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00:12:10

𠄡에서 넘어옴
숫자 한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廿(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
다섯 오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つ, いつ-つ, いい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20210726_230737.gif
五의 획순

1. 개요2. 특징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五는 '다섯 오'라는 한자로, 숫자 5와 그 서수를 나타낸다.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다섯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ng5
객가어 ńg
민북어 ngù
민동어 ngū[文] / ngô[白]
민남어 ngó͘[文] / gō͘ [白]
오어 u(T2)[文] / hhngg(T3)[白]
일본어 음독
훈독 いつ, いつ-つ, いい
베트남어 ngũ

유니코드에는 U+4E9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DM(一木一)으로, 주음부호로는 ㄨˇ로 입력한다.

五는 다음과 같은 이체자[7]들이 있다 : 伍, 㐅, 𠄡[8], 乄, 𫝀[9]
이중에서 伍는 갖은자에 해당한다.

五는 지사자로써, 기존의 숫자 한자의 제자원리를 깬 최초의 한자이다. 1에서 3까지의 한자들은 一, 二, 三로 해당 수만큼의 물체가 있는 모습을 본땄고, 역시 고자(古字)가 亖였기 때문에 어쨌든 4까지는 이러한 법칙을 따랐다. 그러나 5부터는 그러한 제자원리를 따르지 않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5부터는 해당 수만큼 획을 첨가하려면 비효율적이니까 그 법칙은 필연적으로 깨져야했을 것이다.

바로 이전 4의 한자 亖에서 중간의 두 획을 X자로 교차시킨 형상을 기원으로 삼게 되었다.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94-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94-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94-silk.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94-bigse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94-seal.svg.png

3. 용례

3.1. 고사성어/숙어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3.5.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文] 문독[白] 백독[文] [白] [文] [白] [7] 훈과 음이 같은데 모양만 다른 한자[8] 유니코드: U+20121 / 조합: ⿳一乂一 / 이미지: 파일:五이체자1.gif[9] 유니코드: U+2B740 / 조합: ⿻丄𠃍 / 이미지: 파일:五이체자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