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15:08:22

소피아

1. 개요2. 지명
2.1. 불가리아의 수도2.2. 마다가스카르의 지역
3. 인명
3.1. 실존 인물3.2. 가상 인물
4. 홍콩에서 개발된 인공지능 로봇의 이름5. 성인용품6. 조치대학의 영문 이름7. Alvaro Soler의 노래

1. 개요

σοφία

그리스어지혜를 뜻한다. 소니아(소냐), 소피, 조피, 조피아 등의 이름의 어원이기도 하다. 한국인 중에서도 '지혜'라는 이름의 여성이 많은 것처럼, 서양에서 여성 이름으로 많이 쓰인다. 특히 2010년대부터 인기 있는 이름 상위권에 기록되어 있다.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을 아는 참된 지혜, 성스러운 지혜[1]라는 의미가 확장되어 성자 예수 그리스도 자체를 뜻하게 되었다. 그래서 성당이나 도시의 이름에도 주 예수께 봉헌한다는 뜻으로 많이 쓰였다. 대표적인 건물은 하기아 소피아다.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에서 세례명으로도 쓰인다.

아이러니하게도 초기 기독교와 정면으로 대치하였던 영지주의에서도 중요하게 쓰였던 이름인데 영지주의에서의 소피아는 지식을 담당하는 여신이자 진정한 창조주였다.

2. 지명

2.1. 불가리아의 수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피아(불가리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피아(불가리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피아(불가리아)#|]][[소피아(불가리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마다가스카르의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피아(마다가스카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피아(마다가스카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피아(마다가스카르)#|]][[소피아(마다가스카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인명

3.1. 실존 인물

3.2. 가상 인물

4. 홍콩에서 개발된 인공지능 로봇의 이름

파일:인류를파괴하고싶니?제발아니라고말해줘.jpg
관련 기사: "인간 파괴하고 싶다" 끔찍 발언…'싸이코패스 AI' 등장(SBS 뉴스)

소피아(영어: Sophia)는 홍콩에 본사를 둔 핸슨 로보틱스(Hanson Robotics)가 개발한 인간형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2018년 1월 29일 서울 플라자호텔에 방문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Future Investment Initiative)’ 행사에 참가한 자리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을 획득하였는데, 이것은 로봇으로써 국적을 받은 최초의 사건이다.

트랜스포머 혁명 이전에 공개되어 어그로를 많이 끌기는 했지만 사실 표정구현은 아메카나 디즈니 리서치의 애니매트로닉스에 밀리고, LLM 대화 기능은 첨단 대화형 인공지능에 밀리는 등 여러모로 기술적으로는 많이 뒤쳐져있다.

소피아의 핵심기능은 OpenCog라고 하는 오픈소스 일반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하는데 이 오픈코그(Opencog)는 우리가 생각하는 딥러닝 AI가 아닌 상징추론(symbolic reasoning)기반이다. 딥러닝이 인공지능의 동의어로 받아들여지는 요즘에는 쓰지 않는 아키텍처다. 다만 소피아의 등장시점이 2016년으로 거의 10년 전이며 당시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가 개발되기 전임을 감안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5. 성인용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이즈하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즈하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즈하트#|]][[토이즈하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토이즈하트에서 발매한 여성용 바이브레이터. 한국에서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상품이다.

6. 조치대학의 영문 이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치대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치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치대학#|]][[조치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의 3대 톱 사립대학중 하나인 조치대학을 뜻하는 명칭이다. 지혜의 대학이라는 의미를 담아서 조치(上智)로 번역하였다고 한다.

7. Alvaro Soler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ofia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ofia#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ofia#|]][[Sofi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그리스어로는 Hagia Soph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