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373a3c> | <colbgcolor=#fff,#2d2f34>국립국악고등학교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 덕원예술고등학교 ·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2] · 서울예술고등학교 · 선화예술고등학교 |
| 부산예술고등학교 · 브니엘예술고등학교 ·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 ||
| 경북예술고등학교 | ||
| 인천예술고등학교 | ||
| 광주예술고등학교 | ||
| 세종예술고등학교 | ||
| 경기예술고등학교 · 계원예술고등학교 · 고양예술고등학교 · 안양예술고등학교 | ||
| 강원예술고등학교 | ||
| 충북예술고등학교 | ||
|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 · 충남예술고등학교 | ||
| 전주예술고등학교 | ||
| 전남예술고등학교 · 진도국악고등학교 · 한국창의예술고등학교 | ||
| 경남예술고등학교 |
}}}}}} ||
|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26348b>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건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광남고등학교 | 광양고등학교 | |||
| 대원고등학교 | 대원여자고등학교 | ▣ 대원외국어고등학교 | |||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가람고등학교 | ▣ 선화예술고등학교 | 자양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선화예술고등학교 仙和藝術高等學校 Sunhwa Arts High School | |
| | |
| <colbgcolor=#275CAB> 교훈 | 정직, 친절, 순결, 봉사 |
| 개교 | 1977년 3월 4일 ([age(1977-03-04)]주년) |
| 유형 | 예술고등학교 |
| 성별 | 남녀 공학 |
| 형태 | 사립학교 |
| 학교법인 | 선학학원 |
| 교장 | 이두환 |
| 교화 | 장미 |
| 교목 | 느티나무 |
| 학생 수 | 1,078명[기준] |
| 교직원 수 | 51명[기준] |
| 관할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천호대로 664 (능동) |
| 홈페이지 | |
| <nopad> | |
1. 개요
선화예술고등학교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천호대로에 위치한 고등학교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가정연합·구 통일교) 계열의 학교법인인 선학학원 소속의 예술고등학교이다.인근에는 서울어린이대공원, 아차산역 등이 있다.
2. 학교 연혁
1977년 개교. 설립자는 문선명.선화예술고등학교의 역사는 리틀엔젤스, 선화예술중학교와 연관이 있다.
- 1962년 리틀엔젤스 창설
- 1969년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초청 특별공연으로 해외 공연을 시작. 국가에서 그 공로를 인정하여 1974년 어린이 대공원이 개원할 때 학교부지를 하사
- 1974년 선화예술중학교 개교, 초대 박보희 교장[3]이 취임. 리틀엔젤스가 진학할 학교였기 때문에 개교 시에는 음악전공과 무용전공 학생을 선발
- 1975년 미술전공도 추가로 선발하였다.
- 1975년 리틀엔젤스 예술센터 준공, 교사 건물 및 예능 실기실 기공 [4]
- 선화예중 학생들의 첫 졸업을 앞두고, 1976년 학교법인 선학학원 설립, 초대 박보희 이사장 취임.
- 1976년 선화예술고등학교 설립인가
- 1977년 선화예술고등학교 개교( 미술 60, 무용60, 음악 120 4개 학급 120명)
- 1980년 미술 실기실(솔거관)준공
- 1981년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준공 개관(현재 유니버설아트센터)
- 1983년 음악 실기실 증축 완공
- 1985년 솔거관 층축 준공 (음악 도서실 선화 연주홀 준공)
- 1992년 예술계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운영
- 2003년 자율학교 지정 운영
- 2015년 예천미지 - 천상의 예술로 세상을 아름답게 와 3C(Challenge, Create, Communicate) 실천 사항 강조
- 2018년 운동장 지하 공사 마무리되어 실내 체육관, 주차장, 실기실, 무용연습실, 다목적 홀 확보
3. 학교 생활
3.1. 일반
건물은 교사동, 예술동(본관), 솔거 1관, 솔거 2관, 급식동, 선학관[5]으로 구성되어있다.3.2. 학부
- 미술부 - 동양화, 서양화, 조소, 디자인 전공이 있다. 1학년은 학기별로 돌아가면서 두 전공씩 배우고 2학년으로 올라갈 때 전공을 정한다.[6]
- 무용부 -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전공이 있으며 전공을 정해서 시험을 보고 입학한다.
- 음악부 - 크게 피아노, 성악, 현악, 관악, 국악, 작곡으로 나뉘며, 여기서 엄청나게 많은 전공으로 나눠진다. 2학년 동안만 하는 실내악, 학생 한 명당 3학년 내내 1년에 두 번 향상 연주회가 있고 현악, 관악 전공은 1학년 때 각자 합주를 하다 2학년 때 뭉쳐 정기연주회를 가지며 이 때 관악 일부 전공은 1학년도 같이 한다. 피아노 전공은 포핸즈[7] 수업과 반주법 수업을 작곡 전공 학생들과 하고 성악은 합창을 한다.
