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2:36

아버지

부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아버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에 대한 내용은 아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계 혈족 관계 호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or:#373a3c"
<tablebgcolor=#ddd,#383b40>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 현조할아버지 | 현조할머니 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 재종고고모할머니 종고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 고조할머니 고고모할머니 내재종고조할아버지 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 증조당고모할머니 종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증고모할머니 내재종증조할아버지 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 삼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재종조할아버지 재종고모할머니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할아버지
(조부)
할머니
(조모)
}}}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내재종조할아버지 내재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내내삼종조할아버지 내내삼종고모할머니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아버지
(아빠, 부)
어머니
(엄마, )
}}} 고모 내당숙
(내종숙)
내당고모
(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재종형제 재종자매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사촌 형제{{{#!wiki style="margin:-10px -5px" 오빠
남동생 }}} <colbgcolor=#000033> 자매{{{#!wiki style="margin:-10px -5px" 언니 누나
여동생 }}} 고종사촌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내내재종형제 내내재종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내삼종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내종형제) (내종자매)
재종질 재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 아들 조카(생질) 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내내재종질 내내재종생질
삼종손 이삼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재종손 이재종손 종손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 이손 내재종손 내이재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내내삼종손 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 이재종증손 종증손 증손 외증손 이종증손 내종증손 내이종증손
재종현손 이재종현손 종현손 현손 외현손 이종현손 내재종현손 내이재종현손
종내손 내손 외내손 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 ||

모계 혈족 관계 호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or:#373a3c"
<tablebgcolor=#ddd,#383b40>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외종현조부 외현조부 | 외현조모 외현대고모
외재종고조부 외재종고대고모 외종고조부 외고조부 | 외고조모 외고대고모 외내재종고조부 외내재종고대고모
외재종증조부 외재종증대고모 외종증조부 외증조부 | 외증조모 외증대고모 외내재종증조부 외내재종증대고모
외삼종조부 외삼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재종조부 외재종대고모 외종조부 {{{#!wiki style="margin:-10px -10px" 외할아버지
(외조부)
외할머니
(외조모)
}}} 외대고모
(외존고모)
외내재종조부 외내재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내내삼종조부 외내내삼종대고모
외재당숙
(외재종숙)
외재당이모
(외재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당숙
(외종숙)
외당이모
(외종이모)
외숙 아버지 | 어머니
(엄마, )
이모 외내당숙
(외내종숙)
외내당이모
(외내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내내재당숙
(외내내재종숙)
외내내재당이모
(외내내재종이모)
외삼종형제자매 외이삼종형제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재종형제 외재종자매 외이재종형제 외이재종자매 외종사촌 <colbgcolor=#8c6879> 이종사촌 외내재종형제 외내재종자매 외내이재종형제 외내이재종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이삼종형제자매
(외종형제) (외종자매) (이종형제) (이종자매)
외재종질 외재종생질 외이재종질 외이재종생질 외종질 외종생질 이종질 이종생질 외내재종질 외내재종생질 외내이재종질 외내이재종생질
외재종손 외이재종손 외종손 외이종손 이종손 이이종손 외내재종손 외내이재종손
범례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 ||


1. 개요2. 특징3. 창작물4. 관련 어록5. 언어별 명칭

1. 개요

아버지 또는 부친()은 남성이 아이를 가졌을 때 아이가 보는 시각에서 그 남성이 가지는 호칭이다. 바꿔서 표현하면 부모 중 남성인 쪽을 일컫는 호칭이다

2. 특징

대개의 동물들에게는 아버지라는 개념이 없다. 이나 고릴라, 사자, 늑대 등 일부일처제 혹은 핵가족을 이루고 사는 일부 동물들을 제외하고는 '아버지'라는 존재, 소임을 인지하는 동물은 찾기 힘들다. 인간에서도 즉시에 인지 가능한 '어머니'의 존재가 역할과 의미에서 생물적이라면, '아버지'는 그 의미가 비교적 관습적이고 사회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진화론적으로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인간의 유아는 다른 종에 비해 대단히 약하고 그 유아를 보호해 줘야 하는 어머니도 외력에 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버지'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존재는 꼭 생물학적 아버지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 시대를 통틀어 가족의 구성원 중에 남성성을 가지고 여자와 어린 아이를 보호하는 가장의 존재와 겹친다. 다만 아버지라는 존재가 가장과 겹친 것은 부계 사회이기 때문이다. 가족을 지키고 부양하는 남성상은 모계사회에서는 외삼촌이 그 역할을 맡게 된다. 또한 대가족이 되면 그 가장의 역할은 집안의 가장 어른에게 집중되게 된다. 아버지의 의미가 가장으로서 중요해지는 것은 핵가족화와 연관이 깊다.

