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39f> | }}} |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 | 3 | 5-1 | 6 | 7 | 8 |
9 | 10 | 11 | 15 | 16 | 17 | |
20 | 22 | 23 | 24 | 26 | 27 | |
29 | 30 | 31 | 33 | 33-1 | 36[A] | |
37[A] | 38[A] | 39 | 40 | 41 | 42 | |
43 | 44 | 46 | 49 | 50[A] | 51 | |
52 | 54 | 55[A] | 55-1[C] | 55-2 | 57 | |
58[A] | 58-2 | 59 | 61 | 62 | 63 | |
67 | 68 | 70 | 71 | 73[B] | 77 | |
80 | 81 | 82 | 83 | 83-1[A] | 85 | |
86 | 87 | 88 | 88-1 | 90 | 96 | |
96-1[A] | 99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00 | 100-1 | 101 | 103 | 105 | 106 |
107 | 108 | | 110 | 110-1 | 111 | |
111-1 | 113 | 115[A] | 115-1 | 121 | 122[B] | |
123 | 124[A] | 126 | 127 | 128-1 | 129-1 | |
131 | 133 | 134 | 138 | 138-1 | 139 | |
141 | 144 | 148 | 148-1 | 155 | 160 | |
161 | 167 | 168 | 169 | 169-1 | 171 | |
| 179 | 180[A] | 181 | 182[A] | 183[A] | |
184[A] | 185[A] | 186[A] | 187[A] | 188[A] | 189 | |
189-1 | 190 | 200 | 210 | 300[A] | 301[A] | |
302[A] | 307[A] | 338 | 506 | 508 | 520[B] | |
583[A]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1. 개요
동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9.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번 | |||||
| |||||
기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다대포) | 종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부산역)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55 |
막차 | 22:15 | 막차 | 23:10 | ||
평일배차 | 출퇴근 7분 / 평시 1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0분 / 일요일 11분 | ||
운수사명 | 동원여객 | 인가대수 | 18대[공휴일] | ||
노선 | 다대포 - 몰운대아파트 - 다대포해수욕장 - (→ 다대포항역·다대수협 →/← 다대포항역 ← 다대1동주민센터 ←) - 낫개역 - 신장림역 - 장림초등학교 - 장림시장 - 신평2동교차로 - 신평역 - 하남초등학교 - 가락타운2.3단지 - 동아대입구 - 하단교차로 - 사하구청.당리역 - 사하역 - 괴정자유아파트 - 대티역 - 대티고개 - 삼육부산병원 - 부경고교 - 동신초등학교입구/서여고 - 부산터널 - 부산역 |
3. 역사
1965년의 모습. |
- 부산 시내버스 중 가장 첫 번째 번호였던 구 1번이[2] 폐선되면서 2번이 제일 앞 번호였다. 하지만 2016년 11월 29일의 개편으로 민락동 - 부암역 간 1번이 개통되면서 다시 가장 첫 번째 번호 타이틀을 1번에 내어주게 되었다. 하지만 2021년 1월 16일의 개편으로 1번이 폐선되면서 다시 가장 첫 번째 번호 타이틀이 2번으로 돌아왔다.
- 노선의 변경이 잦았던 노선이다. 1965년에 온천장~충무동[3] 노선으로 개통되어 운행했으며[4] 1973년 이전에는 연산로타리 - 서면 - 교통부 - 부산역 - 시청 - 운동장간을 운행했으며 1973년 2월 22일에 연산로타리 - 서면 - 교통부 - 부산역 - 영주터널 - 운동장 간 노선으로 조정되었다.
- 1980년대 운영회사와 노선이 변경되었는데 대창운수[5] 출신 노선이며 노선은 에덴공원 - 괴정 - 대티터널 - 부산터널 - 부산역 - 교통부 - 서면 - 양정 - 영남유지[6] - 연산로타리 - 사직동을 운행한 노선이었다.
