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8:08:26

영지주의

Gnosticism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영지주의/기독교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중세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이단설 영지주의 · 마르키온주의 · 몬타누스주의 · 마니교 · 네스토리우스주의 · 아리우스주의 · 펠라기우스주의
알렉산드리아 학파
클레멘스 · 오리게네스 · 아타나시오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아프리카 교부
테르툴리아누스 ·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 · 키프리아누스 · 락탄티우스 · 성 제노
라틴 교부 암브로시우스 · 보에티우스 · 히에로니무스
콘스탄티노플 교부 그레고리오스 · 크리소스토모
사막 교부 안토니오 아빠스 · 대 파코미우스
아시아 교부 에프렘 ·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아우구스티누스
신플라톤-신비주의 위 디오니시우스 · 프셀로스 · 피치노 · 뵈메
유대·이슬람 신학
수니파 사변신학(칼람)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 학파 · 마투리디 학파
이슬람 신플라톤주의 알 킨디 · 알 파라비 · 이븐 시나 · 이븐 투파일
이슬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이븐 루시드 · 이븐 바자
이슬람-유대 반사변신학 알가잘리 · 유다 하레위
이슬람-페르시아 신비주의 수흐와르디 · 물라 사드라
이슬람 인문주의 아부 하이얀 알 타위디 · 아부 술레이만 시지스타니
유대 사변신학 사디아 가온 · 다윗 이븐 메르완 알 무카마스
유대 신플라톤주의 이븐 가비롤 · 바히야 이븐 파쿠다
유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 마이모니데스 · 야콥 아나톨리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모세 벤 여호수아 · 엘리야 델 메디고 · 레위 벤 게르숀
스콜라 신학
카롤링거 르네상스 알퀸 · 피사의 페트로스 · 칸디두스
아벨라르 · 란프랑쿠스 · 에리우게나 · 롬바르두스 · 라드베르투스
초기 베네딕토 학파 루푸스 세르베투스 · 오셰르의 레미기우스 · 오세르의 아이모
초기 가톨릭 신비주의 생 빅토르의 위그 · 빙겐의 힐데가르드 ·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
안셀무스
스콜라 자연신학 바스의 아델라르
보편논쟁 실재론 · 온건 실재론 · 유명론
초기 프란치스코 학파
헤일스의 알렉산더 · 보나벤투라 · 로저 베이컨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아브라함 바르히야
세비야 번역학파 크레모나의 제라르 · 세비야의 요한
도미니코 학파
대 알베르투스 · 뫼르베케의 빌럼
토마스 아퀴나스
후기 프란치스코 학파
스코투스 · 페트루스 아우레올리 · 오컴
가브리엘 빌
후기 자연신학 작센의 알베르트 · 장 뷔리당 · 오트레쿠르의 니콜라스
저지대 신비주의 하더윅스 · 마그데부르크의 마흐틸드
독일 신비주의 에크하르트 · 요하네스 타울러 · 하인리히 수소 · 뤼스브로크의 요한
영국 신비주의 리처드 롤 · 월터 힐튼 · 노위치의 줄리안
근대 아우구스티누스 학파 토마스 브래드워딘 }}}}}}}}}}}}

1. 개요2. 문헌3. 이원론적 세계관4. 용어5. 그리스도교의 영지주의6. 영지주의 계통의 분파나 영향을 받은 사상들
6.1. 로마 제국6.2. 페르시아 계통6.3. 중세 유럽6.4. 그 외
7. 영지주의를 소재로 사용한 창작물

[clearfix]

1. 개요

[1], [2]
Gnosticism

헬레니즘 문화에서 동서양의 철학종교 사상이 조화되어 나타난 이원론적 사상 운동. 오래된 유대 신비주의교 카발라와 연관이 있으며, 이 사상 운동을 밑에 나오는 그리스도교 이단으로서의 영지주의와 구분하여 전영지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지주의의 골자는 신의 피조물인 영혼이 악마의 창조물인 물질(육체)에 갇혀 고통받고 있으므로, 구원에 대한 영적인 [3]을 통해서 탈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왠지 가상현실 감옥우주 음모론 같지만 놀랍게도 플라톤의 <파이돈>에도 나온다.[4]