'아버지'라는 개념이 잡혀있는 종의 동물 사회에서는 아버지가 아내와 새끼들을 포함한 가족들을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방어하고 사방을 감시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가족에 침투한 적들이나 자신의 자식이 아닌 새끼를 처단해야 하기 때문에 비정한 특성을 가지기도 한다.[1] 또한 어머니가 교육을 불가피하게 못하는 상황이 될시 자신들이 교육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자연적인 동물 사회에서는 강력하고 똑똑하고 근엄하며 중요한 시기에 촐랑대지 않는 성격의 개체가 남편이자 아버지감으로 가장 선호받는다.[2]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 사회에서도 어머니가 한 가정의 안사람으로서 가족을 내조하고 안에서 운영한다면 아버지는 바깥사람으로서 외조하고 가족의 외부에서 경제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외부의 위험[3]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는 것이 전통적인 가부장하에서의 가족의 모습이었다. 그러한 면모는 전통적인 가족상이 많이 변화한 지금도 어머니와 아버지의 이미지에 대한 원형으로 남아있다. 다만,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는 가족 내에서는 소외되고 이해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 어머니는 대부분의 시간을 집안에서, 가족 구성원(주로 자녀들)과 보내게 되었다. 고된 노동의 시간이지만 공유하는 부분이 아버지를 제외한 가족들, 즉 자녀들과 대단히 많고 친밀감을 쌓기도 쉬웠다. 하지만 아버지의 주 활동 영역은 바깥사람답게 자신의 직장이었다. 즉 대부분의 경우 이윤을 내기 위한 조직인 기업에서 종사하게 되고 가족들과 공유하는 시간이 적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들과 이해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자신의 직장에서 행동하는 상명하달식의 사회관계나 직장 상사로서의 위치를 가족에게도 적용하려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크고 작은 갈등의 소지가 되었다. 혹은 직장에서 얻는 피로로 집안에서는 주로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경우는 특별히 아버지가 나쁘다기 보다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컸었다. 요즈음에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함께 여성의 사회 참여가 많아져 이런 부모상이 많이 변화했다.

예전에는 가부장제로 가정 안에서의 절대 권력자였다. 생각해보면 아버지는 돈을 벌어오는 사람임으로 원천적으로 가장 강력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 더해 예외적인 상황도 있겠지만 성인 남성임으로 아들이 사춘기를 지나기 전까지는[4] 아버지를 제외한 온 가족과 아버지의 물리적 충돌이 벌어져도 이기지 못하는 상황이 곧잘 발생한다. 이런 아버지의 권력은 제우스를 제외한 모든 신이 다 덤벼도 이길 수 없다던 제우스의 강력한 권위를 떠올리게 한다.[5] 하지만 지금은 그 권력의 구조가 많이 변화하였다. 주부의 노동에 대한 경제적 가치도 상당히 인정되었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함께 여성의 사회 참여가 많아지고 지식 기반의 사회로 이행해감에 따라 교육에서 폭력을 사용할 이유도 많이 약해졌기 때문. 오히려 요즘은 때려봤자 애 기만 죽인다고 대화로 해결하려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자식(들)이 유학갈 때 어머니도 같이 가서 아빠는 혼자 한국에 남아서 돈을 버는 형태인 기러기 아빠도 많아진 실정이고 그에 따른 문제가 있다.

면접의 자기소개서에 보면 보통 대한민국의 아버지는(주로 1960년대 출생자까지) 엄격하고 무섭다고 한다. 고등학교 자기 소개서에서는 항상 존경하는 남성에 랭크되어 있다. 보통 사유는 '가정을 위해 자신을 포기하시는 대한민국 대표가장'. 그리고 실제로 대부분이 아버지를 존경하는 이유에 이 희생정신이 들어있다.[6] 가끔 장래희망 란에서도 보인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출생자인 아버지는 자기 자녀들과 게임, 운동 같은 것들을 같이 하기도 하는 등 서열만 유지한 채 반쯤 친구가 되어주기도 한다.[7] 일부 가정에서는 아버지와 자녀가 놀다가 어머니한테 들켜서 부자가 나란히 꾸지람을 듣기도 하는데 짱구는 못말려에서는 이런게 은근히 흔하게 나온다. 아들이 있는 가정이면 둘이서 합심해서 사고를 치는 덕에, 아내에게서 N번째 아들이라는 멸칭 아닌 멸칭을 듣기도 한다.

