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20:02:10

음스와티 3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0000 0%, #B10C0C 20%, #B10C0C 80%, #800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들라미니 왕조
<col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응과네 3세 마부소 2세 소부자 1세/응과네 4세 음스와티 2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들라미니 4세 응과네 5세 소부자 2세 음스와티 3세
}}}}}}}}}}}}}}}
<colbgcolor=#1353b4><colcolor=#fff>
에스와티니 제8대 국왕
음스와티 3세
Mswati Ⅲ
파일:458px-King_Mswati_III_2014.jpg
출생 1968년 4월 19일 ([age(1968-04-19)]세)
스와질란드 보호령 만지니 롤린 피트킨 국립병원
재위기간 에스와티니 국왕
1986년 4월 25일 ~ 현위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제8대 에스와티니 국왕이며, 제7대 국왕인 소부자 2세외아들로 휘는 마코세티브다.

2. 생애

영국령 스와질란드에서 태어났으며[1] 아버지 소부자 2세가 승하하자 1986년 4월 25일, 18살의 나이로 즉위했다.

입법권 없는 의회를 부활시키면서도 민주화 운동을 탄압했고 백성의 1/3이 빈곤층인 사실을 경시하여 남은 국가예산에 손을 대어 호화사치에 썼고 자신의 첩을 위한 궁실을 짓는 등 여러 나라의 비판을 받을 일을 벌였다.

또, 처녀들만 참가할 수 있는 리드 댄스에 국왕을 위한 춤의식이 진행되면서 매년 정례화시켰다.

그리고 에이즈 예방을 위해 성 경험이 없는 여성들에 한해서 매월 한화 약 19,000원 상당의 연금을 지급하려고 시도했다. 에스와티니 정도의 후진국이라면 이 돈도 한달간 생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큰 돈이다.

2018년 4월 19일에 국명을 스와질란드에서 에스와티니로 바꾼다고 선언했다.

2024년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윤석열 대통령과 회담을 하였다.

3. 기타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b10c0c> 상징 국가(우리 주 하느님, 스와티족을 축복하소서)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들라미니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영연방 · 에스와티니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에스와티니 릴랑게니
국방 에스와티니군
교통 에스와티니 에어링크
문화 요리 · 에스와티니 축구 국가대표팀 · 스와티어 · 영어
인물 음스와티 3세
지리 음바바네 · 로밤바 · 드라켄즈버그 산맥
민족 스와티족 · 총가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네덜란드 국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국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국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레소토 국왕|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대공|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공|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양 디페르투안 아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모나코 공|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벨기에인의 왕|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부탄 국왕|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브루나이 술탄|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국왕|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국왕|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에스와티니 국왕|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음스와티 3세
[[영국 국왕|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연방 왕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오만 술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국왕|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압둘라 2세
[[천황|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카타르 아미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캄보디아 국왕|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국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통가 국왕|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1] 이복형제가 무려 200명이 넘는다.[2] 한국사에서 고려의 태조인 왕건이 여러 호족들의 딸을 왕후로 맞은 것과 같다.[3] 심지어 한국인이 간택 경쟁에 참가한 사례도 있다. 이게 말이 경쟁이지 사실상의 국가 축제 내지는 성인식이다보니, 실제로 간택되는 귀족 여성들을 제외하면 어차피 간택될 가능성도 없으니 다들 부담없이 경쟁에 참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