- 1992년 6월 30일, 가락타운 입주로 인하여 기존 에덴공원에서 연장된 동산유지 - 가락타운1단지 - 가락타운2,3단지까지 연장되었으며 1994년에 지금의 동원여객이 맡으면서 서면으로 단축되고 신평역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1998년 기존 신평역에서 다대포까지 연장되었고 2000년에 자유.평화시장으로 단축되었다.[7]
- 2007년 5월 대개편을 기점으로 인가대수가 26대였다가 두달 뒤 준저상버스가[8] 증차분으로 투입되면서 인가대수도 27대가 되었다.
- 2008년 7월 2일, 338번 몰운대 롯데캐슬 연장 및 증차 건으로 동원여객, 동진여객 노선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338번으로 넘겼다. 이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넘어갔다.
- 2014년 7월 26일, 증차요구가 늘어난 338번 인가대수를 증차하기 위해 동원여객, 동진여객 노선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338번으로 넘겼다. 이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넘어갔다.
- 2015년 8월 22일, 태영버스가 58-2번 노선변경 및 증차 건으로 338번에서 철수하게 되어 4대의 공백을 동원여객, 동진여객에서 각각 2대씩 투입하여 메웠다. 이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 인가대수가 2대 감차되어 넘어갔다.
- 2015년 12월 27일, 회차지점이 진시장에서 부산역으로 단축되었다.
- 2017년 4월 22일, 동남여객 338번 철수로 인한 공백 분담해결 및 96-1번 참여 문제로 이 노선 인가대수가 4대 감차되었다. 338번에 3대, 96-1번에 1대가 넘어갔다.
- 2017년 11월 4일, 증차요구가 여전한 338번 인가대수를 증차하기 위해 동원여객, 동진여객 노선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338번으로 넘겼다. 이 때 동원여객에서는 이 노선에서 1대가 넘어갔다.
4. 특징
- 동원여객이 81번을 인수하기 전까지만해도 동원여객의 간판/주력노선이었다. 2007년 5월 15일 기준으로 27대로 자사노선들 중에서 운행대수가 가장 많았다. 게다가 338번이 계속 수요가 증가하고 2017년 4월 22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으로 현재에 이르게 된다.
- 전체 노선의 약 75% 가량이 사하구에 속해 있고 나머지 25% 중 20%인 대티고개랑 동대신동 구간은 서구 소속이며 중구 영주동 정류장과 동구 부산역 정류장이 5%를 차지한다. 구평, 감천만 뺀 사하구 거의 전 지역을 다 간다고 보면 된다. 다대포 착발 노선 대부분이 그렇듯이 굉장한 수요를 보여준다. 게다가 굴곡이 좀 많은 노선이다. 하단교차로에서 신평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동아대학교, 가락타운 1.2단지가 있는 하신번영로로 다니기 때문에[9] 타 노선보다 더 굉장한 수요를 자랑하며, 동아대학교와 낙동대로를 거쳐 시내로 나가기 때문에 통학수요도 상당하다. 11번과 마찬가지로 장림시장을 거쳐 신평역까지가 가장 혼잡하며 96번, 113번과 함께 대티터널로 바로 가지 않고 대티고개로 우회하는 노선이라서 이 구간의 고정수요도 상당하다.
- 1000번, 1001번과 마찬가지로 남포동을 경유하지 않고 구덕운동장을 거쳐 바로 부산터널을 경유하여 부산역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긴 하지만 이 곳이 상습 정체구간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는 좀 돌아가더라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타거나 40번, 81번을 이용하는게 훨씬 낫다.[10] 어차피 2번은 부산역에서 노선이 끊기기 때문에 부산역이 최종 목적지가 아니라면 구덕운동장에서는 67번을 이용해야 한다.
