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0:23:42

강수진(발레리나)


파일:보관문화훈장 약장.png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1980
김정구
가수
1981
김충실[1]
무용가
1982
박시춘
작곡가
1984
이경순
영화인
1984
야나기 무네요시
미술사학자
1988
이재옥
바이올리니스트
1988
임옥인
소설가
1988
정비석
소설가
1992
김월하
국악인
1992
박경리
소설가
1992
안비취
국악인
1992
이진무
화가
1992
임정수
음반제작자
1992
황금찬
시인
1992
황정순
영화배우
1997
김명자[2]
배우
1999
강수진
발레리나
1999
이미자
가수
1999
조방원
미술가
2001
강숙자[3]
연극연출가
2001
권오일
연출가
2001
김종래
만화가
2001
윤형두
출판인
2001
이성천
국악인
2001
이우석
영화인
2001
임원식
영화인
2001
정철호
국악인
2002
김광남
문학평론가
2002
김성환
만화가
2002
김최연[4]
시나리오 작가
2002
박수길
성악가
2002
이창민[5]
가수
2002
손일근
언론인
2002
안휘준
미술사학자
2002
이순재
배우
2002
이창동
영화감독
2003
강효
바이올리니스트
2003
길창덕
만화가
2003
김동현
공예가
2003
김병익
문학평론가
2003
박외선
무용가
2003
손석우
작곡가
2003
심우성
민속학자
2003
전홍구[6]
배우
2003
조용필
가수
2003
허만하
시인
2003
황적인
법학자
2004
김기덕
영화감독
2004
김문환
연극평론가
2004
김주연
문학평론가
2004
김학자
무용가
2004
박기정
만화가
2004
박찬욱
영화감독
2004
이수덕
서예가
2004
임세순[7]
시인
2004
임영웅
연극연출가
2004
정영화
고고학자
2005
김병모
고고학자
2005
김남진[8]
가수
2005
안성기
배우
2005
윤용하†
작곡가
2005
이복형
박물관장
2005
이봉순
이화여대도서관장
2005
이중한
-2언론인
2005
임종국
문학평론가
2005
헬렌 포스터 스노우†
저널리스트
2005
황용엽
화가
2006
김우옥
예술감독
2006
리재철
한국도서관협회장
2006
박정자[9]
국악인
2006
백도웅
종교인
2006
변장호
영화감독
2006
윤석우
건축가
2006
이만희†
문화원장
2006
이흥구
무용가
2006
정진규
시인
2007
김청만
국악인
2007
박정자
연극인
2007
육병일†
점자도서관장
2007
이건용
작곡가
2007
이두호
만화가
2007
이형표
영화감독
2007
임석정
문화재연구원
2007
표재순
연출가
2008
권용태
시인
2008
김봉남[10]
패션디자이너
2008
김형표[11]
무용가
2008
김월라
의상디자이너
2008
이만방
작곡가
2008
이종수
도예가
2008
정재국
국악인
2008
차일혁
경찰, 6.25전쟁기 화엄사 소각 명령 거부
2010
고은정
성우
2010
신순기[12]
배우
2010
임희춘
희극인
2010
최승희
고문서학자
2011
신중현
가수
2011
오승룡
성우
2011
유호
방송작가
2011
이호재
연극배우
2011
홍숙호
화가
2011
배방원
무용가
2012
나경자[13]
배우
2012
송승환
배우
2012
송창식
가수
2013
봉준호
영화감독
2013
김정수
드라마 작가
2013
이혜경
성우
2014
김수일
성우
2014
명국환
가수
2014
신문수
만화가
2014
최은희
배우
2015
정태호[14]
가수
2015
노명자[15]
디자이너
2015
이희우
방송작가
2016
배상태
작곡가
2016
임충희[16]
방송작가
2017
이금림
방송작가
2017
김지석†
부산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2017
이경규
희극인
2017
김영애
배우
2018
김영옥
배우
2018
김옥영
작가
2018
김정택
작곡가
2019
김홍탁
가수
2019
이태현
제작자
2020
임하룡
희극인
2020
권혁빈
기업인
2020
송도순
방송인, 성우
2020
송지나
드라마 작가
2021
박인환
배우
2021
송재호
배우
2021
노희경
드라마 작가
2022
허영만
만화가
2022
박진숙
극작가
2022
송강호
배우
2023
이환경
드라마 작가
2024
김창완
가수

