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23:38:20

스웨덴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7C 0%, #006AA7 20%, #006AA7 80%, #00377C); color: #fff; min-height: 31px"
{{{#fe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화시대 국왕
<rowcolor=#fff> 문쇠 왕조 스텐실 왕조
승리왕 에이리크 올로프 솃코눙 아눈드 야코프 노인 에문드 스텐실
<rowcolor=#fff> 스텐실 왕조
에리크 7세 할스텐 스텐실손 아눈드 고르드셰 호칸 뢰데 잉에 1세
에리크 8세
블로트 스벤 잉에 1세 필리프 할스텐손 잉에 2세 랑발드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에스트리드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망누스 1세 스베르케르 1세 에리크 9세 망누스 2세 칼 7세
<rowcolor=#fff> 에리크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크누트 1세 스베르케르 2세 에리크 10세 요한 1세 에리크 11세
<rowcolor=#fff> 에리크 왕조 폴쿵 왕조
크누트 2세 에리크 11세 발데마르 망누스 3세 비르예르 망누손
<rowcolor=#fff> 폴쿵 왕조 메클렌부르크 왕조 칼마르 동맹
망누스 4세 알브렉트 마르가레타 에리크 13세 크리스토페르
에리크 12세
호칸
<rowcolor=#fff> 칼마르 동맹 바사 왕조
칼 8세 크누트손 크리스티안 1세 요한 2세 크리스티안 2세 구스타브 1세 바사
<rowcolor=#fff> 바사 왕조
에리크 14세 요한 3세 시기스문드 칼 9세 구스타브 2세 아돌프
<rowcolor=#fff> 바사 왕조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크리스티나 여왕 칼 10세 구스타브 칼 11세 칼 12세 울리카 엘레오노라
<rowcolor=#fff> 헤센카셀 왕조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프레드리크 1세 아돌프 프레드리크 구스타브 3세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칼 13세
<rowcolor=#fff> 베르나도테 왕조
칼 14세 요한 오스카르 1세 칼 15세 오스카르 2세 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칼 16세 구스타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파일:Royal_standard_of_Sweden.svg.png
파일:스웨덴 국장.svg
스웨덴 왕실기 스웨덴 왕실 문장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파일:스웨덴 국장.svg
스웨덴 국왕
King of Sweden
Sveriges Konung
파일:GALLERI_2023_HMKonungen_Foto_Thron_Ullberg_Kungl.Hovstaterna.jpg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칼 16세 구스타프
즉위일 1973년 9월 15일
지위 스웨덴 왕국국가원수
관저 스톡홀름 왕궁 (공식)
드로트닝홀름 궁전 (거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대 국왕3. 역대 표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스웨덴 국왕은 입헌군주국스웨덴 왕국국가원수이다. 현임 국왕은 베르나도테 왕조칼 16세 구스타프이다.

1975년 이래 명목상의 권한조차 적다. 법안이 의회에서 가결되면 내각의 이름으로 공포되고 국왕의 재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총리도 의장이 임명한다. 다만 외국에 파견하는 대사의 신임장은 국왕 명의의 서명을 담아 작성되며, 자국에 파견되는 외국 대사도 나라를 대표하여 국왕이 신임장을 접수한다. 국왕에게 남은 얼마 안 되는 권한인 셈이다.

노벨상을 수상자에게 수여하는 것도 국왕의 일이다.[1]

본래 국왕은 "스웨덴인, 벤드족과 기트족[2]의 왕(Sveriges, Göters och Venders konung)"이라는 호칭으로 불렸지만 현임 국왕인 칼 16세 구스타프 재위 시기에 왕호를 지금같이 "스웨덴 국왕"으로 간략화했다.

원래는 대대로 웁살라 대성당(Uppsala domkyrka)과 스톡홀름 대성당(Storkyrkan)에서 대관식을 치렀으나 1872년 오스카르 2세의 대관식을 끝으로 현재는 대관식을 치르지 않고 있다.

카뮤코냑[3]을 발주했었다.

