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사로 6촌 | 신라 6부 | 성씨 | 시조 |
알천 양산촌 | 급량부 | 이씨 | 알평 | |
돌산 고허촌 | 사량부 | 최씨 | 소벌도리 | |
취산 진지촌 | 본피부 | 정씨 | 지백호 | |
무산 대수촌 | 점량부 | 손씨 | 구례마 | |
금산 가리촌 | 한기부 | 배씨 | 지타 | |
명활산 고야촌 | 습비부 | 설씨 | 호진 | |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
신라 6성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40><tablebordercolor=#ecd8e9> 경주 정씨 (월성 정씨) | }}} | |
<colbgcolor=#710048> 관향 | 경상북도 경주시 | ||
도시조 | 지백호(智伯虎) | ||
중시조 | 정진후(鄭珍厚)[1] | ||
집성촌 | 경기도 연천군 충청북도 영동군 충청남도 금산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전라남도 순천시, 여수시, 고흥군, 신안군, 장성군 경상북도 청송군, 김천시 경상남도 남해군, 통영시 | ||
함경남도 영흥군 | |||
인구 | 350,587명(2015년) | ||
링크 | 경주정씨양경공파종약원 |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신라 6성의 하나. 신라 6성은 경주 이씨, 경주 최씨, 경주 정씨, 경주 손씨, 경주 배씨, 경주 설씨[2]를 말한다.2. 시조
<경주정씨대관>에 따르면 "경주 정씨는 우리나라 성씨의 대종으로서 가장 오랜 유래를 지닌 씨족의 하나로 신라를 구성한 진한국(辰韓國) 사로(斯盧) 6촌의 하나인 자산진지촌(觜山珍支村)[3] 촌장인 지백호공(智伯虎公)를 시조로 받들고 있다."고 하였고, 또 "지백호공이 기원전 117년(원수 6년)[4] 경주 화산(花山)에 강림하여 부족국가이던 사로의 여섯 고을 중 자산진지촌을 다스렸으며, 그 뒤 서기전 69년 3월 초하루 다른 다섯 촌장과 함께 자제들을 거느리고 알천(閼川) 언덕 위에 모여 임금을 세울 것을 논의하다가 나정(蘿井) 곁에서 알에서 태어난 아이인 혁거세(赫居世)를 얻어 기원전 57년 거서간(居西干)으로 추대하였다"라고 한다.<경주정씨대관>의 이 이야기는 고려 중기 이후 저술된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경지> 등에 나오는 '신라건국설화'와 '진신전기'(縉紳傳記)를 인용한 것이다.
경주 정씨뿐만 아니라 동래, 영일, 연일, 온양, 하동, 진주 등 30여 성씨도 그들 씨족의 시조로 지백호를 추대하고 성을 정(鄭)으로 하였다. 이는 제일 먼저 경주 정씨가 성을 가지면서 지백호를 시조로 옹립했고, 그 뒤에 영일, 동래, 온양 등의 본관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처음에는 모두 자산진지촌(경주 지역)과 그 인근에 살면서 그 지역 촌장인 지백호를 시조로 삼으며 살다가, 시간이 흐르며 지역을 옮겨 다른 곳에 살게 되면서 각자 자기 지역을 본관으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이들 본관은 모두 경주 정씨에서 분파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유래
지백호(智伯虎)는 고조선 유민으로 삼한시대 진한(辰韓)의 사로국(斯盧國) 6촌장(六村長) 가운데 한 사람이며, 신라 개국공신 6명 가운데 유일하게 묘가 발견된 인물로 우리나라 정씨(鄭氏)의 도시조(都始祖)다 라고 한다.그러면 경주정씨가 '성씨(姓氏)'를 가진 것은 언제일까? 역시 <경주정씨대관>에 보면, "서기 32년(유리 이사금 9) 봄에 그의 현손 대(玄孫代; 東沖)에 와서 사로 6촌의 촌장들과 사성(賜姓)할 때, 자산진지촌(觜山珍支村)을 본피부(本彼部)로 개칭하면서 낙랑후(樂浪侯) 봉훈(封勳)과 함께 정씨(鄭氏)로 사성(賜姓)되었다."라고 하였다. '동충(東沖)'은 시조 지백호의 현손이며 대장군 빈(彬)의 아들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사성제도가 씨족사회에서 부족사회로 넘어가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씨가 처음으로 성을 가지게 된 때는 신라 유리왕 9년, 서기 32년이다.