대한민국 아버지들의 이미지 중 하나로, 식사예절이 안좋은 사람들을 먼저 욕부터 하거나 폭력을 휘두른다는 이야기가 있다. 주로 1990년대생의 아버지들까지 적용되는 모습인데, 대부분 음식을 상스럽게 먹거나 식사예절이 안좋은 자식들을 때리거나 혼내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도 대부분의 1990년대생 이전 출생자들의 경우 식사중 아버지에게 식사예절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와구와구 먹거나 쩝쩝거리는 식습관 또는 어른들 수저들기 전에 먹는 버릇 때문에 혼나는 경우가 많다.) 숟가락으로 세게 맞거나 크게 혼난적을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이들 아버지들이 대체로 1960년대~1970년대생으로서, 그간 자신들의 부모님이 전후 세대로서 못 먹고 살아서 음식을 아껴먹고 조심히 먹도록 형성한 습관을 60년대 이후로도 그대로 갖고 있던 것이고, 그것들을 자식들인 자신들이 물려받았기 때문이다.(예시로 아기공룡 둘리고길동이 있는데, 고길동의 경우 1960년대생 아버지에 해당하기 때문에 식사예절이 안좋은 둘리를 혼내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모습은 아버지의 고향이 강원도 등 척박한 시골 환경일 경우에 훨씬 두드러진다. 이 경우, 아예 아버지들조차 그러한 식사예절을가진 사람들을 혐오하거나 기피하는 경향이 심하다. 그러나 이후 이들이 성인이 되어 도시로 오고 자식을 낳으면서 자식들은 다른 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세대 자식들의 아버지들의 경우 쩝쩝거리는 식습관은 여전히 혼내지만[8] 체벌의 심각성과 굳이 혼내지 않아도 말을 하면 고쳐지기 때문에 이러한 식습관으로 혼내는 경우가 적어진 경우가 많다. 1990년대 이후 세대 자식들의 아버지 본인들도 혼내면서 식사예절을 강요하는 아버지들을 꼰대로 보는 경향이 있다. 시대 변화가 낳은 큰 세대 차이 중 하나인 셈.

조선시대 까지는 임산부 사망률 때문에 어머니는 없고 아버지가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산모사망률이 줄어든 이후로는 어머니보다 빨리 사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의학적으로 남성 호르몬의 영향이 가장 크다. 다만, 생물학적인 이유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아버지들은 여러 가지로 스트레스가 쌓여도 체면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잘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었던데다가 보통 푼다고 해도 건강에 좋지 못한 수단[9]으로 푸는 경우가 많았고, 일반적으로 성별과 생활의 특성상 자기 몸을 잘 안 챙기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러한 면을 전부 제외하더라도 생물학적 구조상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수명이 떨어지는 데다가 남성이 여성보다 연상인 상태에서 결혼하는 경우가 조금 더 많다. 또한 아버지들은 자신이 집안의 버팀목이라고 느끼기 때문에 절대로 약한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에 대부분 자신이 힘든 일은 절대로 가족에게 알리지 않고 혼자 끙끙 앓으며 해결하려 하다보니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어서 술이나 담배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각종 질병을 얻게 되는 경우가 잦았다. 여기서 주로 몸쓰는 일로 인해 사고사를 당해 일찍 요절하면 평균 수명이 낮아지고 사고는 아니더라도 광부과 인부 같은 경우에는 호흡기 질환 등으로 요절하고 이러한 상황이 계속 나타나고는 있지만 진보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점점 줄어들고 있다. 과거의 경우 50대에 사망하는 경우도 다소 보였으나 현재는 많이 줄어들었다.

트라이버튼설문에 따르면, 2016년 6월 26일 기준, 응답자의 62.4%가 아버지를 원망하느냐는 질문에 아니오라고 답변했다.

첫째 아이가 아버지를 많이 닮는다는 속설(기사)이 있는데 이 중 장녀(첫째 딸)가 꽤 많이 아버지를 닮는다는 설이 꽤 있다. 그런데 이걸 단순한 속설로 치부하기에는 신기하게도 그런 경우가 잦다. 기사. 그리고 그렇게 따지자면 장남(첫째 아들)은 반대로 어머니를 닮는 케이스가 많다.

3. 창작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버지/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어록

이세상의 부모마음 다같은 마음 아들딸이 잘되라고 행복하라고
마음으로 빌어주는 박영감인데 노랭이라 비웃으며 욕하지마라
나에게도 아직까지 청춘은 있다 (헤이)
원더풀 원더풀 아빠의 청춘 부라보 부라보 아빠의 인생
오기택 - 아빠의 청춘

There are no perfect fathers.
이 세상 어디에도 완벽한 아버지는 없습니다.
But a father will always love perfect.
하지만 아버지의 사랑은 언제나 완벽합니다.
태국의 한 보험 광고 문구 해당 영상.