역대 국왕 명단을 봐면 '칼'과 '에리크'라는 이름을 쓰는 국왕들의 호칭이 1세부터 시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에리크 14세칼 9세유사역사학적인 역사서인 <기트인들과 스웨덴인들의 모든 왕들의 역사(Historia de omnibus Gothorum Sueonumque regibus)>의 계보에 나오는 전설 속의 국왕들까지 포함해서 자신들의 세수를 정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에리크 6~13세,[4] 칼 7~8세는 편의상 에리크 14세와 칼 9세에서 역산해서 표기하는 것일 뿐이고 본인들의 생전에는 그렇게 지칭되지 않았다. 해당 사서는 기원전 2216년에 즉위한 노아의 손자이자 야벳의 아들 마곡을 초대 국왕으로 내세우고 있어, 누가 봐도 진위여부가 의심스러운 이야기이기 때문에, 당연히 현대에는 스웨덴 왕실에서도 이런 왕사를 내세우지 않고 에리크 6세를 초대 국왕으로 본다. 하지만 어찌되었든 그들의 후계자들이기 때문에 세수 자체는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2. 역대 국왕

재위 왕호 왕조 비고
970 ~ 995 에리크 세게르셀
Erik Segersäll
문쇠 왕조
995 ~ 1022 올로프 솃코눙
Olof Skötkonung
1022 ~ 1050 아눈드 야코브
Anund Jakob
1050 ~ 1060 에문드 노왕
Emund den gamle
1060 ~ 1066 스텡킬
Stenkil
스텡킬 왕조
1066 ~ 1067 에리크와 에리크
Erik och Erik
1067 ~ 1070 할스텐
Halsten
1070 ~ 1075 아눈드 고르스케
Anund Gårdske
1075 ~ 1079 호칸 뢰데
Håkan Röde
1079 ~ 1084 잉에 1세
Inge den äldre
1084 ~ 1087 블로트 스벤
Blot-Sven
1087 ~ 1105 잉에 1세
Inge den äldre
1105 ~ 1118 필리프 할스텐손
Filip Halstensson
1105 ~ 1125 잉에 2세
Inge den yngre
1125 ~ 1126 랑발드 크납회브데
Ragnvald Knaphövde
1125 ~ 1130 망누스 1세
Magnus Nilsson
1130 ~ 1156 스베르케르 1세
Sverker den äldre
스베르케르 왕조
1156 ~ 1160 에리크 9세
Erik den helige
에리크 왕조
1160 ~ 1161 망누스 2세
Magnus Henriksson
스텡킬 왕조
1161 ~ 1167 칼 7세
Karl Sverkersson
스베르케르 왕조
1167 ~ 1195 크누트 1세
Knut Eriksson
에리크 왕조
1196 ~ 1208 스베르케르 2세
Sverker den yngre
스베르케르 왕조
1208 ~ 1216 에리크 10세
Erik Knutsson
에리크 왕조
1216 ~ 1222 요한 1세
Johan Sverkersson
스베르케르 왕조
1222 ~ 1229 에리크 11세
Erik Eriksson
에리크 왕조
1229 ~ 1234 크누트 2세
Knut Långe
1234 ~ 1250 에리크 11세
Erik Eriksson
에리크 왕조
1250 ~ 1275 발데마르 비르예르손
Valdemar Birgersson
폴쿵 왕조
1275 ~ 1290 망누스 3세
Magnus Ladulås
1290 ~ 1318 비르예르 망누손
Birger Magnusson
1319 ~ 1364 망누스 4세
Magnus Eriksson
1356 ~ 1359 에리크 12세
Erik Magnusson
[5]
1362 ~ 1364 호칸 망누손
Håkan Magnusson
[6]
1363 ~ 1389 알브렉트
Albrekt av Mecklenburg
칼마르 동맹: 덴마크와의 동군연합. 덴마크 국왕 참조.
1521 ~ 1560 구스타브 1세 바사
Gustav Vasa
바사 왕조 [7]
1560 ~ 1568 에리크 14세
Erik XIV
1568 ~ 1592 요한 3세
Johan III
1592 ~ 1599 시기스문드
Sigismund
[8]
1599 ~ 1611 칼 9세
Karl IX
[9]
1611 ~ 1632 구스타브 2세 아돌프
Gustav II Adolf
1632 ~ 1654 크리스티나 여왕
Kristina
1654 ~ 1660 칼 10세 구스타브
Karl X Gustav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1660 ~ 1697 칼 11세
Karl XI
1697 ~ 1718 칼 12세
Karl XII
1719 ~ 1720 울리카 엘레오노라
Ulrika Eleonora
1720 ~ 1751 프레드리크 1세
Fredrik I
헤센카셀 왕조
1751 ~ 1771 아돌프 프레드리크
Adolf Fredrik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1771 ~ 1792 구스타브 3세
Gustav III
1792 ~ 1809 구스타브 4세 아돌프
Gustav IV Adolf
1809 ~ 1818 칼 13세
Karl XIII
1818 ~ 1844 칼 14세 요한
Karl XIV Johan
베르나도테 왕조
1844 ~ 1859 오스카르 1세
Oscar I
1859 ~ 1872 칼 15세
Karl XV
1872 ~ 1907 오스카르 2세
Oscar II
1907 ~ 1950 구스타프 5세
Gustaf V
1950 ~ 1973 구스타프 6세 아돌프
Gustaf VI Adolf
1973 ~ 현재 칼 16세 구스타프
Carl XVI Gustaf