롤란드 베인턴의 <세계교회사>에서는 영지주의를 이렇게 인식했다.
영지주의에는 매우 다양한 체계와 사상이 있지만, 영지주의 신화의 핵심은 이와 같았다. 즉, 궁극적인 것은 부정적인 점들로만 (알 수 없는 것, 이해할 수 없는 것, 셀 수 없는 것, 헤아릴 수 없는 것) 묘사할 수 있는 존재의 거대한 심연이다. 이 심연은 역동적이고, 그 충만(플레로마) 속에서 발출(emanation)에 의해 상이한 것들이 발생한다. 그 발출된 것 중 하나가 지혜(wisdom)이다. 지혜는 플레로마의 비밀을 알려는 과도한 호기심에 잔뜩 사로잡혀 있다가 고통 속에서 물질을 발산했는데, 이 물질이 데미우르고스(demiurge)의 도움으로 이 가시적인 세계로 조성되었다. 이것은 히브리인들의 창조관과 정 반대된다.

영지주의는 일관된 하나의 체계가 아니라, 당시 그리스도교가 퍼진 여러 지역에서 이원론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사람이 다르게 해석한 것을 모두 싸잡아 부르는 것이다. 그래서 영지주의 연구의 핵심은 '공통분모를 찾아 정리하는 것'이라고 단언하는 학자도 있을 정도. 영지주의의 분파는 매우 다양하고, 그 교설들이 서로 다르며 복잡하기 때문에 영지주의를 명확히 규명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영지주의자들의 교설을 말해 주는 본인들의 저서가 대부분 전해 오지 않고 보편교회(Ecclesia Catholica) 편에서 쓴 이단 반박 저서들에 인용되어 단편적으로 전해져 오기 때문에 그들의 교설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리스도교 이단으로서의 영지주의는 위의 영향을 받아 1세기까지는 운동차원으로 머물다가, 후술하는 발렌티누스의 영향으로 인해 체계화되어서 하나의 종파가 된 이단이다. 물론 영지주의 자체가 모두 이단이라는 건 아니다. 애초에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는 기원 자체가 다르며, 이단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원본(여기서는 그리스도교)에 기원을 둔 것만을 지칭한다. 다만, 그리스도교의 이단 종파 중에 영지주의가 혼합되거나 적어도 그 영향을 받아 생겨난 사례들이 많이 있다.

그리스도교 내에서는 교회의 설립시기부터 이를 경계하였는데, 신약성경, 특히 요한 복음서바오로의 서간들에는 영지주의의 그릇된 교설을 경계하는 구절들이 있다. 사도들이 활동하던 때는 영지주의가 그대로 사상운동 차원에만 머물러 있었지만, 2세기부터 교회 안에서 침투해 와서 개별조직화 되면서 신자들에게 큰 혼란을 초래하게 하였다.[5]

교부들은 일반적으로 사도행전 8장에 나오는 마술사 시몬 마구스(Simon Magus)를 영지주의 이단의 시초로 보고 있다.[6] 그 다음 도시테오스, 메난데로스, 바실리데스, 이시도로스, 발렌티누스, 프톨레마이오스, 헤라클라온, 바르데사네스, 하르모니오스, 테오도토스, 마르코스, 카르포크라테스, 에피파네스, 아펠레 등을 영지주의자들로 열거하고 있다.

그러나 고고학적 발굴로 영지주의에 관련된 문헌들이 계속 발견되어[7], 현대 학자들이 끈질기게 연구한 덕분에 그들의 이론체계를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되었다.

영지주의의 생성 과정과 역사를 규명하기는 쉽지 않지만,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알렉산드로스 대왕인도까지 원정하여 대제국을 세운 이후, 헬레니즘 문화는 동서양의 사상을 조화하여 찬란히 꽃 피웠다. 그리스 철학에 기원을 둔 영지주의 사상은 동방 종교들의 이원론을 흡수하여 독특한 구원관을 전개시켰다. 영지주의는 여러가지 종교와 다양한 철학에서 요소들을 끌어들여 혼합적인 사상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사실 플라톤 철학의 신과 인간의 중개사상, 피타고라스 학파 철학의 자연 신비사상, 스토아 학파 철학의 개인의 가치와 윤리성, 여기에 그리스 신화, 유대교, 페르시아 종교, 그리고 헬레니즘을 통해 불교 등의 요소까지 두루 가미되었다.