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4.1.1. 구의2동주민센터입구
4.1.2.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4.2. 철도
5.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JinE
- 강경호 (무용과, 발레)
- 강수진 (무용과, 발레)
- 감우성 (미술과)
- 길병민 (음악과, 성악)
- 김나영 (미술과)
- 김민지 (미술과)
- 김상희(1975)
- 김영미
- 김주리 (무용과, 발레)
- 김주택 (음악과, 성악)
- 김지혜 (무용과, 발레) - 걸그룹 S.I.S의 전 멤버
- 김청
- 김태한 (음악과, 성악)
- 김현정 (미술과)
- 김혜경 (음악과)
- 권서경 (음악과, 성악)
- 림팍 (음악과, 성악)
- 노윤서 (미술과)
- 도지원 (무용과, 발레)
- 문채원 (미술과)
- 문효진 (음악과)
- 문훈숙 (무용과, 발레)
- 민활란
- 박서정
- 박소현 (무용과, 발레)
- 서우 (무용과, 한국무용)
- 손지수 (음악과, 성악)
- 수담 (무용과, 한국무용)
- 신민권 (무용과, 발레)
- 신은미
- 양정원 (무용과, 발레)
- 양진성 (미술과)
- 연어장(인플루언서)
- 오스틴킴 (음악과, 성악)
- 오은철 (음악과, 작곡)
- 원재연 (음악과, 피아노)
- 유경아 (탤런트)
- 유정연 (음악과, 작곡)
- 이경준 (음악과, 첼로)
- 이다현(1997)
- 이도은
- 이범재 (음악과, 피아노)
- 이아현 (음악과, 성악)
- 이예원 (무용과, 발레)
- 이유비 (음악과, 성악)
- 이현준 (음악과, 관악)
- 임선우 (무용과, 발레)
- 전민철 (무용과, 발레)
- 정선린 (미술과) - 유튜버
- 정순주 (무용과, 한국무용)
- 조규찬 (미술과)
- 조섭 (미술과)
- 조수미 (음악과, 성악)
- 조승희 (무용과, 현대무용)
- 지연 (무용과, 발레)[8] - 걸그룹 트리플에스 멤버
- 초 (미술과) - 만화가
- 최승윤(1989)(무용과)- 배우
- 최지이 (음악과, 성악)
- 최필립 (무용과, 현대무용)
- 큐영 (미술과, 디자인)
- 황정음 (무용과, 한국무용)
- 현채희
- 홍륜희 (음악과, 성악)
6.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
6.1. 2017년 학생 성폭행 예고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베저장소/논란 및 사건 사고/2017~2018년#s-1.1|1.1]]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베저장소/논란 및 사건 사고/2017~2018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기숙사
여학생은 선화 생활관 본관[9]을 사용하며, 현재 남학생 별관 공사[10]가 진행 중이다. 지방 출신 남학생들은 기숙사 완공 전까지는 학교 근처 오피스텔과 원룸을 사용하면 된다.8.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강남구 국립국악고등학교 | 금천구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
| 강서구 덕원예술고등학교 | 구로구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 |
| 종로구 서울예술고등학교 | 광진구 선화예술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학교법인 선학학원 · 청심학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colbgcolor=#0476bc><colcolor=#fff> 유아・초등교육 | 선화유치원 ・ 경복초등학교 |
| 중등교육 | 선정중학교 ・ 선정고등학교 ・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 선화예술중학교 ・ 선화예술고등학교 ・ 청심국제중고등학교 | |
| 고등교육 | 선문대학교 ・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 |
| 산하 기관 | 청심국제청소년수련원 | }}}}}}}}} |
[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3] '이문은 세계로 통한다'와 '마음이 고와야 예술이 곱다'는 선화인이면 다 알고 있는 모토이다. 선화예술학교 초대 교장이자 선화학원 초대 이사장인 박보희 총재가 한 말이다.[4] 입학식 당시에는 건물 준공이 안되어 입학시험 볼 때 어려움이 많았음이 초기 교지의 중학교 교감의 글에 있다.[5] 지하에 건립되었다.[6] #[7] 두 명이 팀을 만들어 한 곡을 치는 수업[8] 특이하게 무용과에서 발레과로 옳기기 위해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갔다가 발레과로 편입되었다.[9] 2017년부터 운영 시작[10] 2022년부터 시작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