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9:48:10

부산 버스 161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39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DSC_2921.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이용 시 유의할 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영신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0.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6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61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코레일사상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40
막차 20:30 막차 22:25
평일배차 출퇴근 10분 / 평시 11분 주말배차 12분
운수사명 영신여객 인가대수 24대[주말]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사암마을 - 성산2구 - 부산강서경찰서 - 경일고등학교입구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장림 동원로얄듀크아파트 - 장림초등학교 - (→ 장림주유소 →/← 제일제당 ←) - 감천삼거리 - 남부민초교 - 자갈치역 - 서구청 - 동아대 부민캠퍼스 - 구덕운동장 - 구덕터널 - 학장교차로 - 감전역(사상구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코레일사상역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3. 역사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4609.00
2015년 13969.86 ▽ 639.14
2016년 13698.43 ▽ 271.43
2017년 14834.71 △ 1136.28
2018년 12765.42 ▽ 2069.29
2019년 12251.85 ▽ 513.57

4.2. 이용 시 유의할 점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장림 · 다대포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시내
마을
장림
착발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4[심야] 1005[A]
일반 8[A] 15 31 33
33-1[A] 59 62 77
110 138-1 148-1 160
161[A] 169 186[A] 338
마을 사상1-1[A] 사상7
[A] 경부선 사상역 정차 노선 [심야] 심야 노선만 정차
}}}}}}}}}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승학캠퍼스
<colcolor=#000,#fff> 교내진입 사하10
동아대입구 1001
2 16 68 123
126 128-1 138 338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교내진입 서구5
동아대병원 167[A] 190[A] 중구1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8 15 16[A] 40[A]
67 81[A] 161 168
서구1[A] 서구3[A] 서구3-1[A]
부민캠퍼스
정문앞 15 16 40 70
81 126[A] 161 190
부용사거리 96 103 113
부민e편한세상APT서구3서구3-1
[A] 단방향 경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2000
좌석 58-1
일반 3[A] 55 58 58-2[A]
61[A] 68[B] 123 124
128-1[A] 161[A] 171[A]
마을 강서7 강서9-1 강서12 강서13
강서15 강서20 강서21 사하10[C]
다람쥐 강서12-1
김해 220
[A]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B] 강서구 미경유 노선
[C] 중앙버스전용차로 미정차, 도로변 단독 정류장 정차 노선
}}}}}}}}} ||



[주말] 토요일 21대 / 공휴일 19대 운행[2] 현 구덕운동장[3] 증차분은 구 17번 감차분에서 넘어왔다.[4] 2020년에 시행되었던 부산시 버스 대개편 용역 결과 161번은 현행 유지였다. 도시철도와 중복되지 않는 구덕터널 통과 노선이라 개편 사항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다. 그렇기에 이번 개편 용역에서도 이 점을 반영한 걸로 보인다.[5] 구덕터널을 통과하여 질러가기 때문에 하단과 엄궁을 경유하여 사상으로 갔던 13번보다 훨씬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구평동에서도 충무동을 거치지 않고 더욱 빨리 서부터미널로 갈 수 있게 되어 많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6] 161번이 사라지면 16번과 70번과 190번 세 노선만 남게 되는데 16번을 제외하면 두 노선은 배차간격이 15분을 넘어가는 노선이며 모두 빙빙 둘러가는 굴곡 노선이라 이용에 적합하지 않다. 동아대부민캠의 경우 15번이 있으나 새벽시장을 경유하여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7] 기존 구간을 유지한 채로 단순히 연장시켰는데 명지신도시까지 경유하게 되면 왕복운행거리가 80km를 훌쩍 넘어가기 때문이다.[8] 마을버스는 사하9번이 있다. 원래 사상행만 경유하였으나 2019년 2월 2일부로 양방향 경유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9] 도시철도는 서면으로 둘러가는데다 서면역에서 다른 호선으로 환승까지 해야한다.[10] 2호선 환승이 목적이라면 이 노선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사상역에서 승하차객이 많기에 미리 감전역에서 타면 앉아갈 수 있다. 특히 5호선 새벽시장역사상역 공사 구간으로 인하여 교통 체증이 빈번하게 발생한다.[11] 8번의 경우는 인가대수 감차로 인하여 배차간격이 거의 엇비슷해졌지만, 161번의 연장으로 인해 다시 배차간격 차이가 커졌다.[12] 출퇴근 시간대에는 가야대로에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으로 올라가려는 차량들로 인하여 교통 체증이 많이 발생한다. 더군다나 5호선 공사 구간으로 인하여 교통 체증이 많이 발생한다.[13] 앞서 말했듯이 8번의 경우 새벽시장으로 둘러가는 굴곡 구간이 있는데다 15번의 경우 2호선 사상역 정류장에 세워주기 때문에 경전철 사상역까진 조금 걸어야 한다. 시간도 최장 15분 가량 차이난다.[14] 사상 이북 구간으로 가려는 것이 목적이라도 감전역~사상역 구간 상의 정류장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더라도 새벽로를 직접 거쳐가는 것보다 훨씬 낫다.[15] 77번은 학장동행만 정차한다.[16] 8번은 보수대로 연선 승객들이 많이 이용한다.[17] 금곡동에서 남포동을 찍고 다시 서구로 돌아오면 아무리 빨라도 6시는 넘어버린다.[18] 이전 정류장인 구덕운동장 정류장의 경우 구덕로 연선에 위치해있어 한참을 걸어 올라가야 한다.[19] 구덕 야구장이 철거되면서 도로를 재정비했는데도 불구하고 좌회전하는 차량들이 많아 정차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20] 같은 이유로 하단동, 명지에서 통영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와, 명지에서 고성군 고성읍, 삼산면, 거류면 쪽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2000번을 이용하여 고현버스터미널로 이동한 후 그곳에서 통영, 고성 방향 시외버스로 갈아타는 것이 낫다. 사상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환승저항이 어마어마하며, 161번으로 사상터미널까지 가고자 한다면 빙 둘러가는 길이 된다.[21] 신평차고지 본사 시절에는 운행거리가 긴 편이 아니라서 회차지에서 일정 시간 휴식 없이 바로 운행하거나 1~2분 이내로 휴식하였는데 강서공영차고지 입성 이후 운행거리가 과도하게 길어져서 이제는 10~15분 가량 휴식을 취한다.[22] 15번 주간노선의 경우 22:30~35경이 지나면 서부터미널에서 남포동 방면 차가 끊겨버려서 이후에는 8번이나 33-1번 186번을 이용하거나 15번 심야노선을 이용해서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