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6:48:37

마은혁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마은혁"><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박충권의 마은혁 비난 발언에 대한 내용은 박충권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충권#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충권#'마은혁 공산주의자' 발언 논란|'마은혁 공산주의자' 발언 논란]]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8D182B><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8D182B>
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E6B36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헌법재판소 재판관 겸 헌법재판소장
(공석)권한대행 문형배
헌법재판소 재판관
문형배
문재인 대통령 임명
이미선
문재인 대통령 임명
김형두
김명수 대법원장 지명, 윤석열 대통령 임명
정정미
김명수 대법원장 지명, 윤석열 대통령 임명
정형식
윤석열 대통령 임명
김복형
조희대 대법원장 지명, 윤석열 대통령 임명
조한창
국민의힘 추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임명
정계선
더불어민주당 추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임명
마은혁
더불어민주당 추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임명
역대 헌법재판소 재판관 목록 보기
}}}}}}}}}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마은혁
馬恩赫 | Ma Eun-hyeok
파일:마은혁 헌법재판소 재판관 선출자.jpg
<colbgcolor=#911b2b><colcolor=#e6b366> 출생 1963년 9월 27일 ([age(1963-09-27)]세)
강원도 고성군 거진면
(現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현직 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기간 헌법재판소 재판관
(국회 더불어민주당 몫 선출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임명)
2025년 4월 9일 ~ 현직[헌법재판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11B2B><colcolor=#E6B366> 가족 아내(2009년 사별), 아들
본관 장흥 마씨
학력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 81 / 학사)
병역 육군 병장 만기전역
(1984년 5월 26일 ~ 1986년 11월 27일)
약력 제39회 사법시험 합격
제29기 사법연수원 수료
대구지방법원 판사
인천지방법원 판사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광주지방법원 부장판사
수원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북부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서부지방법원 부장판사
}}}}}}}}}

1. 개요2. 생애3. 헌법재판관 후보자4. 논란
4.1. 정치 성향 논란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법관 출신 헌법재판소 재판관.

2. 생애

1963년 9월 27일, 강원도 고성군 거진면[2]에서 5남 2녀 중 다섯째로 태어나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81학번)를 졸업했다.

1984년 5월 26일 육군에 입대하여 1986년 11월 27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했다.

1987년 결성된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의 창립 멤버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1997년 제39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2000년사법연수원제29기로 수료한 뒤 같은 해 대구지방법원 예비판사로서 처음 법복을 입었다.

2004년 인천지방법원 행정재판부 판사로 음주상태에서 승용차를 운전해 면허취소 사유에 해당할 경우 다른 운전면허도 취소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2007년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재판부 판사로 군사 통제 보호구역에서 산나물을 채취하다 지뢰를 밟아 중상을 입은 40대 여성에게 국가가 65% 책임비율로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마은혁 판사는 지뢰가 매설돼 민간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경우, 군부대장은 경계표지 등을 설치해 경고해야 하는데, 해당 사고 장소에서는 이런 표지를 발견할 수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노회찬 전 의원과 친분이 있다. 2009년 노회찬 전 의원이 재직 중이 아니었던 시절, 노회찬 마들연구소[3]의 도서 출판기념회에 30만 원의 후원금을 기부하여 논란이 있었다. 법관으로서 정치적 중립을 어긴 게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지만 마은혁 판사는 특정 정당을 지지한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맺어온 인연 차원에서 참석한 것이라고 해명했다.[4] 대법원에서도 징계할 사안은 아니라고 결론 내렸고, 구두 경고로 대신했다.

하지만 당시 미디어법과 관련해 민주노동당 당직자들이 국회 로텐더홀을 점거해 기소된 사안에서, 마은혁 판사가 민주당 인사는 기소하지 않고 민노당 인사들만 기소한 것은 공소권 남용이라는 이유로 공소기각 판결을 내렸다. 이로 인해 조중동 등 보수 언론과 한나라당 등 정치계에서는 부아가 돋아 있었고, 후원회 참석은 여기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되어버렸다. 때문에 마은혁 판사가 속한 우리법연구회도 강력하게 비판받아, 연구회 소속 판사들의 명단 공개를 요구받았다. 이후 해당 판결은 항소심에서 파기환송되었다.[5]

김지형 대법관이 설립한 노동법연구소 해밀에 여러 차례 참여했다.[6]

2019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처음으로 경력대등재판부가 신설되었는데, 마은혁 판사는 민사9부 대등재판부 부장판사로 전보되었다.

3. 헌법재판관 후보자

3.1. 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 중

취임 당시 언론으로부터 진보 성향으로 예측되었다.

4월 10일 선고한 두 사건의 심판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한덕수 ‘대통령몫 재판관 지명’ 가처분에서 주심재판관을 맡게 되었다. #
2025년도 결정에서 낸 의견

4. 논란

4.1. 정치 성향 논란

서울남부지법에서 판사로 근무하던 2009년 11월, 한·미 FTA에 반대하며 국회를 불법 점거한 민주노동당 당직자 12명에 대해 전원 공소기각 결정을 내렸다. 또한 2009년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 후원회에 참석하여 정치적 중립 위반 논란이 일었다. #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 헌법재판소 재판관 (국회 선출, 대통령 임명)
이영진
바른미래당 추천, 문재인 대통령 임명
마은혁
더불어민주당 추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임명
현직

[헌법재판관] 임기종료일은 2031년 4월 8일.[2]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3] 노회찬 전 의원이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노원구 병 지역구에서 낙선한 후 노원 지역 정치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4] 출판기념회 한 달 전에 부친상을 당했고, 그로부터 열흘 뒤 아내까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노회찬 전 의원이 두 번 모두 문상을 왔고, 그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출판기념회에 참석해서 30만 원을 후원했다고 헌법재판관 청문회에서 설명하였다. 이를 설명하면서 마은혁 후보자는 눈물을 애써 참으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5] 당시 우리법연구회 회장이던 문형배 부장판사가 학술단체로서 논문집을 펴낼 때 거기에 싣는 게 어떻겠냐는 제안을 했고, 그대로 되었다. 당시 수록된 명단에는 정계선 판사도 있었다.[6] 노동법연구소 해밀은 김지형 대법관을 소장으로 박시환, 전수안, 김선수 대법관이공현, 이미선 헌법재판관 등 최고법관 출신들도 참여해 노동법 전문가들이 많이 포진해 있다. 최근 법조계에서 화두인 노동법원 설치에도 여러 의견을 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노동법원 신설 입법을 공론화하면서 가정법원이나 회생법원처럼 전문법원으로 탄생할 수 있을지 법조계와 고용노동부는 물론 산업계 전반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7] 최종 변론기일 이후에 마은혁이 임명될 경우 선고 자체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는데, 4월 18일이 되면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명했던 두 재판관의 임기가 끝나 헌재가 7인 체제가 되기 때문에 아예 탄핵 심판이 끝나고 나서야 마은혁 건의 선고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8]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9] 헌법 및 헌재법상 근거가 없으므로 권한쟁의심판 대상이 될 수 없다.[10] 2024년 12월 31일 기준, 53,400원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