그 뒤 지백호(智伯虎)는 신라를 세운 공훈으로 서기 516년(법흥왕 3)에 문화(文和)로 시호(諡號)를 받았고, 이어 656년(태종무열왕 3)에 감문왕(甘文王)으로 추봉되었다.[5] 그 뒤 시조를 지백호로 추대하고 성을 정씨, 본관을 경주로 한 경주 정씨는 고려 때 문정공(文正公) 매포(梅圃) 정진후(鄭珍厚)를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현재 문헌공파(文獻公派), 양경공파(良景公派), 월성위파(月城尉派), 평장공파(平章公派) 등 4파로 분파되어 있으며, 시조를 지백호로 하고 성을 정씨로 하였으나 본관이 다른 정씨로는 동래(東萊), 온양(溫陽), 연일(延日), 영일(迎日), 진주(晉州), 하동(河東), 초계(草溪), 청주, 해주, 나주, 봉화 등 30여 본관이 우리나라 모든 정씨의 대종(大宗)을 이루고 있다.
현재 경주정씨 중앙종친회에서는 1996년 지금의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백운대를 지백호의 강림지라 여기고 이곳에 강림기적비를 세워 경주정씨의 발원지로 정하였으며, 또한 예로부터 전해내려오는 그곳의 산소를 지백호 시조 산소라 보고 주위에 추경사(追敬祠)를 짓고, 매년 음력 10월 1일 시제를 모시고 있다.
4. 항렬
문헌공파 | 양경공파 | 월성위공파 | 평장공파 | |
66세 | 영(永)○ | ○해(海) | ○식植 | ○순淳 / ○영永 |
67세 | ○조(朝) | 동(東)○ | 헌憲○ | 상相○ / 조朝○ |
68세 | 병(炳)○ | ○훈(薰) | ○수壽 | ○열烈 / ○병炳 |
69세 | ○균(均) | 지(址)○ | 용鎔○ | 재載○ / 균均○ |
70세 | 종(鍾)○ | ○호(鎬) | ○준準 | ○흠欽 / ○용鎔 |
71세 | ○수(洙) | 택(澤)○ | 병秉○ | 수洙○ / 홍洪○ |
72세 | 낙(樂)○ | ○(稙)직 | ○환煥 | ○식植 / ○주柱 |
73세 | ○섭(燮) | 원(愿)○ | ○훈薰 | 연然○ / 훈薰○ |
74세 | 경(坰)○ | ○채(埰) | 규奎○ | ○봉琫 |
75세 | ○옥(鈺) | 일(鎰)○ | ○석錫 | 호鎬○ / 용鏞○ |
76세 | 순(淳)○ | ○구(求) | 문汶○ | |
77세 | ○권(權) | 락(樂)○ | ||
78세 | 경(炅)○ | ○욱(煜) | ||
79세 | ○기(基) | 준(埈)○ |
5. 인물
5.1. 고려
5.2. 조선
- 정희계(鄭熙啓) - 고려 문하평리 / 조선 개국공신 1등, 찬성사[8], 계림부원군, 양경공. 정휘의 아들.
- 정지년(鄭知年) - 증 좌찬성, 계림군.
- 정효상(鄭孝常) - 이조판서, 계림군, 제안공. 정지년의 아들.
- 혜빈 정씨(惠嬪 鄭氏) - 인종의 후궁.
- 정발(鄭撥) - 부산첨사 증 좌찬성, 충장공.
- 정승복(鄭承復) - 함흥판관 증 병조참판. 정지년의 현손.
5.3. 대한민국
- 정간용 - 제7-8대 국회의원.
- 정규헌 - 제8·11대 국회의원.
- 정민태 - 현대 유니콘스 투수, 삼성 라이온즈 1군 투수코치.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1998·1999·2003).
- 정승(鄭勝) - 초대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정연훈 - 가수, 작곡가, 프로그래머.
- 정영주 - 여배우, 뮤지컬 여배우.
- 정옥임 - 제18대 국회의원.
- 정이안(Hearts2Hearts) - 아이돌.
- 정인용 - 제21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 정정훈 - 제11·13대 국회의원.
- 정태영 - 제14대 국회의원.
- 정혜린(tripleS) - 아이돌.
- 정희채 - 제10·11대 국회의원. 초대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부산대학교 교수. 제31대 문교부 차관.
[1] 지백호와 정진후 사이의 계대파악 손실로 인해, 경주 정씨에선 정진후를 1세조로 삼고있다.[2] 현재는 경주·순창 설씨이다.[3] 후에 6촌을 6부로 개편하면서 본피부(本彼部)가 된다.[4] 원수(元狩)는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연호 중 하나로 기원전 222년부터 기원전 117년까지 사용됐다.[5] 사로 6촌장들이 시호를 얻었다거나 무열왕 때 왕으로 추봉되었다거나 하는 기록은 당대에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 거짓으로, 후대에 조상을 미화하기 위해 지어낸 것이다.[6] 족보에 의하면 정당문학 병부상서 겸 군기시윤, 평장사 등을 지냈다고 한다.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다.[7]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으나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있다.[8] 실록에 참찬문하부사를 지낸 기록이 있는데, 실록 졸기에는 찬성사로 칭하고 있다. 찬성사(찬성; 종1품)가 참찬문하부사(참찬; 정2품)보다 상위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