- 신평역 이전 구간에서 부산역으로 가려는 사람들도 이 노선이 신평역에서 하단오거리로 바로 가지 않고 하신번영로를 경유하여 가락타운과 동아대승학캠퍼스를 거쳐 가기 때문에(대략 5~10분가량 더 걸린다.) 그냥 1호선을 타는게 낫다.
- 확실히 이 노선은 다른 시내버스들처럼 서면까지 가지 못하고 범일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린 특성상 부산역 - 부산진시장 구간 수요는 극히 적었다. 다만 다대포랑 사하구에서 부산터널을 경유하여 부산진시장으로 바로 이어주는 입석버스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11] 반대로 말하면 자유.평화시장과 진시장에서 대티고개와 사하구,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로 바로 이어주는 입석버스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자유시장·자성대·부산진시장에서 이용했던 수요 또한 적지 않았기에 단축 이후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5만원 정도가 감소되었다. 자유시장까지 운행했을때도 당장 단축해야할 정도로 심각한 장거리 노선이 아니었다. 대티고개와 보수대로[12] 연선 구간에서 부산진시장과 범일역으로 가려는 수요도 제법 많았었다. 단축 직후에는 자성대, 진시장, 부산진역에서 2번이 왜 안오냐고 묻는 시민들이 적지 않았다. 아무래도 부산역 - 자유시장이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단축했을 가능성이 있다. 구간 수요가 많지 않은 구간이 잘린데다 잘린 구간은 전통적으로 도시철도와 급행버스의 영향이 강하다. 그래서인지 이 노선의 단축에 대한 항의가 거의 없었다.[13] 46번도 그렇다.
- 부산역으로 단축된 이후 배차간격이 1~2분 가량 줄었으며 1000번의 서구~부산역 구간, 1001번의 하프코스구간[14]을 담당하는 수준으로 운행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동아대~부산역까지 1001번의 저가형으로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선이 꽤 오랫동안 운행되어 인지도가 높고 단독구간(가락타운104,115동)[15]도 있어 여전히 많은 승객이 이용한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장으로 이 노선도 수요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지만 장림시장, 가락타운, 대티고개, 보수대로, 부산터널 등 은근히 도시철도 노선을 피해 우회하는 노선이라 더 이상의 단축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16] 실제로 2017년 4월 22일 노선 개편 때에도 아무런 조정 없이 인가대수 감차만 이루어졌으며 4대가 감차되어 19대로 운행한다. 부산역 단축 이후 1~2분 가량 줄었던 배차간격이 4대 감차로 1~2분 가량 다시 늘어났다. 감차된 차량은 338번에 3대, 96-1번에 1대가 넘어갔다. 게다가 2017년 11월 4일에는 338번 인가대수 증차분으로 1대가 넘어갔다. 2008년 7월 1일까지 인가대수가 27대였던 이 노선은 2017년 11월 4일부로 인가대수가 18대로 설정되면서 9년동안 무려 9대가 감차되었다.
- 노선이 단축되고 인가대수가 감차되는 수모를 겪었음에도 대당 운송수입금은 대체로 60만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장 이후 약 58~59만원대까지 하락했다. 그래도 다대포 노선들 중에선 도시철도 연장 이후의 수요 감소폭이 338번과 함께 적은 노선이다. 향후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동아대역이 완전히 개통되면 수요에 조금 타격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노선은 큰 문제 없이 현행대로 유지 가능할것으로 전망된다. 아니면 수요 확보겸 다시 진시장으로 재연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나오고 있는 중이다.
- 2016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수가 15,980명이었으나, 2017년 기준 13,074명으로 이용객 수가 2,900명 이상 감소하였다.[17]
- 부산역에서 노선이 끊기는 특성상 구덕운동장 이후 구간부터는 한산한 편이며[18] 주로 부산역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려는 이용객들이 간간히 탑승하는 편이다. 반대로 부산역에서 회차하여 돌아나가면 부산역 정류장에서부터 좌석이 다 차서 입석까지 발생하기도 한다.[19]
- 반대로 흑교사거리 이북 구간[20]에서는 유일하게 동아대학교/승학캠퍼스를 연계하는 노선이기 때문에[21] 동아대 통학생들의 고정수요가 상당히 많다. 또한 대티고개에서도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를 잇는 유일한 노선[22]인지라 수요가 매우 많다. 여러모로 이들 지역에서는 절대 없어서는 안 될 노선.
