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2:45:36

류지혁

류찌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류지혁의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류지혁/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 디아즈 · 6 강한울 · 7 이재현 · 9 공민규
· 14 안주형 · 16 류지혁 · 30 김영웅 · 34 전병우
· 35 차승준 · 38 심재훈 · 50 이창용 · 52 박병호
· 53 양우현 · 56 이해승 · 60 김호진 · 68 양도근
· 103 오현석 · 116 박장민 · 118 이현준 · 124 김재형
· 125 김상준 · 127 강민성
최종 편집: 2025년 1월 24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최지광
(2023.6.13.~2023)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류지혁
(2024~)
현역
<nopad>파일:24 류지혁 고화질.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16
류지혁
柳志赫 | Ryu Ji-Hyuk
출생 1994년 1월 13일 ([age(1994-01-13)]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청원초 - 선린중 - 충암고
신체 181cm, 75kg, O형
포지션 내야 유틸리티[1]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2년 4라운드 (전체 36번, 두산)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12~2020)
KIA 타이거즈 (2020~2023)
삼성 라이온즈 (2023~)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2년 12월 24일~2014년 9월 23일)
계약 2025 - 2028 / 26억 원[2]
연봉 2025 /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 이전 등장곡 보기 ]
두산 시절
장기하와 얼굴들 - 〈달이 차오른다, 가자〉
박재범 - 〈My Last〉
KIA 시절
Zion.T - 〈양화대교
호미들 - 〈BROKEN FERRARI〉
데이브레이크 - 〈좋다〉[3]
데이브레이크 - 〈좋다〉[4][5][6]
응원가
[ 이전 응원가 보기 ]
두산 시절
구단 자작곡[7]
KIA 시절
하와이 민요 〈Pupu A' o' ewa〉 (동요 진주조개잡이)[8][9][10]
허니크루 - 구단 자작곡[가사]
소속사 어썸스포츠
{{{#!folding [ 이전 소속사 보기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74ca1><colcolor=#fff> 가족
<colbgcolor=#074ca1><colcolor=#fff> 배우자 박지민(1993년 11월 3일생)
자녀 장남 류이현(2017년 4월 30일생)
차남 류이든(2019년 9월 9일생)
장녀 류이엘(2023년 2월 13일생)
애완견 지코[12]
MBTI INTP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경력
4.1. KBO 리그4.2. 국가대표
5. 연도별 성적6. 여담
6.1. 충암똘끼6.2. 별명
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투좌타 내야수.

두산 베어스 시절 두산표 화수분 야구를 대표하는 일원 중 한 명으로 팀의 백업 1옵션의 위치에 있던 선수였으나, 잠재력을 완전히 만개하지 못하고 2020 시즌 도중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 되었고, 이후 2023 시즌 도중 삼성 라이온즈로 트레이드 되었다.

2. 선수 경력

류지혁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류지혁/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2년 상무 야구단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 두산 20 KIA
2021년 2022년 23 KIA 23 삼성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17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류지혁/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수상 경력

4.1. KBO 리그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류지혁의 KBO 수상 경력
2016 한국시리즈 우승
2019 한국시리즈 우승 / 드림 올스타(감독추천)
2022 나눔 올스타(베스트12)
2024 드림 올스타(베스트12)

4.2.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류지혁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17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5.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류지혁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12 두산 2 1 1 0 0 0 0 0 0 0 0 1.000 1.000 1.000 2.000 642.8 0.07
2013 1군 기록 없음
2014 군 복무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5 14 5 1 0 0 0 3 0 0 0 3 .200 .200 .200 .400 -19.3 0.27
2016 90 134 34 5 0 3 34 9 3 10 28 .288 .356 .407 .763 98.2 1.65
2017 125 330 77 13 4 3 60 26 7 21 55 .259 .317 .360 .677 73.6 1.00
2018 128 280 61 7 0 1 52 29 7 29 43 .268 .372 .311 .683 88.1 1.88
2019 118 316 69 6 2 0 36 34 18 24 40 .250 .323 .286 .609 76.6 1.21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20 두산/KIA 25 51 16 3 0 1 13 5 1 1 6 .381 .440 .524 .964 154.9 0.46
2021 KIA 92 327 76 8 0 2 37 34 0 42 46 .278 .385 .330 .714 106.4 1.69
2022 127 477 111 19 2 2 55 48 8 56 83 .277 .371 .348 .719 109.6 1.96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23 KIA/삼성 132 522 122 11 1 2 63 45 26
(4위)
46 73 .268 .340 .310 .650 84.8 0.38
2024 삼성 100 348 78 9 1 3 43 36 11 33 70 .258 .341 .325 .666 76.0 0.09
KBO 통산
(11시즌)
953 2791 646 81 10 17 396 266 81 262 447 .269 .351 .332 .683 90.7 10.65