2. 문헌

3. 이원론적 세계관

영지주의는 조로아스터적 이원론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동양의 음양 사상을 조화적인 이원론이라 한다면, 영지주의의 세계관은 철저히 대립적이다. 유대교 에세네파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묵시 전승에서는 선악이 이원론적으로 대립한다. Adeptus Dion Fortune은 저서에서 '신과 악마의 '대립'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교회의 가르침은 어떠한 발전도 없다.' 하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다만 원류라고 볼 수 있는 카발라는 대립적 이원론이라고 보기에는 양쪽 힘의 균형의 중요성과 양측 모두의 성스러움을 곳곳에서 강조하고 있다.

영혼과 육체를 근원적으로 다르게 여기는 것은 지중해 주위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사고방식이며, 기본적으로 육체를 단순한 껍질로 보고, 영혼만이 진실된 것이라고 주장한 플라톤주의가 발전된 형태로 여러 지역의 특성과 사상에 융합되었다. 특히 물질을 악마의 창조물이나 그 부산물로 여기는 경우가 흔히 말하는 영지주의이다.

영지주의는 물질적인 현상계를 더러운 것으로 본다. 물질은 사악한 신(=악마)이 창조해 결함투성이로 만들어졌다는 것. 인간의 육체도 물질이므로 사악한 피조물이며, 이 더러운 육신 안에 영혼이 갇혀 있다. 따라서 영혼을 육체와 물질세계로부터 탈출시켜야 한다는 것.

진정한 신은, 비록 자신이 창조하지는 않았으나 비참한 상태에 있는 인간들을 가련히 여겨 예수를 '인간이 아닌' 몸으로 내려보내게 된다. 인간 중에서 영지를 깨달을 수 있는 소수의 선택받은 자들은 예수를 통하여 영지를 깨달음으로써 사악한 물질세계로부터 탈출하여 빛의 세계로 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오르페우스교나 피타고라스교에서도 이런 식의 영혼해방을 목표로 삼는다. 그러니까 영지주의는 그리스도교 내에서 특별하게 생겨난 이단이 아니라, 그리스도교가 그리스 세계로 들어와 접합되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해석의 한 방식으로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스적 영육이원론과 유대 전통의 유일신론이 신비주의적으로 접합되면 영지주의는 자연스럽게 나올 수밖에 없다.

단, 13세기까지 가는 과정에서 영지주의는 이슬람의 수피즘, 혹은 그 전단계의 다른 영지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즉, 일원적 이원론의 관점에서의 영지주의는 세계관에 있어서 창조의 근원이 결국은 하나이지만, 이원론적 영지주의에서는 창조관이 완전히 둘로 나뉘게 되며, 이 특징은 반대로 이슬람 신비주의의 영향에서 왔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4. 용어

아이온이 어쨌느니 소피아가 어쨌느니 하는 내용은 도서관 구석에서 찾아볼 수 있는 책에 있는 내용인데, 그 내용을 인터넷에 제대로 올려놓은 경우는 없다. 지금 인터넷에 떠도는 내용들은 적당히 주워들은 소리에 내용을 보탠 것들이 전부다. 관심있는 사람은 한국어로 번역된 유다 복음서를 추천한다. 그 외의 책은 대부분 영어다... 유다복음의 경우는 최소한 기본 개념을 잡고는 있지만, 실제 영지주의에 대한 내용을 제대로 알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 바로 발렌티누스에 대한 연구이다. 발렌티누스는 2세기에 로마 주교(교황) 후보자로 있다가 선출 되지 못한 자로서 사실상 영지주의의 대부이며, 실상적으로 좋건 싫건 영지주의 사상을 집대성한 것은 그이다.

사연이 좀 징한데, 플라톤주의의 용어들을 차용하여 영지주의를 설명하고 삼위일체를 처음 고안한 사람 자체가 바로 발렌티누스였다. 문제는 이후의 상황인데, 현재 영지주의에 대한 내용은 실은 유다 복음서의 연구에서 나온 것이 아니고, 나왔다 하더라도 이레네우스의 이단반박에서 차용한 내용을 영지주의자들의 주장처럼 윤색한 경우가 많지만, 실은 이건 과장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카인파, 즉 있지도 않은 분파에 대해 있다고 주장한 문제가 바로 그것이며, 나그함마디 문서의 연구 등 이후 사료의 발견으로 발렌티누스주의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되기 전까지는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상당부분 당시 보편교회의 입장을 차용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즉, 애초에 데미우르고스의 개념을 정립한 사람이 발렌티누스인데, 문제가 이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다른 영지주의 분파를 들어 주장하는 것은 더없이 애매한 문제라고 할수 있다.[8]

4.1. 모나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나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Monad
아랍 계열의 영지주의자 모노이무스가 창조한 개념으로, 영지주의에서의 절대신에 해당하는 개념이라고 보는 게 그나마 이해가 쉽다. 다른 이름으로는 아이온 탈레오스(그리스어:αἰών τέλεος, Aeon teleos, 완전한 아이온), 프로아르케(그리스어:προαρχη, Proarkhe, 태초 이전의 존재), 에 아르케(그리스어:η αρχη, E Arkhe, 태초의 존재) 등이 있으며, 일단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최초의 아이온인 동시에, 아이온들을 낳은 아이온이라고 한다.