- 대티고개를 경유하는 노선들 중 유일하게 부산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때문에 진시장에서 부산역 단축 안건이 나왔을 시절에 대티고개 연선 승객들의 반발이 심했었다. 현재는 대티고개에서 진시장으로 가려면 얄짤없이 환승해서 가야만 한다(..)
- 피아노(SBS)에 이 노선의 버스가 출연한 적이 있다.
- 본 노선이 경유하는 하신번영로 연선에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부산 야고보지파 본부교회가 포함되어있다.[23] 그래서 주말 및 수요일 저녁에는 하단 구간이 신천지 교인들로 붐비는 버스이다. 이들은 항상 정장 차림 또는 흰색 상의에 검은색 하의(모나미 볼펜) 및 파란색 넥타이를 하고 있어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이들은 버스를 탈 때 줄 서서 가지런히 타며,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등 대외적 이미지를 의식하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고 이 현상이 138-1번에도 발생되고 있다.[24]
- 202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에서 1000번이 폐선되고 3001번으로 형간전환되어 도심고속형 급행버스로 운행 에정중에 있어서 더이상 부산진시장과 사하구를 연계시키는 버스 노선이 사라지게 되어 진시장 재연장 요구가 몇몇 나오고 있는 중이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다대포에서 괴정시장이나 동대신동을 갈 때 절대 이 노선을 타면 안된다. 빙빙 둘러가는 굴곡노선이기 때문에 도시철도나 3번[25], 96번이나 96-1번, 사하15번[26]을 이용하여 가자. 마찬가지로 괴정이나 서구에서 다대포를 갈 때에도 도시철도나 96번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 또한 다대포에서 하단으로 갈 때에도 이 노선보다는 도시철도나 3번, 11번, 96번,96-1번이나 338번 1000번 을 이용해서 가는 편이 훨씬 낫다.[27]
- 이 노선은 부산역 방면으로 대영고가교를 이용하는 특성상 부산역 방면 운행 시 서여고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동신초교 정류장의 경우 67번과 함께 기존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약 100m 좀 떨어진 동신초등학교입구 정류장에 정차한다.[28] 허나 11번이 무정차 통과하는 문화아파트 정류장에 이 노선은 70번과 190번이랑 같이 정차하기 때문에 이 곳에서 하차하면 구덕운동장으로 바로 갈 수 있으며 동신초교 정류장도 도보로 1분 정도 이동하면 바로 도착한다. 이용 시 참고할 것.[29]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9671.86 | |
2015년 | 17729.00 | ▽ 1942.86 |
2016년 | 15980.86 | ▽ 1748.14 |
2017년 | 13074.29 | ▽ 2906.57 |
2018년 | 11576.71 | ▽ 1497.58 |
2019년 | 11185.57 | ▽ 391.14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7680.28 | ▽ 3505.29 |
2022년 | 8741.81 | △ 1061.57 |
4.3. 노선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부산역 03054 · 03060 | |||||
영주동 01028 | ↓ | ↑ | 영주동 01029 | |||
서여고 02024 | - | |||||
동신초등학교 02028 | ↓ | ↑ | 동신초등학교입구 02026 | |||
- | 문화아파트 02030 | |||||
구덕운동장 02032 | ↓ | ↑ | 부경고등학교 02042 | |||
-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02041 | |||||
- | ↓ | ↑ | 삼육부산병원(서대신역) 02035 | |||
삼육부산병원 02034 | 삼육부산병원후문 | |||||
광민약국(서대신동) 02039 | ↓ | ↑ | 광민약국(서대신동) 02038 | |||
민들레맨션 02154 | 민들레맨션 02155 | |||||
대티고개 10040 | ↓ | ↑ | 대티고개 10039 | |||
괴정2치안센터 10042 | 괴정2치안센터 10041 | |||||
대티역 10044 | ↓ | ↑ | 대티역 10043 | |||
