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20:41:46

대창운수


||<:><-2><tablebordercolor=#e8340b><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colbgcolor=#e8340b><colcolor=#fff>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버스 회사
시내​버스대원시내버스 · 대진운수 · 대창운수 · 동화운수 · 라정시내버스 · 삼아교통 · 삼원운수 · 세영운수 · 을로운수 · 현대교통
마을​버스광남고속관광 · 광산버스 · 나라교통 · 석봉운수
대창운수주식회사
大昌運輸株式會社
Daechang Wunsu Co., Ltd.
파일:dcws1.jpg
설립일 1966년 4월 15일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고형석
주요 주주 대창E&T: 25.70%
우봉장학회: 13.54%
(2021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339대[1]
직원 수 908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00억원(2021년 기준)
매출액 713억 7,273만 338원(2021년 기준)
영업이익 42억 2,610만 5,852원(2021년 기준)
순이익 80억 2,193만 7,591원(2021년 기준)
자산총액 1,142억 3,845만 799원(2021년 기준)
부채총액 255억 8,473만 2,723원(2021년 기준)
부채비율 28.86%(2021년 기준)
자회사 대우국민차광주판매 (지분율: 100%)
대창홀딩스 (지분율: 66.55%)
소재지 본사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40 (오룡동)
장등동영업소 - 광주광역시 북구 장운길 55 (장등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창운수 홈페이지

1. 개요2. 사건사고3. 면허 체계4. 영업소5. 운행 노선
5.1. 급행좌석5.2. 급행간선5.3. 간선5.4. 지선5.5. 폐선된 노선
6. 보유차량7. 지배구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archives.518.org/m_20121009144112.jpg
5.18 민주화운동 당시 대창운수 소속 차량(출처 : 5.18기념재단)

2. 사건사고

3. 면허 체계

4. 영업소

영업소 위치 운행노선 비고 가스충전소 유무
첨단영업소(본사)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40 (오룡동 1110-2) 매월16, 첨단23[A], 첨단30, 문흥39[B], 금호46 대창운수 본사 X[24]
장등영업소(제2차고지) 광주광역시 북구 장운길 55 (장등동 858-3) 문흥18, 첨단23[A], 금호36, 문흥39[B], 운림35, 문흥53, 문흥80, 두암81, 용전86, 충효187 장등공영차고지 O

5. 운행 노선

5.1. 급행좌석

5.2. 급행간선

5.3. 간선

5.4. 지선

5.5. 폐선된 노선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6.1.2. 자일대우버스

6.1.3. KGM커머셜

6.1.4. MAN

6.2. 과거 보유차량

6.2.1. 자일대우버스

6.2.2. 현대자동차

6.2.3. 기아

7. 지배구조

2021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창E&T 25.7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봉장학회 13.5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동현 5.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재관 3.71%
기타 51.65% 54인