Any man can be a father but it takes someone special to be a dad.[10]
아버지가 되는 일은 쉬워도 아빠가 되는 일은 어렵다.
미국 격언

안 아파
못 아파
하상욱 시 아빠 중

4살 때, 아빠는 뭐든지 할 수 있었다.
5살 때, 아빠는 많은 걸 알고 계셨다.
6살 때, 아빠는 다른 애들의 아빠보다 똑똑하셨다.
8살 때, 아빠가 모든 걸 정확히 아는 건 아니었다.
10살 때, 아빠가 어렸을 때는 지금과 확실히 많은 게 달랐다.
12살 때, 아빠가 그것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건 당연한 일이다. 아빠는 어린 시절을 기억하기엔 너무 늙으셨다.
14살 때, 아빠에겐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아빤 너무 구식이거든!
21살 때, 우리 아빠 말이야? 구제불능일 정도로 시대에 뒤쳐졌지.
25살 때, 아빠는 그것에 대해 의외로 좀 알고 계시고 생각지도 못한 관점에서 방법을 내놓으신다. 뭐, 사실 그것도 못하신다면 말도 안 되는 거겠지만.
30살 때, 아마도 아버지의 의견을 물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아버진 경험이 많으시니까.
35살 때, 아버지께 여쭙기 전에는 난 아무것도 하지 않게 되었다.
40살 때, 아버지라면 이럴 때 어떻게 하셨을까 하는 생각을 종종 한다. 아버진 그만큼 현명하고 세상 경험이 많으시다.
50살 때, 아버지가 지금 내 곁에 계셔서 이 모든 걸 말씀드릴 수 있다면 난 무슨 일이든 할 것이다. 아버지가 얼마나 훌륭한 분이셨는가를 미처 알지 못했던 게 후회스럽다. 아버지로부터 더 많은 걸 배울 수도 있었는데 난 그렇게 하지 못했다.
앤 랜더스[11], <나의 아버지는 내가>

어릴 적 내가 보았던 아버지의 뒷모습은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산이었습니다.
지금 제 앞에 계신 아버지의 뒷모습은
어느새 야트막한 둔덕이 되었습니다.
부디 사랑한다는 말을 과거형으로 하지 마십시오...
인순이 <아버지>

아버지의 마음은 먹칠한 유리로 되어있다. 그래서 잘 깨지기도 하지만 속은 보이지 않는다.
아버지란 울 장소가 없기에 슬픈 사람이다.
아버지란 돌아가신 뒤에도 두고두고 그 말씀이 생각나는 사람이다.
아버지는 결코 무관심한 사람이 아니다. 아버지가 무관심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체면과 자존심과 미안함 같은 것이 어우러져서 그 마음을 쉽게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버지의 웃음은 어머니의 웃음의 2배쯤 농도가 진하다. 물론 눈물은 10배쯤 될 것이다.
아버지! 뒷동산의 바위 같은 이름이다. 시골 마을의 느티나무 같은 크나 큰 이름이다.

아버지의 일상은 아들의 신화가 되는 거야.
후치 네드발, 드래곤 라자

일은 대신할 수 있어도, 아버지는 대신할 수 없으니까!
노하라 히로시,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

어릴 적 우리 집엔 슈퍼맨이 살았다. 그는,
세상 고칠 수 없는 물건이란 없는 맥가이버였고,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나타나 모든 걸 해결해주는 짱가였으며,
약한 모습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히어로 중의 히어로였다.
하지만 철부지를 벗어난 뒤에야 알게 되었다. 다만 들키지 않았을 뿐 슈퍼맨도 사람이었다는 것을.
얼마나 많은 더럽고 치사하고 아니꼽고 슬프고 무섭고 힘겨운 세상들이 아빠를 스쳐갔는지를.
그리고 이제 간신히 깨닫는다.
더럽고 치사하고 아니꼽고 슬프고 무섭고 힘겨워도 꿋꿋이 버텨낸 이유는,
지켜야 할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었음을,
가족이 있었고 내가 있었기 때문이었음을,
다른 누구도 아닌 아빠의 이름으로 살아야 했기 때문이었음을.
응답하라 1988성보라의 나레이션

사랑한다, 짐. 넌 내 아들이고, 널 항상 사랑할 거란다.
그리고 이 말을 덧붙이고 싶구나. '널 항상 자랑스러워 할 거야.' 하지만 솔직히 더 이상 그 말은 할 수가 없단다.
넌 어두운 길을 걷고 있다, 짐. 네가 갈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고, 존중할 수 없는 길이지.
우린 널 사랑한단다, 하지만 네 돈은 받을 수 없다. 그건 피묻은 돈이야, 아들아, 넌 그렇게 자라지 않았어.
네게 했던 말 기억하니, 아들아?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대로 되어가는 법이다.
태생이 어떻든, 환경이 어떻든, 사람을 만드는 건 그의 선택이다.
비록 지금, 용납할 수 없는 어두운 길을 걷는 것을 선택했지만 사람은 단 한 번의 생각, 단 한 번의 결정으로 그의 인생을 뒤바꿀 수 있다.
넌 항상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잊지 말거라.
스타크래프트의 등장인물인 짐 레이너의 아버지, 트레이스 레이너가 아들에게 남긴 영상 편지. 사실상의 유언이다.