괴정초등학교 10046 | 괴정초등학교 10033 | |||||
괴정시장(괴정역) 10048 | ↓ | ↑ | 괴정역 괴정시장 10032 | |||
- | 괴정역.괴정사거리 10291 | |||||
괴정자유아파트 10051 | ↓ | ↑ | 괴정자유아파트 10052 | |||
괴정삼익아파트 10062 | 괴정삼익아파트 10061 | |||||
사하역 10063 | ↓ | ↑ | 사하역.사하우체국 10064 | |||
당리중학교 10066 | 당리중학교 10065 | |||||
사하구청(당리역) 10070 | ↓ | ↑ | 사하구청(당리역) 10068 | |||
하단오병원 10072 | 낙동초등학교 10073 | |||||
하단교차로 10081 | ↓ | ↑ | 하단교차로 10231 | |||
에덴공원 10085 | 에덴공원 10084 | |||||
동아대입구 10090 | ↓ | ↑ | 동아대입구 10088 | |||
- | 을숙도초등학교 10091 | |||||
가락타운115동 10099 | ↓ | ↑ | 가락타운115동 10098 | |||
가락타운104동 10100 | 가락타운104동 10101 | |||||
강변아파트 10102 | ↓ | ↑ | 강변아파트 10103 | |||
가락타운2,3단지 10109 | 가락타운2,3단지 10108 | |||||
하남초등학교 10111 | ↓ | ↑ | 하남초등학교 10110 | |||
신남초등학교 10112 | 신남초등학교 10114 | |||||
신평역 10115 | ↓ | ↑ | 신평역 10116 | |||
동성화학 10117 | 동성화학 10118 | |||||
신평2동교차로 10149 | ↓ | ↑ | 신평2동교차로 10148 | |||
한국주철관 10150 | 한국주철관 10147 | |||||
장림포구입구 10151 | ↓ | ↑ | 장림포구입구 10152 |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10227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10226 | |||||
장림시장 10155 | ↓ | ↑ | 장림시장 10153 | |||
장림중소기업은행 10156 | 장림중소기업은행 10157 | |||||
장림우체국 10158 | ↓ | ↑ | 장림우체국 10159 | |||
장림역 10162 | 장림초등학교 10160 | |||||
영남중학교 10165 | ↓ | ↑ | 영남중학교 10164 | |||
신장림역 10166 | 신장림역 10167 | |||||
고려냉장 10168 | ↓ | ↑ | 고려냉장 10169 | |||
다대롯데캐슬블루 10172 | 다대롯데캐슬블루 10171 | |||||
낫개역 10173 | ↓ | ↑ | 낫개역 10174 | |||
다대현대아파트 10175 | 다대현대아파트 10176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 10177 | ↓ |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 10178 | |||
다대1동주민센터 10180 | 다대큰샘 10179 | |||||
다대포항역 10183 | ↓ | ↑ | 다대새마을금고 10182 | |||
다대농협 | 다대포항역(다대수협) 10185 | |||||
다대우신아파트 10188 | ↓ | ↑ | 다대회센터 10186 | |||
다대자유아파트 10189 | 다대자유아파트 10190 | |||||
↓ - | ↓ | ↑ | 다대포해수욕장 10191 | |||
몰운대아파트 10195 | 몰운대아파트 10196 | |||||
대우아파트 10197 | ↓ | ↑ | 대우아파트 10198 | |||
다대포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중앙대로 | |
영주동 ▼ | ▲ 부산역 | |
대영로 | ||
서여고 ▼ | ▲ 영주동 | |
보수대로 | ||
구덕운동장 ▼ | ▲ 동신초등학교입구 | |
망양로 | ||
삼육부산병원 ▼ | ▲ 서대신역.서대신교차로 | |
대티로 | ||
괴정초등학교 ▼ | ▲ 대티역 | |
낙동대로 | ||
가락타운115동 ▼ | ▲ 을숙도초등학교 | |
하신번영로 | ||
신남초등학교 ▼ | ▲ 하남초등학교 | |
하신중앙로 |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 | ▲ 장림포구입구 | |
장림로 | ||
장림시장 ▼ | ▲ 장림1동행정복지센터 | |
장림번영로 | ||
장림역 ▼ | ▲ 장림초등학교 | |
다대로 | ||
다대로 | ▲ 다대푸르지오아파트 | |
다대동로 | ||
▲ 다대회센터 | ||
다대로 | ||
몰운대아파트 ▼ | ▲ 다대포해수욕장 | |
다대낙조1길 | ||
다대포 ▼ | ▲ 대우아파트 | |
다대로 |
5. 연계 철도역
- 다대포 → 부산역 방향 기준.