6. 여담

2016년 내 질문을 부탁해.

6.1. 충암똘끼

두산의 충암 똘끼 계보를 이어받은 유망주였다. 고교 동기이자 입단 동기인 변진수가 2015년 시즌 이후 경찰청에 입대하며 바통터치를 했는데 정말 만만치 않았었다.[37]또한 지금 두산 코치인 김주찬도 류지혁이 이적한 2020시즌 KIA에서 현역으로 뛰고 있었는데 김주찬도 충암똘끼인 관계로 KIA에 와서는 한때 김주찬-류지혁-변시원으로 이어졌었다. 현재는 삼성에서 류지혁, 홍정우, 양우현으로 이어졌다.[38][39]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fkcw24qrh1sqk8veo3_r1_540.jpg}}}||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fkcw24qrh1sqk8veo4_r1_540.png}}}||

6.2. 별명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류지혁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5.svg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6.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6 2019

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2017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ecd00>
1982~1983
1984 1985
1986~1988
1989~1990
배대웅
천보성
함학수
장효조
박승호
<rowcolor=#FFF>
1991~1992
1993~1994
1995~1996
1997 1998
김용국 강기웅
이종두 류중일 양준혁
<rowcolor=#FFF>
1999
2000 2001
2002~200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ab 75%, #074ca1 25%);"
2004~2008
류중일 김기태 김태균
김한수
진갑용
<rowcolor=#FFF>
2009
2010
2011~2012
2013~2014
2015
박진만 강봉규
진갑용
최형우
박석민
<rowcolor=#FFF>
2016
2017 2018 2019
2020~2021
박한이
김상수
박해민 (임시 주장)
김상수 강민호
박해민
이원석 (임시 주장)
<rowcolor=#FFF> 2022 2023 2024~
김헌곤오재일
피렐라 (임시 주장)
오재일구자욱
강민호 (임시 주장)
구자욱
류지혁 (임시 주장)
}}}}}}}}} ||

