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1c63, #032ea1 20%, #032ea1 80%, #011c63); color: #F0D657;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착토묵 시대 | |||
<rowcolor=#F0D657>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보롬 리치아 2세 | 나라야나 라마티파티 | 리치아 라마티파티 | 스리 스리요티 2세 | |
<rowcolor=#F0D657> 제5대 | 제6대 | |||
토모 레차 1세 | 스리 스콘토르 | |||
롱벡 시대 | ||||
<rowcolor=#F0D657>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네이 칸 | 앙 찬 1세 | 보롬 레차 1세 | 사타 1세 | |
<rowcolor=#F0D657> 제11대 | ||||
체이 체타 1세 | ||||
스레이 산토르 시대 | ||||
<rowcolor=#F0D657>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프레아 람 1세 | 프레아 람 2세 | 보롬 레차 2세 | 보롬 레차 3세 | |
<rowcolor=#F0D657> 제16대 | 제17대 | |||
카에브 후아 1세 | 보롬 레차 4세 | |||
우동 시대 | ||||
<rowcolor=#F0D657>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체타 2세 | 토모 레차 2세 | 앙 통 레차 | 보톰 레차 | |
<rowcolor=#F0D657>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레메아 티피티 1세 | 보롬 레차 5세 | 체타 3세 | 프레아 케오 2세 | |
<rowcolor=#F0D657>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앙 논 | 체타 4세 | 떼이여성 | 우떼이 1세 | |
<rowcolor=#F0D657>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앙 엠 | 토모 레차 3세 | 사타 2세 | 토모 레차 4세 | |
<rowcolor=#F0D657>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앙 통 | 체타 5세 | 우떼이 2세 | 앙 논 2세 | |
<rowcolor=#F0D657>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
앙 엥 | 앙 찬 2세 | 앙 메이여성 | 앙 두옹 | |
프랑스령 캄보디아 | ||||
<rowcolor=#F0D657> 노로돔 왕조 | 시소와스 왕조 | 노로돔 왕조 | ||
노로돔 프롬바리락 | 시소와스 참착라봉 | 시소와스 모니봉 | 노로돔 시아누크 | |
캄보디아 제1왕국 | ||||
<rowcolor=#F0D657> 노로돔 왕조 | 시소와스 왕조 | |||
노로돔 수라마리트 | 시소와스 코사막여성 | |||
캄보디아 제2왕국 | ||||
<rowcolor=#F0D657> 노로돔 왕조 | ||||
노로돔 시아누크복위 | 노로돔 시아모니 | |||
<rowcolor=#F0D657> 푸난 국왕 · 첸라 국왕 · 크메르 국왕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프란치스코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
1. 개요
캄보디아 국왕은 캄보디아의 국가원수 칭호이며, 현재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이 재위하고 있다. 왕통 자체는 크메르 제국 이래 쭉 이어오고 있다.2. 권한
전성기인 크메르 제국 시절에는 신왕(데바라자)[1]라고 칭할 정도로 높은 권위와 절대권력을 동시에 가진 존재였고,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입헌군주제를 실시한 이후에도 캄보디아 제1왕국(1953 ~ 1970) 시절에는 옆나라 태국 국왕 이상으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고, 지금도 헌법상으로는 상당한 권한이 있다.그러나 현대에는 실질적으로 훈 마넷 총리가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체제라서 헌법에 명시된 국왕의 권한은 명목에 불과하다.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은 왕궁에 유폐된 채 감시를 받으며 죄수처럼 살고, 왕궁 밖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석하거나 해외순방을 할 때도 항상 감시자들이 따라붙는 등 삶이 부자유하다.
명목상으로는 총리와 부총리 및 장관을 임명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대한 재가할 권한이나 캄보디아군 최고통수권, 대법원 판사ㆍ헌법위원회 위원 임명권, 국가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임명권, 경찰청장ㆍ국세청장ㆍ관세소비세청장ㆍ검찰형사총장ㆍ기타 정부부처 산하기관장ㆍ캄보디아 적십자사 회장ㆍTVK 회장ㆍTVR 회장ㆍ주지사 임명권이 있으나 이런 권한은 총리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3. 국왕 선거
대부분의 군주국에서 왕위가 세습인 것과 달리 캄보디아는 선거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어서 국왕이더라도 스스로 후계자를 지명할 수 없고 국왕 사후 차기 국왕을 선출한다. 임기는 종신직이다.물론 그렇다고 해서 대통령제처럼 일정 연령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선출될 수 있는 건 아니고, 노로돔 왕조와 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왕가의 30세 이상 남성 구성원들만이 피선거권을 가진다.[2]
선거권은 총리와 원로원 ㆍ국회의장 및 부의장, 승왕[3] 등 9명으로 구성된 왕권왕립위원회에게 있는다. 그러나 이 나라는 전 총리 훈 센과 그의 아들 훈 마넷 총리가 철권을 휘두르는 독재 국가라서, 실질적으로는 훈 센 부자(父子)의 입맛에 맞는 왕족 1명이 단독 후보로 출마해서 당선
아직까지는 노로돔 왕조 출신만이 국왕 선거에서 당선
4. 역대 국왕
4.1. 프놈 (부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008000 20%, #008000 80%, #008000); 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소마 여왕 | 카운딘야 1세 | 혼반황 | 혼반반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범사만 | 범금생 | 범전 | 범장 | |
<rowcolor=#fff> 제9대 | 계보 미상 | 제?대 | 계보 미상 | |
범심 | 찬다나 | |||
<rowcolor=#fff> 제?대 | 제?대 | 계보 미상 | 제?대 | |
카운딘야 2세 | 슈린드라바르만 | 자야바르만 카운딘야 | ||