6. 둘러보기
장림 · 다대포 경유 버스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급행 | |
시내 | ||
마을 | ||
장림 착발 |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승학캠퍼스 | ||||
<colcolor=#000,#fff> 교내진입 | 사하10 | ||||
동아대입구 | 1001 | ||||
2 | 16 | 68 | 123 | ||
126 | 128-1 | 138 | 338 | ||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 |||||
교내진입 | 서구5 | ||||
동아대병원 | 167[A] | 190[A] | 중구1 | ||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 8 | 15 | 16[A] | 40[A] | |
67 | 81[A] | 161 | 168 | ||
서구1[A] | 서구3[A] | 서구3-1[A] | |||
부민캠퍼스 | |||||
정문앞 | 15 | 16 | 40 | 70 | |
81 | 126[A] | 161 | 190 | ||
부용사거리 | 96 | 103 | 113 | ||
부민e편한세상APT | 서구3 | 서구3-1 | |||
[A] 단방향 경유 |
부산역 경유 버스 노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일반 | 2회차 5-1후문 88-1회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6%"171회차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아치캠퍼스 | ||||
급행 | 1006 | ||||
일반 | 8 | 17 | 30 | 88 | |
101 | 186 | 190[A] | |||
다운타운캠퍼스 | |||||
시외 | 부산역-진주(심야)[B] | ||||
급행 | 1000 | 1001[B] | 1003[B] | 1004 | |
일반 | 2[B] | 17 | 26 | 27 | |
40 | 41 | 43 | 59 | ||
61 | 67 | 81 | |||
82 | 85 | 87 | 88 | ||
88-1[B] | 101 | 103 | 134 | ||
167 | 171[B] | 190[B] | 508[B] | ||
서부산융합캠퍼스 | |||||
급행 | 1005 | ||||
일반 | 55-1 | ||||
마을 | 강서구7-2 | 강서구12[C] | |||
{{{#!wiki style="margin: -2px -8px; letter-spacing: 0.3px; font-size: 0.8em" | }}}}}}}}} |
[공휴일] 17대 운행[2] 구 1번은 하단역 근처 에덴공원 앞에서 출발해 부산역을 경유해 연일시장(현 물만골역 근처)을 잇는 노선이었다. 현 1001번(당시 240번) 회차지 자리에 있다.[3] 시종착 지점은 충무동 터미널이였으며 현 충무동교차로 앞에 있었다.[4] 당시에는 천일교통(우리가 아는 천일여객의 시내사업부였다.)에서 운행[5] 1983년 밀성여객 → 1988년 영신상운 → 폐업. 광주 대창운수가 아니다.[6] 現 시청[7] 다대포로 연장 될 때에는 동우여객이란 이름으로 운행하였고, 일부는 좌석버스가 투입되었으나 곧 일반버스로 전환하면서 동원여객으로 운행하였다.[8] 2012년에 81번으로 넘어갔고 2015년 연말에 뉴슈퍼에어로시티 F/L 저상으로 대차되었다.