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
<colbgcolor=#bf1400> 경복궁 집옥재 景福宮 集玉齋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
건축시기 | 1891년 (이건) |
<colbgcolor=#bf1400> 집옥재[1] |
문화유산채널에서 제작한 집옥재 영상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에 있는 중국풍 전각이다. 어진과 도서를 보관하던 곳이다. 경복궁 북문인 신무문의 동남쪽, 건청궁의 서쪽에 있다.건물 3채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에 팔우정(八隅亭), 가운데에 집옥재(集玉齋) 본채, 그리고 동쪽에 협길당(協吉堂)이 있으며, 전각끼리 복도로 붙어있다. 집옥재 본채와 달리 팔우정과 협길당은 전통 한국 양식이다.
이름은 ‘옥(玉)과 같이 귀한 보배를 모은다(集)’는 뜻이다. 현판은 중국 북송의 유명한 서예가였던 미불의 글씨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2. 역사
<colbgcolor=#bf1400> 1906년 ~ 1907년 집옥재[2] |
고종은 이곳을 어진을 모시고, 책을 보관하며,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사용했다. 고종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서양 문물과 관련된 책을 청나라에서 대량으로 구입했는데, 대부분을 집옥재에 비치했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고종과 왕실이 경복궁을 떠나자 집옥재는 빈 건물이 되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이 이 일대에 주둔하면서 한동안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1996년에 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이 부대 이전을 한 뒤 복원, 수리 작업을 거쳐 2006년에 일반에게 공개되어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집옥재 일대 내부 구성도 |
원래의 경복궁 2차 복원 계획에선 이 건물들이 복원될 예정이었으나 복원계획 축소로 취소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이 포스팅을 참조.
4. 부속 건물
4.1. 팔우정(八隅亭)
<colbgcolor=#bf1400> 팔우정[3] |
역사는 집옥재와 같다. 서책을 보관하던 곳이다. 건물의 특징은 이 포스팅을 참조.
4.2. 협길당(協吉堂)
<colbgcolor=#bf1400> 협길당[4] |
역사는 집옥재와 같다. 고종이 휴식을 취하며 머물던 곳이다. 건물의 특징은 이 포스팅을 참조.
4.3. 보현당(寶賢堂)
<colbgcolor=#bf1400> 현재 남아있는 보현당 현판 |
집옥재 남쪽에 있던 어진 봉안을 하거나 고종이 외국 공사를 접견하는 곳이었다.
동쪽의 행각은 창고로 이용했다.
4.4. 가회정(嘉會亭)
집옥재 남서쪽에 있던 어진 봉안을 하거나 고종을 알현하려는 외국 공사의 휴게실이였다.
북서쪽의 복도는 신무문으로 이어졌다.
4.5. 시계탑(時計塔)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시계탑 문서 참고하십시오.
5. 여담
- 집옥재에서 보관했었던 도서들에 대한 책으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 중인 《집옥재서목(集玉齋書目)》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관 중인 《집옥재목록외서책》이 있다. 집옥재에 있던 도서 목록은 경술국치 이후 《집옥재서적조사기》로 다시 정리되었다. 1915년에 집옥재 도서의 대부분은 조선총독부 소유로 넘어갔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있었다가 현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관 중이다. 저 때 조선총독부가 아닌 이왕직으로 넘어간 도서들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 중이다.#
5.1. 집옥재 작은도서관
<colbgcolor=#bf1400> 집옥재 도서관 내부[5] |
<colbgcolor=#bf1400> 북카페가 된 팔우정 1층 내부[6] |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경복궁 개관 시간대(오전 9시 ~ 오후 5시 30분)에 한해 언제든 이용할 수 있다. 단, 문화재 보호를 위해 최대 수용인원인 50명이 넘을 경우 입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정기적으로 시민들을 위한 왕실문화강좌도 열고 있다. 신청은 경복궁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