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2b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2bc> | }}} | |
{{{#!wiki style="color: #0072bc;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산요 신칸센 총괄본부 | ||
| |||
카나자와 지사 | |||
| |||
킨키 총괄본부 (어반 네트워크) (케이시 지사, 한나 지사, 효고 지사) | |||
■ 호쿠리쿠 본선 ( | |||
킨키 총괄본부 와카야마 지사 | |||
| |||
킨키 총괄본부 후쿠치야마 관리부 | |||
| |||
주고쿠 총괄본부 오카야마 지사 | |||
| |||
주고쿠 총괄본부 산인 지사 | |||
| |||
주고쿠 총괄본부 히로시마 지사 (히로시마 시티 네트워크) | |||
■ 산요 본선 ( | |||
폐선 | |||
타이샤선 - 카지야선 - | }}}}}}}}} |
일본국유철도의 적자 83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폐지 | |
콘포쿠선 · 카와마타선 · 미쿠니선 · 우지나선 · 코후쿠로선 · 세치바루선 · 우스노우라선 · 호소시마선 · 사사야마선 · 야부선 | ||
지정 후 특정지방교통선에 지정되어 폐지 | ||
1차 | 아이오이선 · 야베선 · 이와나이선 · 코힌호쿠선 · 코힌난선 · 쇼코츠선 · 시라누카선 · 비코선 · 닛츄선 · 아카타니선 · 우오누마선 · 쿠라요시선 · 코마츠시마선 · 소에다선 · 카츠키선 · 카츠타선 · 츠마선 · 미야노하루선 · 무로키선 | |
2차 | 시베츠선 · 세타나선 · 유모선 · 토미우치선 · 사가선 · 코모토선 · 오스미선 · 미야노조선 · 야마노선 | |
3차 | 카지야선 · 타이샤선 | |
지정 후 제3섹터로 전환 | ||
에사시선† · 아이즈선 · 아니아이선 · 오하타선† · 쿠로이시선† · 나가이선 · 야시마선 · 키와라선 · 모오카선 · 아케치선 · 에츠미난선 · 노토선† · 시가라키선 · 호조선 · 미키선† · 간니치선 · 나카무라선 · 와카사선 · 타카모리선 · 타카치호선† · 유노마에선 | ||
JR 잔류 | ||
삿쇼선 · 신메이선† · 오미나토선 · 케센누마선 · 하치노헤선 · 카라스야마선 · 타다미선 · 야히코선 · 산구선 · 메이쇼선 · 요도선 · 카베선 · 산코호쿠선† · 산코난선† ·에츠미호쿠선 · 나루토선 · 무기선 · 우치코선 ·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 카라츠선 · 니치난선 · 이와이즈미선† | ||
†: JR 전환 이후 폐지된 철도 노선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gcolor=#fff,#2d2f34> | [ruby(可部線, ruby=かべせん)] Kabe Line 카베선 | }}} | |
| ||||
227계 전동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방교통선 | |||
기점 | 요코가와역 | |||
종점 | 아키카메야마역 | |||
역 수 | 16 | |||
노선기호 | B | |||
개업일 | 1909년 12월 19일 | |||
소유자 | JR 서일본 | |||
운영자 | ||||
사용차량 | 227계 전동차 | |||
차량기지 | 시모노세키 종합 차량소 히로시마 지소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5.6㎞ | |||
궤간 | 1067mm | |||
선로구성 | 단선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특수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 ATS-SW | |||
최고속도 | 65㎞/h |
|
실측지도 상의 카베선 |
전구간 주행영상 |
[clearfix]
1. 개요 및 설명
JR 서일본의 지방교통선으로, 요코가와역과 아키카메야마역을 잇는다. 하지만 운행계통상으로는 모든 열차가 히로시마역까지 간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으며 히로시마 시티 네트워크에도 포함되어 있다. 이전에는 비전철화 구간도 있었으나 2003년 비전철화 구간이 폐선되면서 전철화 구간만 남게 되었다.1909년 762mm 궤간으로 요코가와~카베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으며, 1936년 국유화와 동시에 카베~아키이무로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국철은 노선을 계속 연장해나가려 했지만 전쟁 탓에 중단되었고, 전쟁이 끝나고 나서야 아키이무로에서 카케까지의 구간이 완전 개통할 수 있았다. 그러나 1968년 카베-카케 구간은 적자 83선으로 거론되어 폐지 권고를 받는데, 국철은 이를 무시하고 건설은 계속되어 1969년 산단쿄까지 개통되었다.
당시 국철은 이마후쿠선이라는 이름의 신선을 건설해 카베선과 이어 새로운 인요연락선을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실제로 전쟁 이전에 이마후쿠선은 이미 건설이 시작되어 산인 본선의 시모코역에서 출발, 이와미이마후쿠역까지의 구간은 이미 완공된 상태였다. 여기서 산단쿄까지 연장하여 이마후쿠선과 카베선을 연결하려 했던 것. 하지만 전쟁이 끝나고 본 수해 등으로 이마후쿠선 구간은 복구 공사가 불가피한 상황이 되었고, 애초에 선형이 좋지 못해 소요 시간 면에서 자동차에 밀릴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국철은 기존 이마후쿠선을 과감하게 버리고 선로를 완전히 새로 만들기로 결정, 기점를 산인 본선의 하마다역으로 바꾸고 표정속도 100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도록 터널과 다리를 이용한 신 이마후쿠선 건설에 착수했다. 하지만 1980년 국철재건법의 시행에 의해 공사는 중단됐고, 결국 이마후쿠선은 영영 완공되지 못한 미성선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고 2003년 카베선의 카베-산단쿄간 46.2km 구간의 21역마저 폐지되며 인요연락선 계획은 완전히 물거품이 되어 버렸다.