내가 낳았구나
쌍취헌 권철(1503~1578)[12]


이야, 슈퍼히어로들에게 아버지의 날은 정말 뭣같겠어.
솔직한 예고편

내 아들 휘재야 사랑한다.
어릴 때 목욕 한번 데려가지 못해 미안하다.
내가 성치 못해서 미안하다.
연예인 이휘재의 아버지께서 쓴 편지.

너무 앞만 보며 살아오셨네.
어느새 자식들 머리커서 말도 안 듣네.
한평생 자식 밥그릇에 청춘 걸고,
새끼들 사진 보며 한푼이라도 더 벌고,

눈물 먹고 목숨 걸고 힘들어도 털고 일어나.
이러다 쓰러지면 어쩌나.
아빠는 슈퍼맨이야 얘들아 걱정 마.

에서 짓눌러도 티낼 수도 없고,
아래에서 치고 올라와도 피할 수 없네.
무섭네 세상 도망가고 싶네.
젠장 그래도 참고 있네 맨날.
아무것도 모른체 내 품에서 뒹굴거리는
새끼들의 장난 때문에 나는 산다 힘들어도 간다.
여보 얘들아 아빠 출근한다.
싸이 <아버지> 1절

아버지 이제야 깨달아요
어찌 그렇게 사셨나요
더 이상 쓸쓸해 하지 마요
이젠 나와 같이 가요
싸이 <아버지> 후렴구

아들아, 네가 태어나던 날 온 로데론이 네 이름을 속삭였단다….… "아서스."
내 아들아, 정의의 수호자로 자란 네가 얼마나 자랑스러웠는지 아느냐?
명심하거라, 우리 가문은 늘 힘과 지혜로 왕국을 다스렸음을.
또한 네가 그 강한 힘을 신중하게 사용하리라 믿고 있음을..
하지만 아들아, 진정한 승리란 백성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란다.
기억하거라, 나의 시대가 끝나는 그날 너는.... 왕이 되리니.
테레나스 메네실이 아들 아서스 메네실에게[13]

아버지라는 것들은 말이야...
외롭다거나 힘들다는 말 같은 거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되고 할 필요도 없거든
덴마 첫 에피소드 <파마나의 개>에서

내가 어렸을 때, 그는 가끔 늦은 저녁에 전화를 걸고는 내게 이런 말을 하곤 했다.

"00아 뭐 먹고 싶어? 치킨 사갈까?"

한껏 톤이 올라간 그의 목소리에서 치킨이란 단어가 들려 올 때면
한껏 신난 나는 이번에도 어김없이 양념치킨을 외치고는 전화를 끊었다.
그렇게 1시간가량이 지나고 누군가 계단을 오르는 소리가 없어질 무렵 익숙한 그의 목소리가 들렸다.

"치킨 사왔다 얘들아."

술 냄새가 진하게 풍기던 그는 얼굴이 뻘개진 채로 우리 형제에게 자랑스럽게 치킨을 건넸고
그럴 때면 우리는 허겁지겁 포장을 뜯고, 치킨을 뜯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속으로 이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가 오늘처럼 기분이 좋아서 치킨 상자를 매일 들고 오기를.

그런데, 시간이 한참 흘러 흘러서
나도 그처럼 직장인이 되고 두 아이의 아빠가 되니까

"얘들아 치킨 먹을래??"

이제는 그의 마음을 조금 알 것 같다.
그때, 아버지가 술에 취한 채 치킨 상자를 들고 온 이유는 그날 기분이 좋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날 유독 고되고 힘들었기 때문이었음을.

아무것도 모른 채, 자신의 작은 선물에 뛸 듯이 기뻐하는 자식들의 모습을 보며,
지친 마음을 조금이나마 위로 받고 싶었기 때문이었음을.
『아경티잼』

We’re still fighting it, we’re still fighting it
우리는 아직도 싸우고 있다는 것을, 여전히 싸우고 있지
And you’re so much like me
넌 나를 많이 닮았구나
I’m sorry
미안하구나
Ben Folds, Still fighting it 가사 중

전 부모님이 없어서 잘 모르지만 야가미 씨
훌륭한 아버지라는 것은 알 것 같습니다.[14]
데스노트 라스트네임 -L Lawliet-

You know? This dad easy being dad.
그거 아니? 아버지가 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란다.
미이라 2 - 릭 오코넬[15]

만약 당신이 제 아버지였다면 저를 주운 사람이 만약 당신이었다면...