[9] 2016년 4월 23일부터 138-1번도 가락타운2단지만 경유하다가 2018년 12월 29일 개편으로 이 버스와 같은 선형으로 경유한다.[10] 대청로(보수동책방골목,국제시장)를 경유하여 중앙동-영주동-부산역 방면으로 가는 노선들이다. 부산터널보다는 조금 돌아가는 편이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이쪽으로 가는 편이 오히려 훨씬 낫다.[11] 범일역에서 내리면 바로 자유.평화시장이 나오고 다대포에서 진시장 방면으로 가는 급행버스 1000번이 존재한다.[12] 167번은 차고지 방면은 보수대로를 미경유하고 67번은 진시장으로 가지 않기에 이 노선만의 차별화가 있었는데 부산역으로 단축되어 보수대로 연선에서는 그야말로 이도저도 아닌 노선이 되어버렸다.[13] 물론 대티고개 연선 주민들이 항의가 가장 많았으나 이용객 수가 적어 진시장 환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4] 대티터널/대티고개 경유 여부를 제외하면 동아대학교(을숙도초등학교)에서 부산역까지 노선이 거의 유사하다. 다만 이 노선은 서여고(동신초교)~구덕운동장~대티고개를 경유한다.[15] 현재로선 138-1번도 경유를 하지만, 하단역 방면이 아닌 엄궁동 방면으로 간다.[16] 11번 역시 보수대로와 흑교로를 가로질러 가는 노선이라 서구 구간에서는 도시철도와 연계되는 구간이 서대신역 하나 뿐이다.[17]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2번 125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18] 부산역 방면 보수대로 연선의 경우 서면까지 이어주는 67번이 있기에 이 노선을 이용할 일이 거의 없다. 더군다나 67번의 배차간격이 이 노선보다 훨씬 좋다. 다만 67번은 진시장을 미경유하기에 부산진시장이 최종 목적지라면 환승저항 등의 이유로 40번이나 81번을 이용해서 가는 편이다.[19] 이들은 주로 가락타운이나 장림, 다대동까지 가는 이용객들인데 1000번이 급행버스라 요금이 비싸기에 조금 더 걸리더라도 이 노선을 타고가는 수요층이 많이 존재한다.[20] 화랑초등학교, 서여고, 동신초교 정류장.[21] 서구청에서 흑교사거리 구간까지는 126번이 있으나 흑교사거리에서 구덕로 서부교회 방면으로 좌회전해버린다.[22] 113번은 하단교차로에서 신평역 방면으로 좌회전해버린다.[23] 강변아파트 정류장. 정류장번호: 10102, 10103.[24] 실제로 138-1번 승무원의 증언을 들어보면 햇님공원 정류장(현재는 강변아파트 정류장)에서 타는 교인들은 기본 사상까지 간다고 한다.[25] 338번에 비해서 신평역과 하단으로 조금 둘러가긴 하지만 이 노선과는 달리 동아대 승학캠퍼스와 대티고개를 추가로 경유하지 않는 만큼 이 노선에 비하면 더욱 빨리 간다.[26] 괴정시장 한정[27] 장림시장이랑 신평역으로 우회해서 가는 11번보다 배고개와 동매교를 통해 빠르게 하단교차로로 이어주는 3번을 이용하는 편이 더욱 낫다.[28] 따라서 동신초교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은 135번이 폐선된 이후로는 11번이 단독으로 정차하며[32] 실제로 해당 정류장에서는 2번을 이용하려면 100m정도 서여고 방면으로 내려가라고 표기되어 있다.[29] 부경고교 정류장에 하차해도 구덕운동장과 바로 연계된다.[다대포] 방향 한정.[31] 하단교차로 정류장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