[1] 예명 김백봉[2] 예명 김지미[3] 예명 강유정[4] 필명 김지헌[5] 예명 백년설[6] 예명 황해[7] 필명 임영조[8] 예명 남진[9] 예명 박송희[10] 예명 앙드레 김[11] 예명 김진걸[12] 예명 신구[13] 예명 나문희[14] 예명 남일해[15] 예명 노라노[16] 예명 임충
}}}}}}}}} ||
<colbgcolor=#635E5D,#010101><colcolor=#fff> 국립발레단 단장 겸 예술감독
강수진
姜秀珍 | Kang Suejin
파일:강수진(발레리나) 프로필.jpg
출생 1967년 4월 24일 ([age(1967-04-24)]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재임기간 제7대 국립발레단 단장 겸 예술감독
2014년 2월 4일 ~ 현직
가족 외조부 구본웅
아버지 강재수[1], 어머니 구근모
언니 강여진, 여동생 강혜진[2], 남동생
배우자 툰치 쇼크맨[3]
학력 경희국민학교 (졸업)
선화예술학교 (무용과 / 졸업)
선화예술고등학교 (무용과)
아카데미 프린세스 그레이스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무용학 / 명예박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수상4. 여담5. 방송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발레리나. 대한민국 발레계의 대표격인 인물로, 현재는 국립발레단 단장 겸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생애

리틀엔젤스예술단 출신으로, 언니를 따라갔다가 뽑혔다고 한다.

1979년 한국무용을 전공으로 선화예술중학교에 입학했다. 1학년 때부터 발레과에 사람이 없어서 지원자를 받는 것을 보고 발레과에 지원했고, 골격 테스트를 통과한 후 발레를 전공하게 되었다. 1982년 선화예술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 모나코의 아카데미 프린세스 그레이스 교장 마리카 베소브라소바의 눈에 띄어 모나코로 유학을 갔으며 1985년 아카데미 프린세스 그레이스를 졸업했다. 아카데미 프린세스 그레이스 재학 중 1985년 한국인 최초로 로잔 콩쿨에 입상했다.

1986년에 독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에 아시아인 중 최초로 입단했으며 1994년에 솔리스트, 1997년에 수석무용수가 되었다. 2016년 발레단에서 매년 있는 단원평가와 승진심사에서 면제되어 원할 때까지 수석무용수 자격으로 무대에 오를 수 있는 아시아 최초의 종신 단원 자격으로서 은퇴했다.

1999년, 까멜리아 레이디의 마르그리트 역으로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이라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Benois de la Danse) 최우수 여성무용수상 상을 받았으며 이는 한국인 최초였다.[4] 2007년에는 아시아인 최초로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로부터 캄머탠처린(궁중 무용가)으로 선정되었다.[5] 2014년에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공로훈장'을 수훈했다.

2014년부터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의 제7대 단장으로 발탁되었다. 이후 2015년 11월에 예술의 전당에서 공연 예브게니 오네긴을 펼친 것으로 대한민국 무대에서의 활동을 끝냈고, 2016년 7월에 독일에서의 공연 예브게니 오네긴을 마지막으로 발레리나 활동에서 은퇴했다.