그것은 허무한 환상. 그란 마리아가 죽을 때 본 환상. 유키나를 진짜 여동생으로 그저 혼자 흔들리지 않고 뒤틀리지 않으며 믿을 수 있는 절대적인 아버지에 대해서.

걸을 수 있었다면 그것은 얼마나 행복했을까요.
이상적인 딸이면 세계 최강이어도 예뻐해 주시나요?에서 만약 토마가 자신의 아버지였다면 올바르게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 그란 마리아의 독백.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네가 행복했으면 좋겠어. 네가 웃으며 살았으면 좋겠어. 그러기 위해서라면 아무것도 필요없다. 너의 행복이야말로 나의 행복이다.
이상적인 딸이면 세계 최강이어도 예뻐해 주시나요? - 시로가네 토마[16]
유키나가 이유식을 먹어주지 않는다. ······맛의 문제인가? 시급히 검토할 것.

전투훈련 중, 유키나가 무릎이 긁혔다. 즉시 치유술식을 사용해 회복시켰지만 실수다. ······가능성은 0에 가까운데 감염증이라도 일으키면 어떡하지? 불안해.

유키나에게 친구를 만들어 주고 싶다. 하지만... 곤란하다. 같은 또래 아이를 찾을 수 없다. 선배도 카츄아도 미혼이고, 그 외의 인간관계는 거의 없다. 내가 보기에도 너무하다. 사회성 결여에 고민된다.

······유키나가,

유키나는

유키나를.....

딸 때문에 애를 태우고 일희일비하며 실패에 고민하고 실수를 두려워한다. 그런 당연한 서투른 모습. 절대무적의 존재, 최강의 우상 뒤편에 있는 것은 그저 흔한 아바지상. 갑자기 아이를 가지고 어쩔 수 없이 난감해진 남자의 모습이었다.
이상적인 딸이면 세계 최강이어도 예뻐해 주시나요?에서 아버지인 토마가 14년간 딸인 자신을 키우는 추억을 본 유키나의 감상.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아버지, 아빠, 아비, 아부지(경기, 경상, 전라, 충청), 아방(제주),
아바이(이북), 부친(父親, 한자어)
한자 (), 父(부친), 父(가친)
그리스어 πατήρ(patḗr, 파테르), πάτερας(pateras), μπαμπά(baba, 바바)
네덜란드어 vader, papa(파파)(유아어)
러시아어 отец(otets), папа(fafa, 파파)(아빠), ба́тя(바땨), Папка, Папочка
몽골어 аав(아우), эцэг
스와힐리어 baba(바바)
스페인어 padre
아랍어 أبو(abu, 아부)
에트루리아어 𐌀𐌐𐌀(apa, 아파)
영어 father(파더)(아버지), dad(대드)[17](아빠), daddy(대디)(유아어), papa(파파)(유아어)[18]
fæder(고대 영어)
fader(중세 영어)
이탈리아어 padre, babbo(유아어), papà(파파)(유아어)
일본어 [ruby(お父さん, ruby=お-とう-さん)],[19] [ruby(父さん, ruby=とう-さん)], [ruby(父, ruby=ちち)](치치),[20][21] [ruby(親父, ruby=おや-じ)](오야지),[22] [ruby(父親, ruby=ちちおや)], [ruby(男親, ruby=おとこおや)][23], パパ(파파)(유아어)[24]
조지아어 მამა(mama, 마마)
중국어 爸爸(bàba), 父亲(fùqīn),[25] 爹(diē), 爹爹(diēdie)(장시성, 안후이성),
伯伯(bāibai)(후난성, 장쑤성), 阿爸(ābà), 阿爹(ādiē),[26] 爹哋(diēdi),[27] 阿父(āfù)(방언)
튀르키예어 baba(바바), peder
페니키아어 𐤀𐤁(아브)
프랑스어 père, papa(파파)
히브리어 אב(아브), אבא(압바, 아바)[28]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5f5f5,#2d2f34> 고대 아일랜드어 athir
게르만조어 *fader
고트어 fadar
독일어 Vater, Vati(유아어)
라틴어 pater, părens, sător, procreátor, génĭtor
마인어 ayah, bapa
반달어 fader
산스크리트어 pitṛ́, piter
세르보크로아트어 otac
소말리어 aabbe(아베)
아르메니아어 hayr
아베스타어 brātar-, pta, ta
알바니아어 atë
에스페란토 patro
엘람어 atta, adda
인도유럽조어 *pH₂tér
토하라어 pācar(토하라어 A: 카라샤르 방언)
pācer(토하라어 B: 쿠처 방언)
페르시아어 pedar
pita(고대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papai, pai }}}}}}}}}
아버지는 기본어휘로, 대부분의 언어에서 어머니 발음이 들어가는 말로 부른다면, 아버지는 , , 발음이 들어가는 말로 부른다. 모두 양순음이자 파열음. 양순 비음인 ㅁ 다음으로 가장 발음하기 쉬운 음이고, 이 발음이 없는 언어는 거의 없다. 가끔 몇몇 언어에서는 양순 파열음 대신 치경 파열음을 사용하는데, 한국어의 , , 발음과 유사한 발음들이다. 치경음 역시 조음이 쉬운 편이며, 치경 파열음이 없는 언어도 거의 없다.