}}} ||
류지혁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4번
김진형
(2009~2011)
<colbgcolor=#ed1c24><colcolor=#fff> 류지혁
(2012)
강동연
(2013~2014)
두산 베어스 등번호 8번
오현근
(2013~2014)
류지혁
(2015~2018)
권혁
(2019~2019.6.6.)
두산 베어스 등번호 17번
변진수
(2018)
류지혁
(2019~2020.6.7.)
홍건희
(2020.6.8.~)
KIA 타이거즈 등번호 51번
홍건희
(2018~2020.6.7.)
류지혁
(2020.6.8.~2020.6.15.)
전상현
(2020.6.16.~)
KIA 타이거즈 등번호 8번
안치홍
(2016~2019)
류지혁
(2020.6.16.~2023.7.4.)
김태군
(2023.7.5.~2023.7.30.)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2번
김태군
(2022~2023.7.4.)
류지혁
(2023.7.5.~2023)
김도환
(2024)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7 APBC
선동열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eee> 투수 10 김대현 · 21 박세웅 · 26 장필준 · 27 장현식
28 김윤동 · 29 이민호 · 34 심재민 · 38 임기영
40 박진형 · 46 김명신 · 59 구창모 · 61 함덕주
포수 22 장승현 · 42 한승택
내야수 1 김하성 · 2 박민우 · 6 최원준
7 정현 · 8 류지혁 · 16 하주석
외야수 15 안익훈 · 23 나경민 · 31 김성욱
36 구자욱 · 41 이정후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정민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이종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1] 내야 전 포지션 소화가 가능하며, 실제로도 모든 포지션을 100경기 이상씩 소화했다. 두산 베어스 시절에는 주로 유격수 백업으로 나왔으며, KIA 타이거즈 이적 한 후에는 주로 3루수1루수로 출전했다. 삼성으로 트레이드 직전에는 주로 2루수로 출전했으며 삼성 라이온즈에서도 주로 2루수로 나서고 있다. (2024년 8월 30일 기준 통산 1050경기 출전. 3루수(379경기), 유격수(269경기), 2루수(211경기), 1루수(190경기), 우익수(1경기) 출장.)[2] 계약금 3억 원 / 연봉 총액 17억 원 / 인센티브 6억 원[3] 니가 있어 좋다 (류지혁!) 사랑해서 좋다 (류지혁!) 다른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이 기분 (KIA! 류지혁!) 너무나도 좋다 (류지혁!) 너와 함께하는 이 순간 (류지혁!) 영원히 간직할 이 기분 (KIA! 류지혁!)[4] #[5] 니가 있어 좋다 (류지혁!) 사랑해서 좋다 (류지혁!) 다른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이 기분 (최강삼성! 류지혁!) 너무나도 좋다 (류지혁!) 너와 함께하는 이 순간 (류지혁!) 영원히 간직할 이 기분 (최강삼성! 류지혁!)[6] 참고로 도루 성공 혹은 호수비 때에도 응원가가 아닌 등장곡이 나온다.[7] 류! 지혁이가 안타를 친다! 류! 지혁이가 안타를 친다! 류! 지혁이가 안타를 친다! 안타! 류지혁! ×2[8] KIA의 (KIA의!) 류지혁 (류지혁!) 승리의 (승리의!) 그 이름 (그 이름!) 최강 기아 (HO!) 승리 위해 (HO!) 워어어 워어어어어 x2[9] 이 응원가 또한 KIA 팬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갈린다. 응원가 치고는 너무 처지는 템포와, 25초동안 류지혁 이름은 딱 한 번밖에 안 나오는 데 비해 팀 이름은 두 번 나오는 등 류지혁 개인 응원가보다 팀 응원가 같은 분위기 때문.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호의 반응이 더 많고, 삼성에 이적하면서 팀명만 바꿔 쓰라는 팬들이 많다.[10] 그리고 본인은 응원가가 마음에 든 듯하다.[가사] (류~류~류~류~) 삼!성 류!지!혁! 류! 지혁 워어어어 날려버려 워어어어 시원하고 화끈하게 류!지!혁! (가자!) 류 지혁 워어어어 삼성 류지혁~ 최강삼성 승리를 위해~ (누구!) 류!지!혁! x2[12] 혁이 웰시[13] 그런데 박건우는 아직도 미혼이다.[14] 공교롭게 두산 시절 동료였던 LG 트윈스 함덕주의 딸과 이름이 같다.[15] 공교롭게 박해민도 삼성 출신이다.[16] 아빠가 삼성으로 트레이드되었다고 말하자 울었다고 한다. 