바사 왕조가 시작되면서 첫번째 왕조인 문쇠 왕조의 혈통은 끝났으나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부터 바사 왕조와 문쇠 왕조의 혈통이 모두 이어졌고, 베르나도테 왕조 때 혈통이 잠시 끊겼으나 칼 15세부터 바사 왕조의 혈통을 잇기 시작했고, 구스타프 6세 아돌프부터는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의 혈통이 섞여 바사 왕조와 문쇠 왕조의 혈통을 모두 외가로 잇고 있다. 스웨덴 왕실 계보도

신화시대 스웨덴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7C 0%, #006AA7 20%, #006AA7 80%, #00377C); color: #fff; min-height: 31px"
{{{#fe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잉글링 왕조
푤니르 스베이그디르 반란디 비스뷔르 도말드르 도마르
뒤그비 다그르 스파카 아그니 스캴파르본디 알레크르 잉그비 후글레이크르
<rowcolor=#fff> 데인 왕조 잉글링 왕조 스키올둥 왕조 잉글링 왕조
하키 요룬드르 아운 힌 감리 할프단 알레 아운 힌 감리
<rowcolor=#fff> 잉글링 왕조 노르 왕조 잉글링 왕조
에길 튠누돌그르 오타르 벤딜크라우카 아딜스 에이스테인 쇨베 잉그바리
<rowcolor=#fff> 잉글링 왕조 비드파드미 왕조 시구르드르 왕조
아눈드르 잉얄드르 힌 일라우디 이바르 인 비드파드미 하랄드르 힐디턴 에이스테인 힌 일라우디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rowcolor=#fff> 문쇠 왕조
비요른 야른시드 에이리크르 비요른손 에이리크르 레필손 아눈드르 웁살리 에이리크 비요른
역사적 국왕 → }}}}}}}}}}}}