순우리말로는 아버지라고 하는데 이는 '아버' + '지'이다. '지'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한국어 존칭접미사로, 현대 한국어 '님'에 상응하는 지위를 가져 막리지, 건길지 같은 높은 자리에 쓰였는데 현대 한국어에서는 '지', '자'[29]로 남아서 주인을 뜻하는 임자와 함께 옛날의 위상을 아직도 갖고 있는 단어이다. 소벌도리이응태 묘 출토 편지의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한자어를 더 격식 있게 여기며 '돌이'와 '자네'의 위상이 낮아졌듯이, '지'도 현대 한국어에서는 거지나 양아치 같은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잘 해 봐야 어떤 사람이라는 뜻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덜란드어로는 Vader인데 그 유명한 다스 베이더(Darth Vader)가 여기서 따왔다는 설이 있다. 왜 하필 아버지란 단어에서 따왔는지 자세한 건 문서 참고.

특이하게도 조지아어로는 아빠가 მამა(mama)이다. 반대로 어머니는 დედა(deda).

히브리어로는 אב인데, 이 단어의 어원에 대하여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일단 이는 히브리어로 알레프(א) + 벧(ב)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알레프(더불어 알파, 에이 등)은 원래 소를 형상하는 글자였다. 그리고 벧(더불어 베타, 비 등)은 본디 집을 뜻하는 글자였다. 이는 벧엘-신의 집이라는 단어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소는 전통적으로 '힘'을 뜻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אב는 '한 집의 힘'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단어와 연관이 있는 유명한 이름이 '아브라함'으로, 이는 '만민의 아버지'라는 뜻이다. 실제로 구약성서의 아브라함은 많은 민족의 시조가 되었다.


