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화권| | |
| 영토 분쟁 | 남중국해/영토 분쟁 | |
| 역사 | 쿨리, 싱가포르(주) | |
| 문화 | 중국어, 차이나타운 싱가포르, 한자문화권 | |
| 지리 | 넓은 의미로써의 중화권 | |
| 민족 | 화교(중국계 싱가포르인) | |
| '''[[대만| | ||
| 외교 | 대만-싱가포르 관계 | |
| 문화 | 싱가포르 영어, 싱가포르 간체자, 불아사, 차이나타운 싱가포르 | |
| '''[[중국| | ||
| 외교 | 중국-싱가포르 관계 | |
| '''[[홍콩| | ||
| 외교 | 싱가포르-홍콩 관계 | |
| 기타 | ||
| 반중(싱가포르), 중국/외교, 대만/외교, 싱가포르/외교, 중국/경제, 대만/경제, 싱가포르/경제 | }}}}}}}}} | |
| 싱가포르의 지역 중 하나인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에 위치한 거대한 주상복합 상가. 사진에서 가장 높고 녹색과 노란색으로 도색된 건물이 바로 이곳이다. |
1. 개요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에 위치한 주상복합 건물2. 역사
1967년 두명의 중국계 싱가포르인 건축가 윌리엄 림(William Lim)과 태이 켕 순(Tay Kheng Soon)에 의해 계획된 싱가포르 거대 규모 중 하나인 주상복합 건물. 처음에는 상가 건물만 1970년에 완공되었으며, 상가 건물 윗쪽 건물인 주택 아파트는 1973년에 완공되었다. 출처사진을 자세히 보면 건물 앞쪽에 노란색으로 도색된 부분에 한자로 "珍珠坊(진주방)"[1]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영어로 "Pearl Square", 즉 우리말로 다시 해석하자면 '진주 스퀘어 주상복합 쇼핑몰'정도로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한자로 적힌 것과 다르게 이 문서의 이름도 그렇고 실제 건물의 영문 명칭이 People's Park Complex인데, 이는 바로 건물이 위치한 곳이 바로 '펄 언덕(Pearl Hill)'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흔히 싱가포르하면 많이 떠오르는 것이 바로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과 나란히 위치한 고층 건물이 많이 세워진 마리나 베이(Marina Bay)를 떠오르지만 싱가포르에 관심이 많거나 한번쯤 관광을 목적으로 다녀봤다면 충분히 알 수 있을 곳이며, 의외로 이 주변에 한국 식당도 제법 많아서 우연히 싱가포르를 여행왔다면 '최소 한번쯤'은 보게 될 건물이다.[2]
3. 특징 및 여담
- 무려 103 미터의 고층 건물이며, 주민 인구수도 제법 많다. 상가 건물 꼭대기에는 "르팍(Lepak)"[3] 이라는 술집도 있다.
- 이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완공된지 오래돼서 그런지 상당히 낡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역시나 화재 사고도 2번이나 일어난 전적이 있으며(2011년쯤 추정), 승강기도 수차례 고장나서 아파트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이 가능한 승강기는 단 1대밖에 없을 정도라고 한다.[4]
- 사진을 보면 본 문서에서 다루는 건물 뒤에 우측으로 하얀색으로 칠해진 주상복합 건물이 또 하나 있는 것을 알수 있는데, 이 건물은 "People's Park Centre/전주다샤(珍珠大厦(진주대하))"로 본 건물과 비슷한 시기에 완공되었다. 따라서 본 건물 못지않게 역사가 긴 편에 속한다.[6] 물론 이 건물의 사무동에는 로펌, 통번역 업체 등 한국 내에서도 넘사벽으로 들리는 업종들이 대거 입주했는데 차이나타운에 싱가포르 하급심 법원(Singapore State Court) 및 가정법원+ 샤리아 가정법원(Family Court & Sariyah Family Court)이 있기 때문이다.[7]
- 과거에는 저렴한 여행자용 게스트하우스도 아파트에 있었는데 이 아파트 자체가 사실 밖은 허름해도 안은 꽤 괜찮아서 홍콩 충킹맨션의 끔찍한 상태에 비하면 굉장히 호평받은 곳이다. 지금도 사회 초년생들 및 외국인 이민자 등을 위한 원룸, 투룸 등이 이 아파트에 있는데 시내치고 월세가 비싸지 않은 편이고 내부는 리노베이션을 지속하여 최신식이다. 상술한 엘리베이터가 좀 걸리적거린다.
