후보 등록 후 선거운동 돌입

5. 후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e52645, #f4cc15, #18967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ffed00> 기호 정당 이름 비고
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 정의당 권영국 당선
무소속 한상균
18(대) · 2 · 3 · 19(대) · 4 · 5 · 6 · 20(대) · 7 · 8 · 21(대)
}}}}}}}}}}}} ||

5.1. 권영국

<colbgcolor=#FFED00,#FFED00> 파일:정의당 아이콘.svg 권영국 (權英國)
파일:권영국 8대 정의당 대표.jpg
출생 1963년 8월 15일 (61세), 강원도 삼척군 장성읍
현직 제8대 정의당 대표
경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법률원장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노동위원장
세월호 참사 조사 특위위원장
정의당 노동인권안전특별위원회 위원장
권영국 후보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경선 출마 선언
권영국 후보 소개 영상

5.2. 한상균

<colbgcolor=#808080> 한상균 (韓相均)
파일:한상균위원장.png
출생 1962년 10월 12일 (62세), 전라남도 나주군
현직 노동자계급정당건설추진준비위원회 공동대표
경력 금속노조 쌍용자동차 지부장
제11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권리찾기유니온 초대 위원장
한상균 후보 소개 영상

6. 선거 운동

6.1. 온라인 토론회

김준우의 야망 출연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대선후보 초청 온라인 토론회
프레시안 TV 강상구 시사콕

7. 개표 결과

파일:정의당 아이콘.svg '''{{{#000,#fff 경선 결과 발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margin-top: -10px"
<rowcolor=#373a3c,#dddddd>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정의당 아이콘.svg 권영국(權英國) 4,565 1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70.47% 당선
한상균(韓相均) 1,91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53%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7,559 투표율
85.70%
<rowcolor=#373a3c,#dddddd> 투표 수 6,477

7.1. 출마 기자회견

파일:정의당 아이콘.svg '''{{{#000,#fff 대통령 후보 출마 기자회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margin-top: -10px"

8. 총평

권영국 후보가 인지도[8]와 리스크[9] 등에서 한상균에 비해 비교우위가 형성된 만큼, 결과도 무려 두 배 이상 차이로 권영국이 이겼다.

9. 둘러보기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ed00><colcolor=#000,#000> 역사 2015년 이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 분당 사태
당직선거 제2기(2013) · 제3기(2015) · 제4기(2017) · 제5기(2019) · 제6기(2020) · 보궐·청년정의당 대표선출(2021) · 제7기(2022) · 제8기(2024)
선거 지지 기반
20대 총선 결과
7회 지선 결과
21대 총선 후보자 · 결과
20대 대선 경선 · 심상찮은 선대위 · 결과
8회 지선 결과
22대 총선 후보자 · 결과
21대 대선 경선 · 결과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관련 단체 청년정의당 · 정의정책연구소
진보정의당 · 국민모임 · 노동정치연대 · 평등사회네트워크 · 인천연합 · 전환
기타 노심조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그린뉴딜 포럼 (정의당·녹색당·미래당 공동캠페인) · 땀이 · 민주적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참여민주주의 · 진보주의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계파 분류 · 20대 국회의원 · 21대 국회의원
}}}}}}}}}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21대 대통령 선거 정당별 상황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정당 상황 후보
더불어민주당 <colbgcolor=#f8f8f8,#222427>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27일 선출
이재명
국민의힘 경선 진행 중
2025년 5월 3일 선출
조국혁신당 무공천 결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개혁신당 예비후보 등록
2025년 3월 18일 선출
이준석
진보당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19일 선출
김재연
기본소득당 후보 선출 예정
2025년 5월 6일 대의원대회
사회민주당 무공천 결정
범민주진보 후보 지지
가락당 후보 선출
2025년 4월 23일 추대
박종구
국민연합 후보 선출
2025년 4월 28일 추대
염안섭
노동당 무공천 결정
정의당 권영국 후보 지지
녹색당
새미래민주당 후보 선출
2025년 4월 28일 추대
이낙연
자유통일당 후보 선출 예정
전당대회 미정
정의당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선출
권영국
한반도미래당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예비후보 등록
김정선
}}}}}}}}}}}}

[1] 당 차원에서 노동당과 함께 참여 중인 '체제전환운동'이 연대회의에 합류하면서 간접적으로 참여한 셈이 되었다.[A] 녹색당, 노동당을 비롯해 공동체은행 빈고, 교육공동체 나다, 교육노동자현장실천, 노동도시연대, 노동해방을 위한 좌파활동가 전국결집,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더 나은 삶을 위한 정책연합당 추진위원회, 민달팽이 유니온,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빈곤과 차별에 저항하는 인권운동연대, 빈곤사회연대, 삶과 노동을 잇는 배움터 이짓, 새로운노동자정치운동추진모임, 시민건강연구소, 아래로부터전북노동연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옥바라지선교센터, 음성노동인권센터, 이윤보다인간을, 인권교육센터 들, 인권운동사랑방, 전환,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직접행동영등포당, 진보 3.0, 진보네트워크센터, 책방토닥토닥, 천주교 예수회 인권연대연구센터,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탄소잡는채식생활네트워크, 플랫폼C, 한국성폭력상담소,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 홈리스행동, 화폐민주주의연대 등이 참여하고 있는 진보 시민단체 연대조직이다. 2024년 7월 17일 기준 39곳의 시민단체가 함께하고 있다고 한다.[3] 당시 이 연합에는 진보당도 함께하려 했으며, 노동당에 합류하기 전에 별도로 활동하던 법외정당 '사회변혁노동자당'도 참여했었다.[4] 민주노총 전체가 아니라 몇몇 산별노조가 참여했다. 참고로 이번 경선에 참여하는 산별노조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비전국회의계열이 위원장직을 차지하고 있는 공공운수노조, 보건의료노조, 화섬식노조, 금속노조 등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5] 민주노총 정치위원회가 대선 방침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운수노조는 4월 29일 연대회의 후보 지지를 대선 방침으로 결의하였다.[A] [7] 경선에는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지만 당 차원에서 선거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8] 노동계에서의 인지도는 한상균과 권영국이 비등했지만, 다른 시민사회단체에선 권영국이 인지도가 매우 앞섰다.[9] 뚜렷한 논란이 없는 권영국과 달리 한상균은 목수정과 같이 코로나19 백신 음모론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 반지성주의가 어느정도 있더라도 예방의학에 대해서도 신뢰성이 제법 높은 상황에서 안티백서 이슈는 치명타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