지금은 아빠를 따라 온 가족이 삼성팬이 된 듯하다. 가족 사진을 찍을때 온가족이 삼성 유니폼을 입고 찍었다.[17] 가족들은 여전히 광주에 살고 있다. 김태군과 달리 다년 계약을 하지 못했고, FA를 앞두고 있어서 류지혁의 FA 계약 결과에 따라 또 다시 이사를 해야 할 수도 있어서 가족들은 남은 듯하다.[18] 공교롭게도 트레이드 상대였던 홍건희 역시 두린이였다.[19] 그런데 2023 시즌 중 트레이드로 인해 삼성에서 뛰게 되었다.[20] 특이하게도 이 둘은 부진한 날 잠을 못 자는 특징이 있다.[21] 3분 1초까지.[22] 두산 시절 마지막으로 단 번호는 17번이었다. 홍건희는 두산 이적 초기에 트레이드 맞상대인 류지혁의 번호였던 17번을 달고 있었는데, 마음에 들었는지 몇년째 바꾸지 않고, 여전히 17번을 달고 있다.[23] 대다수 팬들은 8번을 달던 김호재가 방출되고 과거에 자주 달았던 8번을 달 것으로 추측했으나, 예상과 다르게 16번을 달았다.[24] 다만 류지혁은 선수 신분으로 삼성을 오게 되었지만, 한대화는 코치 신분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들어왔다.[25] 다만 두산에서 삼성으로 바로 온 이원석과 달리 류지혁은 두산에서 KIA로 갔다가 삼성으로 왔다.[26] 다만 류지혁은 2024 시즌부터 3루수보단 2루수로 자주 나온다.[27] 다만 둘 다 입단 첫 해에는 다른 번호를 달았다. 이원석은 17번을 달았고, 류지혁은 42번을 달았다.[28] 사실 그럴만도 한 게, KIA로 이적한 해에 햄스트링 부상만 두 번을 당하면서 시즌을 통으로 날려먹었고 2021 시즌에도 조금이라도 무리하게 주루를 한 날에는 퇴근길에 다리에 아이싱을 감고 나오는 날이 종종 있었기 때문.[29] 두산 시절에는 대부분 내야 유틸리티 백업으로 자주 출장한 것이다.[30] 야구 팀에선 최고참 아래 군기반장이 따로 있는 게 흔하다. 롯데에 이대호가 고참으로 있어도 실제로 군기를 잡는 건 강민호, 손아섭이 했듯이.[31] 2023년 기준 KIA 타이거즈에서 프랜차이즈 스타 대우를 받는 선수는 양현종, 김선빈, 최형우 정도 뿐이기에 이들과 차기 프랜차이즈로 꼽히는 최원준, 정해영, 이의리 등과의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해주길 기대하는 팬들이 많다.[32] 2024 시즌 중에 트레이드로 kt로 이적하였다.[33] 두산, KIA 시절처럼 구단 유튜브에도 활발하고 재밌는 요소를 많이 주고 있고, 선린중 후배 이재현과 선수들을 위해 수박 화채를 만들기도 하고 소고기 내기를 할 정도로 친하다. 특히 구자욱, 김지찬, 김현준, 이재현과 친하게 지낸다. 마무리캠프에서는 김재혁과 친해진 것으로 보인다.[34] 실제 모습은 활발하고 외향적인 것처럼 보이는데 의외로 내향적인 유형이 나왔다.[35] 하지만 최근 인스타그램에 복귀했다.[36] 아무래도 두산에서 KIA로 이적할 때는 첫 이적이기도 하고, 어렸을 때부터 좋아하던 팀을 떠난다는 생각에 감정이 복받쳐 눈물을 흘린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트레이드로 인한 이적은 베테랑 나이가 되면서 멘탈도 이전 같지 않아지기도 했고(지금과 달리 두산 시절에는 멘탈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첫 트레이드가 아닌 이미 전에 경험해본 트레이드라서 처음과는 다른 감정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37] 여담으로 변시원이 2차 드래프트로 KIA 타이거즈로 이적하고 류지혁도 트레이드로 이적하며 2020 시즌, 2021 시즌에 또 한번 한 팀에서 뛰었다.[38] 게다가 홍정우는 입담이 좋은 편이다.[39] 과거에 삼성에 충암고 출신 선수로 이학주가 있었는데, 부진했던 실력과 별개로, 똘끼가 있어 종종 재미를 주었다.[40] 17년에는 민병헌을 따라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웃기려고 한 게 아니고 실제 경기에서 쓴 거라 좀 다르다.1타점 2루타![41] 다른 친구 조수행도 이런 류지혁을 보면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 물론 그러면서 친하게 지내는건 함정. 비슷하게 또라이인 건 충암고-두산 동기 변진수나 같은 포지션 경쟁자인 서예일이 있다.[42] 요리를 할 필요가 없는 타 구단과는 다르게 호주 전지훈련 기간엔 일부 식사는 레지던스 형태 숙소에서 요리로 해결해야 해서 선수들이 마트에 간다. 그래서 2017년엔 투수조 고참인 장원준이 스테이크 요리를 하는 장면이 잡히기도.[43] 4:51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