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 ||||
| 1차 (2006~2015) | 2차 (2011~2020) | 3차 (2016~2025) | 4차 (2021~2030) | 5차 (2026~2035) |
1. 개요
| |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 |
- 기존 사업 49개와 신규 사업과 신규 철도사업 32개로 구성된다.
- 이 계획이 모두 완성되면 철도 총연장은 5517km로 확대된다.
- 재정 53조 7000억 원, 지방비 4조 원, 민간자본 9조 5000억 원, 기타 6조 9000억 원으로 총 74조 1000억 원이 투입된다.기사
2차에서 신규사업이 3차 신규사업으로 그대로 이전되었다.
2. 역사
3. 내용
기본계획노선
| 번호 | 노선명 | 사업구간 | 사업내용 | 번호 | 노선명 | 사업구간 | 사업내용 | |
| 1 | 대구광주선 | 대구~광주 | 단선전철 | 9 | 대산항선 | 석문산단~대산항 | 단선철도 | |
| 2 | 김천전주선 | 김천~전주 | 복선전철 | 10 | 마산신항선 | 마산~마산신항 | 단선철도 | |
| 3 | 교외선 | 의정부~능곡 | 단선전철 | 11 | 녹산산단선 | 부산신항선~녹산산단 | 단선철도 | |
| 4 | 원주춘천선 | 원주~춘천 | 단선전철 | 12 | 반월산단선 | 안산~반월산단 | 단선전철 | |
| 5 | 호남선 | 가수원~논산 | 복선전철 (고속화) | 13 | 금강산선 | 철원~군사분계선 | 단선철도 (철도복원) | |
| 6 | 경북선,중앙선, 대구선 | 점촌~동대구 | 단선전철 (기존선 일부 활용) | 14 | 경원선 | 연천~월정리 | 단선전철화 | |
| 7 | 보령선 | 조치원~보령 | 단선전철 | 15 | 동해선 | 포항~강릉 | 복선전철화 | |
| 8 | 경부선 | 사상~범일1) | 복선전철 (경부선 이전) | |||||
| 1) 기존 경부선(사상~범일) 구간 선로기능 이전의 경우 부전역 철도시설 재배치와 연계하여 추진 | ||||||||
| 번호 | 노선명 | 사업구간 | 사업내용 |
| 1 | 동탄~세교선 | 동탄~세교 | 복선전철 |
| 2 | 서울9호선 연장 | 강일~미사2) | 복선철도 (광역철도) |
| 3 | 인천2호선 연장 | 대공원~신안산선3) | 복선철도 (광역철도) |
| 4 | 충청권광역철도연장 | 대전조차장~옥천 | 복선전철 (광역철도) |
| 5 | 양산울산 광역철도 | 양산~울산 | 복선전철 (광역철도) |
| 2) 서울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에 따른 서울9호선 고덕~강일 구간과 연계하여, 강일~미사 광역철도를 추진 3) 여건변화 등으로 사업추진 시 대도시권광역교통기본계획(대공원~광명), 경기도에서 건의한 노선(대공원~독산, 대공원~매화) 등을 비교, 검토하여 최적대안으로 추진 | |||
추가검토노선 (이미지上, 이미지下)
위 사진들의 출처는 이곳이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확정됐다고 언론에 보도되었다. 기사
3.1. 고속철도
3.1.1. 신규사업
- 수색-광명 고속철도 (DMC~광명) → 2022년 예타 통과, 착공 예정
- 경부고속선 (평택-오송 고속철도) → 2028년 완공 예정
3.1.2. 기존사업
3.2. 일반철도
3.2.1. 신규사업
- 경원선-중앙선 2복선화 (용산~청량리~망우) → 2031년 완공 예정
- 경전선 전철화
- 춘천속초선 (춘천~속초) → 2027년 완공 예정
- 동해선 연장
- 수서광주선 (수서~경기광주) → 2030년 완공
- 장항선 복선전철화 (신창~대야) → 2027년 완공 예정
- 중부내륙선 연장 (문경~김천) → 2033년 완공 예정
- 충북선 고속화 (청주공항~봉양) → 2019년 예타 면제, 착공 예정
- 평택부발선 (평택~부발) → 2025년 예타 탈락
