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00:48:50

서울 버스 광진03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광진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광진구 마을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01 02 03 04 05
파일:서울 광진03번 현대차량.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구의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광진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광진03 노선도.png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동(대원여자고등학교앞)
[도착]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동(구의교통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테크노마트앞.강변역)
종점
첫차 05:55 기점
첫차 06:34
막차 23:15 막차 23:40
평일배차 8~13분 주말배차 11~15분
운수사명 구의교통 인가대수 9대[1]
노선 ( 대원여자고등학교앞 →/ 구의교통차고지 ← 대원고교앞 ← 용암사입구[2] ← 대원외고앞 ← ) - 구.새마을금고 - 신성시장입구 - 하나약국 - 영화사입구 - 아차산역사거리 - 구의사거리 - 광진구청 - 구의역 - 테크노마트앞.강변역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파일:서울-구의교통 광진03.png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광진03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9,199명 -
2014년 9,041명 ▽ 158
2015년 8,892명 ▽ 149
2016년 8,474명 ▽ 418
2017년 8,226명 ▽ 248
2018년 8,395명 △ 169
2019년 8,563명 △ 168
2020년 6,056명 ▽ 2,507
2021년 5,430명 ▽ 626
2022년 5,749명 △ 319
2023년 5,605명 ▽ 144
2024년 6,146명 △ 54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7대 운행.[2] 중곡역에서 도보 3분 거리이다.[3] 현재 광진05번과 남양주, 구리로 가는 버스들이 정차하는 그 정류장. 현 A섹션.[4] '짱박기'와 연관이 깊은 바로 그 정류장이다. 다만 짱박기로 악명 높았던 버스들은 전부 경기도 버스들이었다.[5] 2023년 기준으로는, 거의 모든 차량이 차를 돌린 후 시내버스 정류소에서 하차시켜준다.[6] 보통 광진04번과 붙어서 오거나 2~3분 차이로 비슷하게 오기 때문에 먼저 오는 차량이 강변역까지의 승객을 담당하고 그 앞차를 놓친 승객들을 뒷차가 받아서 나가는 형태이다. 반대의 경우는 가는 방향이 달라서 붙어와도 어쩔수 없이 손님을 받아야 한다.[7] 최소 영화사, 아무리 늦어도 신성시장 근처까지는 혼잡도가 풀린다. 사실상 이 구간이 광진03번의 수요처.[8] 아차산역사거리 하차 후 도보[9] 용암사입구 하차 후 도보 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