폐지된 카베~산단쿄 구간에 있는 츠보노역에서 산단쿄 방면 500m 지점에는 국철 총연장 2만km 기념비가 서 있다.
운행 등급으로는 쾌속 통근 라이너, 각역정차가 있으며, 2019년 3월 시각표 개정으로 각종 노란색 구형 전동차가 사라지고 227계 전동차만 운행 중이다. 2014년 8월에는 노선기호 B가 부여되었다.
2017년에는 카베역에서 1.6km를 더 연장하여 아키카메야마역까지 재개업하였다. 폐선된 구간의 철로를 전철화하여 부활시키는 형태로[1], 이중 아키카메야마역은 옛 코도역에서 400m 정도 산단쿄 방면으로 이설되고, 코도호마치가와역은 순수하게 새로 생기는 역이다.
1.1. 노선 데이터
- 관할: 서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요코가와~아키카메야마 15.6km
- 궤간: 1067mm
- 역 수: 14
- 복선구간: 없음
- 전화구간: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요코가와~카베: 특수자동폐색식
- 카베~아키카메야마: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ATS-SW
- 최고속도
- 요코가와~카베: 65km/h
- 카베~아키카메야마: 45km/h
- 운전지령소: 히로시마 종합지령소
- 특정도구시내 히로시마 시내: 전구간
- 교통카드 호환지역: 전구간
- 영업본부: 히로시마 지사
2. 역 목록
JR 서일본 카베선 | |||||
노선 | 번호 | 역명 | km | 환승노선 | 소재지 |
↑ 직통운행 | 보통(일부): | ||||
산 요 본 선 | <colbgcolor=#00a5bd><colcolor=#ffffff> B01 | 히로시마 (広島) | 3.0 | ¶JR 서일본 ¶히로시마에키역: 히로시마 전철 | 미나미구 |
B02 | 신하쿠시마 (新白島) | 1.2 | ¶히로시마 고속교통 | 나카구 | |
B03 | 요코가와 (横川) | 0.0 | ¶JR 서일본 ¶요코가와에키역: | 니시구 | |
카 베 선 | |||||
B04 | 미타키 (三滝) | 1.1 | |||
B05 | 아키나가츠카 (安芸長束) | 2.6 | 아사미나미구 | ||
B06 | 시모기온 (下祇園) | 3.9 | |||
B07 | 후루이치바시 (古市橋) | 5.3 | |||
B08 | 오마치 (大町) | 6.5 | ¶히로시마 고속교통 | ||
B09 | 미도리이 (緑井) | 7.3 | |||
B10 | 시치켄자야 (七軒茶屋) | 8.1 | |||
B11 | 바이린 (梅林) | 9.6 | |||
B12 | 카미야기 (上八木) | 11.2 | |||
B13 | 나카시마 (中島) | 12.6 | 아사키타구 | ||
B14 | 카베 (可部) | 14.0 | |||
B15 | 코도호마치가와 (河戸帆待川) | 14.8 | |||
B16 | 아키카메야마 (あき亀山) | 15.6 |
2.1. 폐선된 구간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오가우치역까지 특정도구시내구간에 포함되어 있었다. 미노치역은 폐선 당시에는 히로시마시 소속이 아니었기 때문에 특정도구시내구간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역명 | 영업거리 (요코가와 기점) | 승강장 | 환승 노선 |
코도 河戸 | 15.3 | 단선 | |
이마이다 今井田 | 17.7 | 단선 | |
아키카메야마 安芸亀山 | 20.6 | 단선 | |
케기 毛木 | 23.4 | 단선 | |
아키이무로 安芸飯室 | 25.1 | 섬식 | |
누노 布 | 27.5 | 단선 | |
오가우치 小河内 | 29.6 | 단선 | |
야스노 安野 | 32.1 | 단선 | |
미노치 水内 | 36.2 | 단선 | |
츠보노 坪野 | 37.6 | 단선 | |
타노시리 田之尻 | 40.6 | 단선 | |
츠나미 津浪 | 42.5 | 단선 | |
카구사 香草 | 44.4 | 단선 | |
카케 加計 | 46.0 | 섬식 | |
키사카 木坂 | 47.9 | 단선 | |
토노가 殿賀 | 50.0 | 단선 | |
카미토노 上殿 | 52.0 | 단선 | |
츠츠가 筒賀 | 54.1 | 섬식 | |
도이 土居 | 56.2 | 단선 | |
토고치 戸河内 | 57.3 | 섬식 | |
산단쿄 三段峡 | 60.2 | 단선 |
2.2. 이마후쿠선(미성선)
본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산단쿄(三段峡) - 하시야마(橋山) - 이비호쿠(芸北) - 바시야(波佐) - 토쿠타(徳田) - 아사히초(旭町) - 이와미이마후쿠(石見今福) - 하마다(浜田)
[1] 카베-산단쿄 구간 폐선 당시에도 카베-코도 구간에 한해서는 전철화하면 통근수요가 창출될 수 있으니 이 구간만은 전철화해서 보존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그래서 이 구간 만큼은 지자체와 협정을 맺어 선로 시설을 보존토록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