[1] 이 때문에 이런 핵가족 동물 사회에서 수컷이 다른 수컷을 이기고 그 아내를 쟁취하게 되면 아내와 아내의 전남편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들을 전부 죽이는 일을 종종 벌이기도 한다.[2] 참고로 동물 사회에서도 폭력적인 아버지와 위엄있는 아버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진중하고 엄하게 제대로 교육을 시키는 개체는 대체로 늙어서까지 존중받는 반면 아무 이유없이 가족이나 친척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개체는 힘이 약해지거나 시기가 안 좋을시 무리 내 왕따가 되어 자식에게도 버림받고 추방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3] 경제적인 것이든 물리적인 것이든 상관없이.[4] 만약 그 아버지가 몸을 쓰는 직업을 가졌다면 아들이 성인이어도 못 이길 수가 있다. 일례로 차범근-차두리 부자의 경우 아들 차두리 역시 국가대표로 활약할 정도로 엄청난 운동선수임에도, 아직까지 아버지 차범근을 힘으로 이겨본 적이 없다고 할 정도다.[5] 신화에서 언급되는 제우스의 힘과 최고의 신으로서 가지는 권능은 바로 가정 내 아버지와 고대 그리스의 최고권력가의 권력을 상징하는 것이다.[6] 실제로 최근의 20대 남성들이 결혼에 대해서 회의적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어렸을 때부터 봐온 아버지의 희생정신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라는 통계도 있다. 일과 가정에만 충실한 채 취미를 포함한 자신만의 시간을 거의 대부분 포기하고 뼈빠지게 돈을 버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자라왔기에 자신도 자신의 사생활을 포기한 채 아버지의 역할을 해야된다는 사실에 대한 부담감이 결혼에 대한 회의로 이어지는 것이다.[7] 특히 스타크래프트의 경우 스타크래프트를 어릴 적에 즐겨온 세대들이 아버지가 되면서 자기 자식과 함께 스타크래프트를 같이 즐기는 경우도 있다.[8] 쩝쩝거리는 것은 전세계적으로도 기피되는 식습관이다.[9] 당연히 흡연이나 음주가 대표적.[10] 직역하자면 남자는 누구나 아버지가 될 수 있지만, 정말 특별한 자만이 아빠가 될 수 있다. Dad는 아버지의 애칭, 즉 아빠이다. 낳는 건 성기능과 상대 여성만 있다면 누구라도 할 수 있지만 가족간의 사랑을 주고 받으며 진정한 의미로 가족이 되어주는건 아무나 하지 못 한다는 뜻.[11] 신문지면에서 활동한 미국의 유명 칼럼니스트로 동명의 고정 지면에 수만 편의 고민상담 칼럼을 게재했다. 그의 쌍둥이 자매도 '디어 애비'라는 고민상담 칼럼을 연재한 것으로 유명하다.[12] 임진왜란 때의 명장 권율의 아버지. 죽기 직전 나이 40이 넘도록 한량으로만 살던 아들 권율을 빤히 바라보다가 이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13] 결국 테레나스 메네실서리한을 얻은 아들놈한테 살해당하는 비극을 겪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치왕이 된 아들놈수많은 용사들에 의해 처치 당하여 죽는 순간에 이제 끝난 거냐고 묻는 아서스에게 그렇단다, 아들아, 영원한 왕은 없는 법이지... 하면서 죽은 아들의 눈을 감겨준다. 진정한 대인배.[14] 데스노트 영화판에서, L이 죽음을 맞이하기 전, 야가미 소이치로에게 남긴 말이다.[15] 여기에서 나온 아버지에 대한 미국 격언을 비틀어서 아들에게 한 말이다. 릭 오코넬은 "아들에게 아버지 노릇을 제대로 해야 아버지가 된다" 라는 걸 자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아들에게 말을 해준 것이 대단한 이유는, 릭 오코넬은 고아원 출신이라 부모가 없이 혼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아들은 "그래도 아빠는 잘하고 있어요" 라고 격려해준다.[16] 딸인 유키나가 폭주해 베놈스덤이 되어서 세상에 폐를 끼쳤는데도 어째서 자신을 위해서 이러냐는 물음에 아버지인 토마가 딸인 유키나에게 말한 대답.[17] 공교롭게도 죽음을 뜻하는 dead(드)와 스펠링, 발음이 거의 동일하다. 영화 조커에서 작중 주인공이 이 점을 이용한 농담을 하기도 한다.[18] 미국에서는 구어, 영국에서는 고어.[19] 자신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나, 남의 아버지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호칭. 배우자의 아버지(장인어른, 시아버지)에게 사용하기도 한다.[20] 남에게 자신의 아버지를 지칭할 때 쓰는 표현. 한국어의 '부친'과 비슷하지만 한국어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 비해 영어에서 교사(teacher)와 선생님(mr.~)을 철저히 구분하듯이 일상생활에서 철저히 구분한다.[21] 파생어로 父親(ちち-おや), 父上(ちち-うえ) 등이 있다. 참고로 父上는 귀족이나 왕족 등 신분이 높은 집안의 자제들이 자신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 사용한 호칭이기도 하다. 더 격식을 차리면 父御(ててご 내지는 ちちご)라고도 하는데, ててご가 쫌 더 옛날 표기에 더 가깝다. 한국어의 춘부장과 가장 유사한 단어이지만 너무 옛스러워서인지 문어로도 잘 안 쓰이며 시대극 정도에서만 나올 뿐, 현대 일본어에서는 사실상 사멸했다.[22] 주로 남성들이 격식을 차리지 않는 자리에서 자신의 아버지를 지칭할 때 많이 사용하는 호칭. 영어로 치면 Old man과 같은데, 둘다 원래 뜻은 영감님, 노인네 등이지만 동시에 허물없는 부자지간에서 아들이 아버지에게 쓰는 호칭이다. 한국어에서는 대응되는 단어가 마땅히 없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지 않은 부분. 부자 사이가 정말 친하면 "아이고, 영감님..." 이런 식으로 장난스레 몇번 쓸 수 있긴 하지만 일상적으로 쓰기는 무리다.[23] 표기에 이끌려 남자친구오역하기도 한다. 이는 女親도 동일하다.[24] 성인들도 격식 없는 자리에서 부담 없이 사용하는 한국어의 아빠와는 달리, 일본어의 '파파'는 어린 아이들이나 쓰는 표현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보니 중학생 이상부터는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아빠라는 의미 이외에도 불륜 남성 또는 원조교제 중년남을 가리키는 의미가 있으니 단어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25] 남 앞에서 또는 공적인 자리나 글에서 자기 아버지를 언급할 때 쓰는 말. 현대 한국어 문어의 '부친', 구어의 '아버지'와 일맥상통한다고 보면 된다.[26] 이 넷은 중국 남동부 구어에서 잘 쓰이는 말이다.[27] 홍콩에서 잘 쓰이는 말. 영어 Daddy의 음차이다.[28] 그리스어로 옮기면 αββα.[29] 조선 선조 때 광주천자문에 왕(王)의 을 '긔ᄌᆞ'로 적었다. 기자조선 문서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