4.2. 아이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eon(영어)/αἰών(그리스어)
그리스어로 '영원'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고유명사가 아니라 그냥 '영원한 존재' 정도의 뜻. 아이온은 하나 또는 여럿으로 나타나는데 신화상 대략 32명에서 34명 정도의 아이온이 등장한다.

4.3. 아르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르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rchon(영어)/ἄρχων(그리스어)
아르콘은 본래 그리스어로 '집정관' 정도의 의미이다. 아이온에 대비하여 현재의 물질 세계를 만들어낸 신, 혹은 다른 종교의 신들을 포괄하여 나타내는 용어이다. 데미우르고스 역시 아르콘이다.

4.4. 데미우르고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미우르고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Demiurge(발음:디미어지/영어)/Δημιουργός(그리스어)
그리스어로 '제작자'라는 뜻이다.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나온다. 보통 영지주의에서는 물질을 창조한 신으로 나타난다. 이 제작자(데미우르고스)를 야훼와 동일시하고, 예수가 말하는 아버지는 그보다 상위의 신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위에 언급했듯이 영지주의에서 물질은 '악마의 창조물'이므로 데미우르고스는 악신이다. 설령 악신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불완전한 물질과 악을 출현시킬 수밖에 없는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이다. 일부 영지주의자는 데미우르고스를 악신이 아닌, 선하기는 하나 약한 존재로 보았다.

데미우르고스는 선하지만 진정한 신이라 하기에는 능력이 부족한 존재 [9]라, 데미우르고스가 만들어낸 세계는 근본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악덕으로 가득했다. 데미우르고스는 인간에게 육체를 주었고 또 영혼을 부여했지만, 고귀한 영혼이 육신에 사로잡힌 인간이 나왔다.

데미우르고스는 이러한 사태를 바로잡을 수 없었다.[10] 그래도 다른 아이온의 개입으로 몇몇 인간들은 육체의 틀을 벗어나 참된 인식을 얻을 수도 있는 씨앗이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가능성을 가진 인간은 노력 여하에 따라 참된 인식을 얻을 수도 있으나, 가능성이 없는 인간은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다.

영지주의라고 편의상 하나의 명칭으로 부르긴 하지만, 이는 갖가지 분파를 싸잡아 불러진 호칭이다. 분파는 대단히 다양하며, 당연히 해석 또한 대단히 다양하다. 데미우르고스를 사악한 신으로 보는 분파도 있었으나 어떤 분파는 데미우르고스를 삐뚤어진 가짜 신으로 보지않고, 뭔가 하려는 능력은 되나, 의욕이 없는 무기력자라던가, 개념은 잡혔는데 능력이 안되는 무능력자로 해석하기도 한다.

대개 통용되는 개념이라고 해도 모든 분파에 적용되는 일괄적인 개념이라 말하기 어렵다는 점을 기억해두자.

그러나 사실 반대로 원개념은 악이었는데 이후 타협적 관점에서 악이 아닌 형태로 개수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유? 바로 그 플라톤주의를 배껴온 원흉인 발렌티누스의 정의 문제이다.

상술한 '데미우르고스의 선에 대한 설파'는 실은 기록상으로 이레네우스의 이단논박, 특히 발렌티누스 주의에 대한 반박에서 드러나는 사상이다. 이 경우 교계의 다분히 '정치적'인 상황을 살펴야 하는데, 발렌티누스는 교황 될 뻔한 사람이었던 관계로 당시 최대 정파였고, 이레네우스의 입장에서는 '반드시 까야만 할' 입장이었던 관계로 '발렌티누스의 데미우르고스에 대한 성향성 주장을 뒤집어' 주장하는 셈이었다. 뭐, 없는 분파도 있다고 우길 판이었으니 어련할까만...