3.2.2. 기존사업
- 경원선 복선전철화 (동두천~연천) → 2023년 단선전철 완공
- 경원선 복원 (백마고지~월정리)
- 경전선 연장 (부전~마산) → 건설 중
- 남부내륙선 신설 (김천~거제) → 2030년 완공 예정
- 대구선 복선전철화 (가천~영천) → 2018년 완공
- 동해선 복선전철화 (부전~태화강) → 2021년 완공
- 중앙선 복선전철화 (도담~영천) → 2024년 완공
- 서해선 신설
- 동탄인덕원선 신설 (동탄~인덕원) → 2029년 완공 예정
- 경강선 신설/연장
- 중부내륙선 신설 (부발~문경) → 2024년 완공
- 포항신항만 철도인입선 (포항~포항신항) → 2019년 완공
3.3. 광역철도
3.3.1. 신규사업
- 대장홍대선 신설 (원종~홍대입구) → 2031년 완공 예정
- 위례과천선 신설 (경마공원~복정) → 2024년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착공 예정
- 도봉산포천선 신설 (도봉산~포천) → 2030년 완공 예정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충청권 광역철도 연장
- 일산선 연장 (대화~운정신도시)
- 신분당선 연장
-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 (강일∼미사) → 2031년 완공 예정
3.3.2. 기존사업
- 수인선 복선전철화 (수원~인천) → 2020년 완공
- 진접선 신설 (당고개~진접) → 2022년 완공
- 별내선 신설 (암사~별내) → 2024년 완공
- 하남선 신설 (상일동~하남검단산) → 2021년 완공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신설 (운정~동탄) → 2026년 완공 예정
- 대구권 광역철도 운행 → 2024년 개통
- 신안산선 신설 → 2026년 완공 예정
- 신분당선 연장
4. 후보 노선
국토교통부가 본사업에는 포함하지 않았지만, 장래여건 변화 등에 따라 추진검토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후보사업'이다. 총 20개를 선정했다.4.1. 지역 간 노선
총 15개이다.- 대구광주선 (대구~광주) → 2024년 예타 면제, 착공 예정
- 김천전주선 (김천~전주)
- 교외선 전철화 (의정부~능곡)
- 원주춘천선 (원주~춘천)
- 호남선 고속화 (가수원~논산) → 2022년 예타 통과, 착공 예정
- 경북선 전철화 (점촌~영주)
- 보령선 신설 (조치원~대천)
- 경부선 이설 (사상~범일)
- 대산항선 신설 (석문국가산업단지~대산항)
- 마산신항선 신설 (마산~마산신항)
- 녹산산단선 신설 (부산신항선 분기~녹산산단)
- 반월산단선 신설 (안산~반월산단)
- 금강산선 복원 (철원~군사분계선)
- 경원선 전철화 (연천~월정리)
- 동해선 복선전철화 (포항~강릉)
4.2. 광역철도사업
총 5개이다.- 동탄세교선 → 수인·분당선 오산지선으로 대체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연장 (대공원~신안산선 환승역[2])
- 충청권 광역철도 연장 (대전조차장~옥천) → 2027년 완공 예정
- 울산-양산 광역철도 (신복~북정) →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로 대체
- 위례신사선 연장 (위례~전대·에버랜드)
- 대구권 광역철도 운행 → 2024년 개통
- 대구 1호선 연장 (안심~하양) → 2024년 완공
[1] 여기서 신규사업이란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추가된 것을 말한다.[2] 매화역/광명역/신독산역 중 하나를 고려하고 있는데, 인천시에서는 광명 연장을, 국토교통부 차원에서는 시흥광명지구 개발 차원에서 신독산 연장을 고려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