임기는 3년이었으나 2017년과 2020년, 2023년에 연임했다. 국립 예술단체 수장이 네 차례 연임하는 것은 최초이다. #

3. 수상

4. 여담

이 사진은 ‘발이 예쁜 발레리나는 노력하지 않았다’라는 오해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발의 형태가 토슈즈를 신기에 적합하다면[6], 연습을 많이 했더라도 강수진처럼 발이 변하지 않았을 수 있다. 강수진의 경우 발이 발레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슈즈 제조법이 발전되지 못했던 시대에 활동했다.[7]

5. 방송

<rowcolor=#fff> 방영 연도 방송사 제목 비고
1996년 12월 3일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TV데이트
2001년 2월 12일 [[KBS 1TV|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1TV
]]
한민족 리포트
2003년 2월 9일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TV는 사랑을 싣고 [8]
2008년 11월 12일~11월 19일 [[MBC TV|
파일:MBC 로고(2005-2011).svg파일:MBC 로고(2005-2011) 화이트.svg
MBC
]]
무릎팍 도사 게스트
2010년 4월 9일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좋은 아침 [9]
2012년 6월 12일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김승우의 승승장구 [10]
2013년 3월 8일~22일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땡큐
2014년 4월 20일 [[EBS 1TV|
파일:EBS 로고.svg파일:E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EBS
]]

만나고 싶습니다 [11]
2014년 6월 10일 [[KBS 1TV|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1TV
]]
다큐 공감
2014년 6월 11일 [[MBC TV|
파일:MBC 로고(2012-2023).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라디오 스타 게스트
2015년 10월 26일~11월 10일 [[JTBC|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JTBC
]]
냉장고를 부탁해 냉장고 의뢰인
2016년 2월 24일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영재 발굴단 멘토[12]
2016년 4월 19일 [[EBS 1TV|
파일:EBS 로고.svg파일:E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EBS
]]

EBS 초대석
2017년 4월 12일 [[KBS 1TV|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1TV
]]
문화의 향기 문화자화상
2017년 9월 18일 [[JTBC|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JTBC
]]
비정상회담 은퇴와 제 2의 인생
2018년 10월 20일 [[KBS 2TV|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KBS 2TV
]]
대화의 희열 게스트
2022년 1월 24일 [[EBS 1TV|
파일:EBS 1TV 로고(2018-2023).svg파일:EBS 1TV 로고 화이트.svg
EBS 1TV
]]
지식채널e 신년 특집
2023년 3월 12일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13]

[1] 2024년 4월 27일, 87세로 사망했다. #[2] 언니와 여동생은 모두 하피스트로, 강여진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네덜란드 왕립음악원을 졸업했으며 강혜진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음악대학에서 연주학 석사학위를, 프랑크푸르트 국립음악대학에서 전문연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3] 1996년까지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튀르키예인 남자 무용수였으며, 2002년 1월 강수진과 결혼했다. 현재는 국립발레단의 무보수 객원으로 근무하며 강수진의 활동을 돕고있다.[4] 후에 2006년 국립발레단의 김주원 발레리나, 2016년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김기민 발레리노, 2018년에 프랑스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박세은 발레리나, 2023년에 대한민국 유니버설발레단의 강미선 발레리나가 수상했다.[5]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법을 어겨도 봐주는 특권이다. 이론적으로는 살인을 저질러도 정당한 사유가 있을 시 면책특권을 누릴 수 있다. 단, 강수진은 독일인이 아니기에 엄밀히 따지면 주정부에서 내려준 명예 개념이다.[6] 예시로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발가락이 비슷할수록 토슈즈를 신기에 적합하다.[7] 과거에는 발힘으로 나무 바닥을 꺾어야 했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다양한 강도의 토슈즈가 개발되었다. 또한 강수진도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에서 솔리스트로 승급하며 무료로 항상 최상의 토슈즈로 교체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서 발 상태는 나아졌다고 한다.[8] 선화예술중학교 시절 은사였던 캐서린과 재회했다.[9] 남편 툰치 쇼크맨과 함께 출연하였다.[10] 아버지 강재수와 함께 출연하였다.[11] 김주원 발레리나가 만나고 싶은 사람이 강수진임을 밝혀 만남이 이루어졌다.[12] 발레리나를 꿈꾸는 김로희 학생의 멘토로 출연했다.[13] 왕지원-박종석 부부가 출연한 편으로,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박종석의 솔로 파트를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