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1:16:19

제21대 대통령 선거/타임라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svg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 화이트.svg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경선 무효) · 국민의힘(재경선)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 최종 후보
여론조사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변수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결과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사건사고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 김문수 후보 교체 사건
기타 타임라인 · TV 토론회 · 내란종식 원탁회의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 반명 빅텐트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1. 개요2. 범례3.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4. 윤석열 대통령 파면 후
4.1. 2025년 4월4.2. 2025년 5월4.3. 2025년 6월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타임라인에 대해 서술한 문서.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시 제1야당 국민의힘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윤석열 정부는 낮은 지지율로 인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여당 참패로 임기 내내 여소야대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를 타파하겠다는 목적으로 2024년 12월 위헌 소지가 다분한 비상계엄을 행함으로 인해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었고, 탄핵 심판을 받게 되면서 탄핵 인용에 따른 조기대선 가능성이 언급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인용하면서 대선 기간이 시작되었다.

2. 범례

대선 출마 선언 관련 내용 작성은 "대선에 출마한다."라는 직접적인 언급이 있어야 합니다. '대선'이라는 표현이 빠진 시사 발언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3.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24년 #===
===# 2025년 #===

4. 윤석열 대통령 파면 후

4.1. 2025년 4월

4.2. 2025년 5월

4.3. 2025년 6월


[1] 원래 진보당의 색상은 #d6001c이지만, 국민의힘 색상과 구분하기 위해 #9a1123을 사용함.[2] 재적 300 재석 190 찬성 190 반대 0 기권 0 무효 0[A]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4] 재적 300 재석 195 - 투표 성립 기준인 재석 200에 미치지 못하여 불성립[A] [6] 재적 300 재석 300 가 204 부 85 기권 3 무효 8[7] 재적 300 재석 192 가 192 부 0 기권 0 무효 0[8]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미임명에 대한 권한침해확인 - 총원 8 출석 8 인용 8 기각 0 각하 0
후보자에 대한 헌법재판관 지위 확인 - 총원 8 출석 8 인용 0 기각 0 각하 8
[9] 찬성 92.81%(37,046표) 반대 7.19%(2,868표)
(단독 입후보 함에 따라 찬반 투표로 진행)
[10] 총원 8 출석 8 인용 1 기각 5 각하 2[11]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12] 총원 8 출석 8 인용 8 기각 0 각하 0[13] 다음날인 13일 출마를 선언할 계획이었으나 철회.[14] 11일 당무위에서 의결 후 13일 국회 기자회견으로 공식 발표. 16~17일 당원, 대의원들의 투표를 거쳐 당론으로 확정.[15] 4월 7일에 출마를 선언했으나 경선 룰에 반발하여 철회.[16] 전날인 13일에 15일 오전 국회에서 출마를 선언하겠다고 밝혔으나 철회.[17] 항소심 판결이 잘못되었으니 사건을 고등법원으로 돌려보내 2심 재판을 다시 하라는 것이다. 다만 대법원 재상고심 판결까지는 형량이 확정되지 않기 때문에 대선 출마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며, 5월 7일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공판 기일을 5월 15일에서 대선 이후인 6월 18일로 연기하면서 대선 전에 형량이 확정될 가능성이 사실상 없어졌다.[18] 한덕수 국무총리의 사임이 공식적으로 2일 0시에 이루어졌고,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이에 앞선 1일 22시 30분경 자신의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는 것을 앞두고 자진사퇴 의사를 밝혔으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사임 전 이를 재가함에 따라 사퇴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국무총리와 경제부총리 다음 권한대행 순서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는다.[19] 사전투표 제도 도입 이래 최초로 휴일이 껴있지 않는 사전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