여하튼 그 개념의 정의에서 보면 발렌티누스에 대한 반박으로 볼때 원래 영지주의의 개념정의는 악이었으되, 이후 보편교회의 주장에 대한 타협적 입장으로 전제된 것이라고 볼수 있는 것이 바로 데미우르고스에 대한 여러 주장이 된다. 실제로 이후 키프로스에서 영향받은 각종 영지주의 분파들이 '유동적인 이단'이었다는 점을 살펴 보면 그 '유동성'의 의미가 어떤 것들을 타협했는가에 대한 점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4.5. 소피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피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Sophia(영어)/σοφία(그리스어)
그리스어로 '지혜'라는 뜻이다. 히브리어 성경에서 여성명사인 지혜(호크마, Chokhmah, חָכְמָה)는 여인으로 의인화되어 등장하고는 하며, 이에 대응되는 그리스어 소피아 또한 여성명사이기 때문에 이런 표현을 여신으로 확대해석한 것이 이른바 영지주의의 소피아.

허나 정확히는 이것을 존재하는 여신의 개념으로 처음 발상하지는 않았다. 실은 이 개념은 '엔노이아-엔노이아 소피아(대 소피아)-아이온 소피아'라는 3중 개념으로 이어지는 경우이므로 사실은 여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반대로 아니무스-아니마의 개념과 비슷하며, 그리스도와 함께 알파와 오메가로 보는 개념이 적용되기도 한다.

즉, 엔노이아(ennoia)는 생각을 의미하므로 실제로 그 단어 그대로 신과 결합된 사고를 의미하는데, 그것을 '배우자' 형태로 보았다. 남녀 중성의 형태로 개념화 된 신의 형상에 대한 주장은 사실은 여기서 기인한 것.

또한 소피아는 원죄를 의미하기도 한다. 사실 소피아의 잉태를 두고, 소피아가 '불완전한 존재인 데미우르고스를 처녀생식'했기 때문에, 달리 말하면 '배우자와의 협력이 없이 창조'했기에 세상이 불완전해졌다고 주장한 것이다.

4.6. 아브락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브락사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그리스도교의 영지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지주의/기독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영지주의 계통의 분파나 영향을 받은 사상들

6.1. 로마 제국

6.2. 페르시아 계통

6.3. 중세 유럽

6.4. 그 외

7. 영지주의를 소재로 사용한 창작물

주로 아브라함계 종교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인간이 스스로 신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으면 영지주의를 소재로 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 국어사전 등.[2] 교황사전 등.[3] gnosis(그노시스). '지식'을 뜻하는 고전 그리스어.[4] 플라톤, '플라톤의 대화편', 최명관 역, 창, 2008, pp196-199[5] 1966년 4월 13~18일에 이탈리아의 메시나에서 영지주의를 심층 분석하는 국제 심포지움이 열렸다. 이 학술 심포지움의 내용은 Le origini dello Gnosticismo, Colloquio de Messina 13-18 Aprile 1966, Testi e discussioni publicati a cura di U. Bianchi, supplement to Numen, Leyde 1967에 출판되었다.[6] K. Rudolph, Simon Magus oder Gnosticus? Zur Stand der Debatte: ThRu 42(1977), pp. 279-359)[7] 1945년 12월 이집트의 낙 함마디(Nag Hammadi)에서 두루마리 12개와 고사본 8쪽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 영지주의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헌들이 있었다. J. C. Shelton, Nag Hammadi Codices. Greek and Coptic Papyri from the Cartonnage of the Covers, Leiden 1981[8] 발렌티누스의 삼위일체 원안에 대한 주장은 니케아 공의회에도 참가했던 마르첼루스 주교가 썼다고 전해지는 삼위일체 반박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니케아 공의회에서 삼위의 관계에 관한 논의를 하면서 하나의 본질에 세 휘포스타시스라는 말을 사용했다. '휘포스타시스'라는 말을 발렌티누스가 사용했다는 이유로 거부하였다. 그러나 '휘포스타시스'는 이미 신약성경에서도 사용된 단어이며, 결정적으로 발렌티누스의 신관은 삼위일체와 비교하면 너무 다르다.[9] 혹은 사악한 자.[10] 물론 데미우르고스를 사악한 신으로 보는 분파에서는, 데미우르고스가 이러한 사태를 바로잡을 생각이 아예 없었다고 생각했다. 사악한 신이라면 세상을 올바르게 하려고 할 리가 없기 때문.[11] 주인공 집단이 꾸며내는 낚시를 위한 재료로 쓰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