4.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삼민주의 · 오권분립 · 당국 체제 · 행정원(조직) · 입법원 · 사법원 · 고시원 · 감찰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 국가원수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 총통(명단) | ||
| 기타 정치인 | 황싱 · 왕징웨이 · 후한민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대만-홍콩 관계 · 미국-대만 관계( |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위구분표준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 [ 역사 ]
- ||<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fe0000><width=9999><colcolor=#fff> 역사 ||<width=85%>역사 전반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대외 전쟁 및 분쟁 ||
사건 국공내전 · 제1대 중화민국 정부총통 선거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 사회 · 경제 ]
- ||<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fe0000><width=9999><colcolor=#fff> 경제 ||<width=85%>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fe0000><width=9999><colcolor=#fff> 문화 전반 ||<width=85%>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타이베이 영화제) · 드라마(금종장) · 음악(금곡장)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대만 요리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차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바둑 · 대만마작 · 만만디 · 한시 · 무협물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객가어병음방안 · 화어문능력시험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화권| | |
| 영토 분쟁 | 남중국해/영토 분쟁 | |
| 역사 | 쿨리, 싱가포르(주) | |
| 문화 | 중국어, 차이나타운 싱가포르, 한자문화권 | |
| 지리 | 넓은 의미로써의 중화권 | |
| 민족 | 화교(중국계 싱가포르인) | |
| '''[[대만| | ||
| 외교 | 대만-싱가포르 관계 | |
| 문화 | 싱가포르 영어, 싱가포르 간체자, 불아사, 차이나타운 싱가포르 | |
| '''[[중국| | ||
| 외교 | 중국-싱가포르 관계 | |
| '''[[홍콩| | ||
| 외교 | 싱가포르-홍콩 관계 | |
| 기타 | ||
| 반중(싱가포르), 중국/외교, 대만/외교, 싱가포르/외교, 중국/경제, 대만/경제, 싱가포르/경제 | }}}}}}}}} | |
• 차이나타운역
• 차이나타운 싱가포르
• 대만-싱가포르 관계
•싱가포르 간체자
•불아사
[1] 표준 중국어로는 전주팡, 광동어로는 짠추퐁이다.[2] 싱가포르 차이나타운 시장을 돌아다녀 보면 꼭대기에 뭔가 높고 아파트 같이 생긴 건물을 보셨다면 바로 이곳이다.[3] 말레이어로 "쉼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4] 일부 주민의 회상으로는 당시 화재가 발생했을때는 승강기 대신 오직 계단만 사용하여 집으로 이동 했다고 한다.[5] 과거 주 싱가포르 북한 대사관이 있던 곳으로 유명했는데 사실 현지인들에게는 그것보다는 태국인 이주민들이 집합한 리틀 타일랜드(Little Thailand)라고 불린 곳이다. 2023년 재개발이 확정되어 지금은 전부 퇴거조치된 지 오래로 전기와 수도가 끊기고 철거를 준비 중인 건물만 남아있다. 니콜 하이웨이 워터프론트 재개발의 일환으로 재개발될 예정이다.[6] 거기다 싱가포르의 역사가 무려 60년도 채 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7] 샤리아 가정법원은 싱가포르인 무슬림(주로 말레이인)들의 결혼, 이혼 등에 대하여 취급하는 곳인데 싱가포르 내 무슬림들은 결혼, 이혼 등은 이슬람 율법을 따르는 경우도 있어서 별도의 샤리아 가정법원이 있다. 물론 나머지 민법은 모두 영미법계답게 영미법의 보통법(Common Law)에 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