<rowcolor=#fff> 제?대 | 제?대 | |||
쿨라프라바바티 여왕 | 루드라바르만 | |||
<rowcolor=#fff> 첸라 국왕 · 크메르 국왕 · 캄보디아 국왕 | }}}}}}}}}}}} |
4.2. 첸라 (진랍)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20B2AA 0%, #20B2AA 20%, #20B2AA 80%, #20B2AA);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진랍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rowcolor=#000> 슈루타바르만 | 슈레슈타바르만 | 비라바르만 | 캄부자라자 락슈미 여왕 | 바바바르만 1세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rowcolor=#000> 마헨드라바르만 | 이샤나바르만 1세 | 바바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1세 | 자야데비 여왕 | |
수진랍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rowcolor=#000> 푸슈카락샤 | 샴부바르만 | 라젠드라바르만 1세 | 마히파티바르만 | 자야바르만 2세 | |
육진랍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rowcolor=#000> 인드라니 여왕 | 느르파텐드라데비 여왕 | 자옌드라바 여왕 | 지에슈타리아 여왕 | ||
푸난 국왕 · 크메르 국왕 · 캄보디아 국왕 | }}}}}}}}}}}} |
4.3. 크메르 제국
자세한 내용은 크메르 제국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56B2F 0%, #6B8E23 20%, #6B8E23 80%, #556B2F); color: #FFD7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자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3세 | 인드라바르만 1세 | 야소바르만 1세 | 하르샤바르만 1세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샤나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4세 | 하르샤바르만 2세 | 라젠드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5세 | |
제11대 | 대립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우다야디티야바르만 1세 | 자야비라바르만 | 수리야바르만 1세 | 우다야디티야바르만 2세 | 하르샤바르만 3세 |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자야바르만 6세 | 다란인드라바르만 1세 | 수리야바르만 2세 | 다란인드라바르만 2세 | 야소바르만 2세 |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트리부바나디티야바르만 | 자야바르만 7세 | 인드라바르만 2세 | 자야바르만 8세 | 인드라바르만 3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인드라자야바르만 | 자야바르만 9세 | 트라사크 파엠 | 니피안 바트 | 롬퐁 리치아 |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소랴봉 | 보롬 리치아 1세 | 토마 사오크 | 인 리치아 | 보롬 리치아 2세 | |
푸난 국왕 · 첸라 국왕 · 캄보디아 국왕 | }}}}}}}}}}}} |
4.4. 후기 크메르 왕국
이 당시에도 크메르 제국의 왕통 자체는 계속 이어졌으며 아래의 시대 구분은 왕조 교체가 아니라, 일본의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처럼 수도 이전에 따른 시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짝또묵 시대 (1431년 ~ 1525년)
- 롱 벡 시대 (1525년 ~ 1594년)
- 스레이 산토르 시대 (1594년 ~ 1620년)
- 우동 시대 (1620년 ~ 1863년)
4.5. 프랑스령 캄보디아
이 당시의 왕들은 프랑스의 허수아비로 전락한 상태였으며, 크메르 제국 시절부터 단일 혈통으로 이어지던 캄보디아 왕실은 노로돔 왕조와 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계통으로 분열되었다.4.6. 캄보디아 왕국(괴뢰국)
일본 제국이 시아누크 국왕에게 독립을 선언하게 하여 수립한 괴뢰국이다.- 초대: 노로돔 시아누크 (1945년)
4.7. 프랑스령 캄보디아
전후 일본이 철수한 뒤 프랑스가 귀환하여 다시 캄보디아를 식민지화했다.- 4대: 노로돔 시아누크 (1945년 ~ 1953년)
4.8. 캄보디아 제1왕국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는데, 시아누크는 헌법 제정 이후에도 계속 실권을 장악했다.4.9.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
론 놀의 쿠데타로 인해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자, 시아누크 전 국왕이 국외로 도피하여 수립한 망명정부다.- 초대: 노로돔 시아누크 (1970년 ~ 1976년)
4.10. 캄보디아 제2왕국 (현재)
1993년 왕정복고가 실현되면서 시아누크가 복위했는데, 이전과는 달리 실권은 전혀 행사할 수 없게 되었고,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선거군주제가 실시되었다.[1] 데바(신) + 라자(왕)[2] 두 가문은 본래 한 가문이었지만, 프랑스의 식민지배 시절 두 계통으로 갈라져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3] 캄보디아 불교의 수장[4] 훈 센이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보다 1살 많아서 노로돔 시아모니 이후의 국왕은 훈 센 사후에 결정될 가능성이 있는데, 아직까지는 누가 먼저 죽을지 알 수 없다.[5] 노로돔의 이복동생인데, 프랑스에 의해 노로돔의 자식들을 제치고 왕으로 추대되었다.[6] 노로돔 왕의 증손자이자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외손자로서 왕위를 계승했다.[7] 노로돔 왕의 손자이자 시아누크의 아버지인데, 아들에게 양위받아 왕으로 즉위했다.[8] 시소와스 코사막은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딸이자 수라마리트 왕의 아내, 시아누크 왕의 어머니라서 아버지, 남편, 아들이 모두 왕이었던 인물이다. 수라마리트 사후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시아누크 전 국왕은 자신이 복위하거나 어머니 코사막이 전권을 가진 여왕이 되는 대신에 어머니에게 의례적인 군주 역할만 맡겼다. 그리고 시아누크 자신은 국가원수라는 직함으로 취임하여 사실상 다시 왕이 된 것과 다름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