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fecc00> 노르웨이 베르나도테 왕조 제4대 국왕 | |||
| | |||
| 출생 | 1829년 1월 21일 | ||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왕국 스톡홀름 스톡홀름 왕궁 | |||
| 사망 | 1907년 12월 8일 (향년 78세) | ||
| 스웨덴 스톡홀름 스톡홀름 왕궁 | |||
| 재위기간 | 스웨덴 국왕 | ||
| 1872년 9월 18일 ~ 1907년 12월 8일 | |||
| 노르웨이 국왕 | |||
| 1872년 9월 18일 ~ 1905년 6월 7일 | |||
| 서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가문 | 베르나도테 가문 | |
| 이름 | 오스카르 프레드리크 (Oscar Fredrik) | ||
| 아버지 | 오스카르 1세 | ||
| 어머니 |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 | ||
| 형제자매 | 칼 15세, 구스타프, 유셰니, 아우구스트 | ||
| 배우자 | 나사우의 조피아 공녀 (1857년 결혼) | ||
| 자녀 | 구스타프 5세, 오스카르, 칼, 유셴 | ||
| 종교 | 루터교회(스웨덴 교회, 노르웨이 교회) | }}}}}}}}} | |
| 파일:oskar-II-bernadottegalleriet.jpg |
| 공식 초상화 |
1. 개요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 마지막으로 노르웨이를 다스렸던 외세의 군주이다.2. 생애
오스카르 1세의 셋째이자 삼남으로, 큰 형인 칼 15세가 1872년에 후사 없이 죽고[1] 둘째 형인 구스타프는 자녀 없이 20대에 요절했기에 왕위를 물려받았다.형과는 달리 보수적인 성향으로 왕권의 강화를 주장했지만 원하는 바는 이루지 못했다.
1905년 노르웨이가 독립을 선언하고 칼 왕자를 왕위로 추대했을때 당연히 노르웨이의 독립을 반대했지만 아내인 소피아 왕후, 프리드리히 난센 등이 오스카르 2세를 설득했고, 스웨덴 의회도 오스카르 2세의 의견에 반대를 표하고 노르웨이의 독립을 승낙했으며, 결정적으로 칼 왕자의 처가가 영국 왕실이기 때문에 영국이 대서양의 패권을 위해 노르웨이를 지지하면서 결국 왕위를 덴마크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 칼 왕자에게 내주었다. 노르웨이의 왕위를 내려놓을때 슬퍼했다고 한다.
파일:Portrett_av_Kong_Oscar_II,_Gustav_V,_Gustav_VI_og_Gustav_Adolf,_1906_(6966511569) (1).jpg
그래도 이듬해 장증손인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세습 왕자가 태어나면서 노르웨이의 왕위를 잃은 슬픔을 달랬다고.
이후 1907년 승하했으며[2], 스웨덴 왕위는 49살의 구스타프 왕세자가 물려받았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 오스카르 2세 (Oscar II) | <colbgcolor=#fff3e4,#331c00> 오스카르 1세 (Oscar I) | <colbgcolor=#ffffe4,#323300> 칼 14세 요한 (Karl XIV Johan) | |
| 장 앙리 베르나도트 (Jean Henri Bernadotte) | |||
| 잔 드 생장 (Jeanne de Saint-Jean) | |||
| 데지레 클라리 (Désirée Clary) | |||
| 프랑수아 클라리 (François Clary) | |||
| 프랑수아즈 로제 소미스 (Françoise Rose Somis) | |||
|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 공녀 (Princess Joséphine of Leuchtenberg) | |||
| 제1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외젠 드 보아르네 (Eugène de Beauharnais, 1st Duke of Leuchtenberg) | |||
| 보아르네 자작 알렉상드르 (Alexandre, Viscount of Beauharnais) | |||
| 조제핀 드 타셰 드 라 파제리 (Joséphine de Tascher de La Pagerie) | |||
| 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 공주 (Princess Augusta of Bavaria) | |||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Maximilian I Joseph) | |||
| 헤센다름슈타트의 아우구스테 빌헬미네 공녀 (Princess Augusta Wilhelmine of Hesse-Darmstadt) |
3.2. 자녀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구스타프 5세 (Gustav V) | 1858년 6월 16일 | 1950년 10월 29일 | 바덴의 빅토리아 공녀 슬하 3남[3] |
| 2남 | 오스카르 베르나도테 왕자 (Prince Oscar Bernadotte) | 1859년 11월 15일 | 1953년 10월 4일 | 에바 뭉크 2남 3녀[4] |
| 3남 |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칼 왕자 (Prince Carl, Duke of Västergötland) | 1861년 2월 27일 | 1951년 10월 24일 | 덴마크의 잉에보르 공주[5] 슬하 1남 3녀[6] |
| 4남 | 네르케 공작 유셴 왕자[7] (Prince Eugen, Duke of Närke) | 1865년 8월 1일 | 1947년 8월 17일 |
4. 여담
- 젊은 시절엔 날씬했다. 나잇살을 먹어서 말년에는 쪘을 뿐.
- 최소 5명의 사생아를 둔 것으로 추정되나 아버지와 달리 공식적으로 인정한 자식은 없다.
- 마지막으로 대관식을 치른 스웨덴 국왕이다.[8]
- 알프레드 노벨 사후 노벨상이 제정될 때 스웨덴의 돈이 외부로 유출된다며 극렬반대하기도 했다.
[1] 아들 칼 오스카르와 딸 로비사가 있었으나, 칼 오스카르는 어린 나이에 죽고 딸 로비사는 덴마크로 시집갔다. 그 로비사의 차남이 바로 호콘 7세이며, 둘째 사위가 다름아닌 오스카르 2세의 삼남인 칼 왕자이며, 그 칼 왕자의 둘째 사위가 호콘 7세의 외아들 올라프 5세다.[2] 공교롭게도 같은 해에 사돈인 바덴 대공국의 대공 프리드리히 1세도 사망했다.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같은 해에 친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가 모두 세상을 떠나는 것을 보게 되었다.[3]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쇠데르만란드 공작 빌헬름 왕자 등[4] 폴케 베르나도테 등[5]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와 스웨덴의 로비사 공주의 차녀. 칼 왕자에겐 오촌 조카(잉에보르의 어머니 로비사와 친사촌)가 된다.[6] 덴마크의 악셀 왕자비 마르가레타, 노르웨이의 왕세자비 메르타, 벨기에의 왕비 아스트리드 등[7] 왕족임에도 그림을 부업이나 취미 정도로 삼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전업화가로 살았으며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8] 스웨덴 국왕들은 대대로 스톡홀름 대성당(Storkyrkan)이나 웁살라 대성당(Uppsala domkyrka)에서 대관식을 치렀는데 오스카르 2세는 스톡홀름 대성당에서 즉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