[1] 정규 327대, 예비 12대[2] 참고로 이 첨단지구가 행정구역이 꼬인 동네인데, 상가나 주택은 광산구 첨단1, 2동 있는데 정작 과학기술원이나, 한국광기술원 같은 산업시설은 북구에 있다.[3]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자료 기준. 이는 순천교통 계열의 을로운수(184대)+현대교통(82대)+삼아교통(53대)의 차량 보유대수를 합친 것보다 더 많다.[4] 광주 시내버스 전체 운행 대수의 약 1/3에 해당한다.[5] 서울이나 부산, 인천 등 다른 특별시나 광역시에서도 300대나 되는 버스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회사는 단 한 곳도 없다. 서울의 선진운수293대 보다도 더 많다. 경기도로 범위를 넓힌다면 수원여객, 경원여객, 명성운수, 소신여객 등이 300대 이상을 운행한다. 참고로 단일 회사로 최다 시내버스 보유 회사는 주로 경기도 동남부 지역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경기고속(700대).[6]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 을로운수는 합자회사이며, 나머지 회사들은 전부 유한회사이다. 반면 다른 지역의 경우 관내 시내버스 회사들 중 주식회사가 더 많으며, 특히 광역시 이상급 대도시 중에서는 광주를 제외하면 인천이 합자회사신동아교통 하나 있고 나머지 대도시(서울, 대전, 대구, 울산, 부산)는 버스 회사가 전부 주식회사이다.[7] 2013년 이후로 대창E&T는 지주회사로 남아있고 예하 계열로 석유도매업인 대창석유(대창E&T의 개명 전 이름)와 통신판매업인 E&T로 분리되었다.[8] E&T는 SK텔레콤의 1위 대리점 협력사로 전국 판매 순위 1위를 하기도 했다. 그래서 동아일보가 채널A를 개국할 때 E&T가 SK텔레콤으로부터 203억원을 융통해서 채널A에 투자하여 E&T가 채널A 지분 4.98%를 확보했으나 1년후 매각하였다. SK텔레콤은 E&T와 1년 거래규모가 1500억 정도이기 때문에 200억 규모의 자금거래는 일반적이라고 했다. 당시 동아일보의 채널A 지분은 29.32%였다. 동아일보가 채널A 지분을 30% 이상 소유할 경우 방송법 소유제한 규정 위반이기 때문에 동아일보와 특수관계인 E&T를 통해 우호지분으로 남겨두려 했었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대창운수 창업주 고광표와 동아일보 창업주 인촌 김성수는 사촌 처남 매부관계이다.[9] 본래 대창석유의 계열에서 나온 회사가 대창운수이며, 대창 계열로는 대창운수, 대창석유(구 전남미유), E&T, JNJ골프리조트(2012년 당시 개장 앞두고 인수됨에 따라 계열 편입.) 이외에도 창평고등학교, MDC무등양말, 렌트카바로가 있다,[10] 다만 광주 시내버스 회사에서 가장 오래된 회사는 삼원운수(구 천일버스)이다.[11] 파일:대창사가.gif[12] AM907, AM907L, AM917, AM927, AM937, AM937E, AM937L[13] 헌데 코스모스는 뽑지 않았고, 대신 아시아 P버스와 AB185F는 극소수로 있었다.[14] AM 시리즈 출고 전에는 101(새한, 대우) 시리즈가 꽤 많았지만 BS105는 안 뽑았고, BS106은 극소수의 무냉방 하이파워만 있었으며 냉방 하이파워와 로얄시티 초기형은 출고하지 않았다.[15] 2007년 이전에는 중형차를 출고할 때는 BS090, BM090, 에어로타운. 이 3가지만 출고했다. 2008년형 이전 동글이 글로벌900은 단 1대도 출고하지 않았다.[16] 금남57번, 용전85번, 용전86번, 석곡87번에서 운행 중이다.[17] 이외 현대교통, 대진운수도 출고했었으며 저상 버전으로는 을로운수, 세영운수, 대원시내버스, 그리고 이 회사가 출고했었다. 단 그린시티 13년식 후기형은 없다.[18] 침수로 인하여 전기차 충전기가 고장났는지 한동안 일렉시티 차량들이 운행하지 않았다.[19] 특히 대창운수를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 최악이었는데 장등까지 가는데 약 12.2km 정도나 가야했다. 물론 첨단에서 장등동까지 가는 문흥39번은 논외다.[20] 첨단에서 증심사를 다니는 첨단09, 운림51 두 노선이 월남차고지에서 가스를 충전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원래 해당 노선들은 종점이 증심사이기는 하지만 말그대로 종점이기 때문에 오직 기점인 첨단공영차고지에서만 충전한다.[21] 주로 20XX, 21XX, 22XX, 24XX는 급행좌석, 급행간선, 간선 노선에서 운행하며 23XX는 전부 지선 노선에서 운행한다.[A] 기점이 제2차고지이고 종점이 본사다. 전 차량 장등소속.[B] 기점이 제2차고지이고 종점이 본사다. 본사소속 6대, 장등소속 8대.[24] 삼원운수 사무실이 입주하고 있는 첨단공영차고지로 가서 충전한다.[A] [B] [Z] 제2차고지 소속[X] 본사 소속[X] [X] [31] 2019년 7월 1일 부로 종점이 하남2지구에서 진곡산업단지로 연장되었다. 또한, 기존에 임곡89번이 운행하던 장수동, 지실마을 구간을 임곡89번 대신 이 노선이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 되었다.[X] [Z] [X] [Z] [X] [Z] [X] [39] 유일하게 두 영업소가 공동 운행하는 노선이다. [X](7대), [Z](7대)[X] [Z] [42] 前 전남공무원교육원[X] [X] [X] [Z] [X] [Z] [X] [X] [X] [Z] [Z] [54] 일부 편성만 장등마을 지원운행[X] [Z] [Z] [X] [X] [60] 평일 오전 진흥고행 3회(07:05, 07:25, 07:55)를 제외한 모든 편성이 광주글로벌모터스 착발.[Z] [Z] [Z] [X] [X] [X] [67] 평일은 20시 21분, 주말은 19시 반 이후로 미경유. 들어가는 시간대에도 효령노인복지타운 방향은 영락공원으로 가는 사람이 없으면 들어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