역사성이 입증된 왕들 이전에도 스웨덴을 지배했다고 전해지는 전설 속의 왕들이 있다.영어 위키백과

3. 역대 표어

왕이 바뀔 때마다 표어를 새로 만든다. 이는 덴마크 국왕도 마찬가지.[10]
사용기간 국왕 표어
1521 ~ 1560 구스타브 1세 바사(Gustav I Vasa) 모든 권세는 하느님의 것(All makt är av Gud)
1560 ~ 1568 에리크 14세(Erik XIV) 하느님께선 원하시는 자의 소원만 들어주실지니(Gud giver åt vem Han vill)
1568 ~ 1592 요한 3세(Johan III) 우리의 보호자 하느님(Gud vår beskyddare)
1592 ~ 1599 시기스문드(Sigismund) 정의와 국민을 위해(För rätten och Folket)
1599 ~ 1611 칼 9세(Karl IX) 나의 위로이신 하느님(Gud min tröst)
1611 ~ 1632 구스타브 2세 아돌프(Gustav II Adolf) 하느님과 승리의 팔로(Med Gud och segrande vapen)
1632 ~ 1654 크리스티나 여왕(Christina) 지혜는 왕국의 버팀목(Visheten är rikets stöd)
1654 ~ 1660 칼 10세 구스타브(Karl X Gustav) 내 안의 운명의 신이-그가 하실 것이다(I Gud mitt öde - Han skall göra det)
1660 ~ 1697 칼 11세(Karl XI) 주님은 나의 보호자 되실지니(Herren är vorden min beskyddare)
1697 ~ 1718 칼 12세(Karl XII) 하느님의 도움으로(Med Guds hjälp)
1719 ~ 1720 울리카 엘레오노라(Ulrika Eleonora) 하느님은 나의 희망(I Gud mitt hopp)
1720 ~ 1751 프레드리크 1세(Fredrik I)
1751 ~ 1771 아돌프 프레드리크(Adolf Fredrik) 국가의 복지는 나의 복지(Statens välfärd, min välfärd)
1771 ~ 1792 구스타브 3세(Gustav III) 조국(Fäderneslandet)
1792 ~ 1809 구스타브 4세 아돌프(Gustav IV Adolf) 하느님과 국민(Gud och folket)
1809 ~ 1818 칼 13세(Karl XIII) 국민의 복지는 나의 최고의 법(Folkets väl min högsta lag)
1818 ~ 1844 칼 14세 요한(Karl XIV Johan) 국민의 사랑은 나의 보상(Folkets kärlek min belöning)
1844 ~ 1859 오스카르 1세(Oskar I) 정의와 진실(Rätt och sanning)
1859 ~ 1872 칼 15세(Karl XV) 법에 따라 건설되는 국토(Land skall med lag byggas)
1872 ~ 1905 오스카르 2세(Oskar II) 형제 민족의 복지(Brödrafolkens väl)
1905 ~ 1907 스웨덴의 복지(Sveriges väl)[11]
1907 ~ 1950 구스타프 5세(Gustaf V) 국민과 함께 조국을 위해(Med Folket for Fosterlandet)
1950 ~ 1973 구스타프 6세 아돌프(Gustaf VI Adolf) 무엇보다도 의무(Plikten framför allt)
1973 ~ 현재 칼 16세 구스타프(Carl XVI Gustaf) 스웨덴을 위해-시대와 함께(För Sverige – i tiden)

4. 관련 문서


[1] 노르웨이에서 수상하는 평화상은 제외.[2] 고트족과 관련이 있는지 알 수 없다.[3] Camus hors D'age[4] 왕위 경쟁자인 에리크와 에리크는 제외하고 칼마르 동맹의 국왕인 포메른의 에리크를 스웨덴의 에리크 13세로 친다.[5] 망누스 4세와 공동[6] 망누스 4세와 공동, 알브렉트의 대립왕[7] 1521~1523년 섭정[8] 1587~1632년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지그문트 3세[9] 1599~1604년 섭정[10] 본래 노르웨이 국왕도 그랬지만, 호콘 7세 이래 군주가 바뀌어도 동일한 표어를 유지하는지라 의미없게 되었다.[11] 노르웨이와의 동군연합 해체 후 새로 정한 표어, '형제 민족'은 노르웨이인을 상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변경이 불가피했다.[12] 북유럽 신화의 일부인 윙글링 사가(Ynglinga saga)에는 스웨덴 왕실의 시조가 오딘이라고 하는 내용이 나온다. 아마테라스 여신의 직계 자손이 일본 황실이 되었다는 일본 신화의 내용과 비슷한 유형의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현 왕조는 이 신화와는 무관한 나폴레옹의 부하였던 프랑스 출신 장군이 세운 왕조다. 오히려 노르웨이의 하랄 1세 하르파그리가 윙글링 왕조의 후손이라고 한다.#[13] 스웨덴과 덴마크의 국왕이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바이킹 왕. 역사적으로 실재가 확인되는 스웨덴의 첫번째 왕인 에리크 세게르셀(승리왕 에리크)은 이 사람의 아들들 중 한명인 굳센 비요른(Bjǫrn Járnsíða)의 후손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