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중앙역(부산) 문서 참고하십시오.
중앙역 (서울예술대학교) | ||||||
불암산 방면 한대앞 ← 1.6 ㎞ | 4호선 (450) | 오이도 방면 고 잔 1.4 ㎞ → | ||||
불암산 방면 상록수 ← 3.1 ㎞ | 4호선 급행 | 오이도 방면 초 지 2.9 ㎞ → | ||||
청량리 방면 한대앞 ← 1.6 ㎞ | 수인·분당선 (K252) | 인천 방면 고 잔 1.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성포 정거장 ← 1.7 ㎞ | 신안산선 건설 중 | --[[신안산선/한양대 정거장| 한양대 정거장 방면 1.3 ㎞ → | ||||
광 명 ← 12.6 km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신안산선 급행 ]]건설 중 | --[[신안산선/한양대 정거장| 한양대 정거장 방면 2.7 km → | }}}}}}}}} | |||
역명 표기 | ||||||
안산선 | 중앙 (서울예술대학교) Jungang 中央 / [ruby(中央, ruby=チュンアン)] | |||||
수인선 | ||||||
4호선 | ||||||
수인·분당선 | ||||||
주소 |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18 (고잔동 167-378)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3급 (안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안산선 | 한국철도공사 | |||||
수인선 | ||||||
신안산선 | 에스트랜스(주) | |||||
개업일 | ||||||
수인선 | 1988년 10월 25일 ~1994년 9월 1일 | |||||
2020년 9월 12일 | ||||||
안산선 | 1988년 10월 25일 | |||||
안산선 (당시 국철) | 1988년 10월 25일 ~2003년 4월 30일 | |||||
4호선 | 1994년 4월 1일 | |||||
수인·분당선 | 2020년 9월 12일 | |||||
신안산선 | 2026년 12월 예정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1]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금정 방면 | 안산선 중 앙 | 오이도 방면 | ||||
한대앞 ← 1.6 ㎞ | 고 잔 1.4 ㎞ → | |||||
수인선 중 앙 | ||||||
수원 방면 | 인천 방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성포 정거장 ← 1.7 ㎞ | 중 앙 (미개통) | --[[신안산선/한양대 정거장| 한양대 정거장 방면 1.3 ㎞ → | }}}}}}}}} |
[clearfix]
1. 개요
중앙역 역명판 |
<nopad> |
중앙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중앙역사를 형상화했다. |
예로부터 명당자리로 안산시청 입주
중앙역은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997.8㎡ 규모의 적벽돌 단층 슬라브 건물로 역사가 설립되었던 1988년 당시, 행정동명이었던 안산 중앙동에 인접한 것에서 역명이 유래하였다. 일대는 오래전부터 명당이라 불리던 곳으로 장차 큰 대궐이 들어선다는 예언이 이어져오다 신도시 개발로 안산시청이 자리하게 되었다. 부역명 서울예술대학교를 비롯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등 여러 대학이 위치하고 주거지가 밀집하고 있어 신도시다운 젊은 청년들의 로데오거리가 형성되어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역(Jungang station, 中央驛)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18 (고잔동 167-378)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450번)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K252번)의 환승역이다. 부기역명은 서울예술대학교이다.중앙역은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997.8㎡ 규모의 적벽돌 단층 슬라브 건물로 역사가 설립되었던 1988년 당시, 행정동명이었던 안산 중앙동에 인접한 것에서 역명이 유래하였다. 일대는 오래전부터 명당이라 불리던 곳으로 장차 큰 대궐이 들어선다는 예언이 이어져오다 신도시 개발로 안산시청이 자리하게 되었다. 부역명 서울예술대학교를 비롯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등 여러 대학이 위치하고 주거지가 밀집하고 있어 신도시다운 젊은 청년들의 로데오거리가 형성되어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2.1. 협궤철도 수인선 중앙역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수인선 (협궤철도) | ||||
수 원 방면 한 대 앞 ← 1.7 km | ← | 중 앙 | → | 송 도 방면 고 잔 1.4 km → |
1994년 9월 1일 부로 폐선된 수인선 전체 노선도는 수인선/폐역 목록에서 참조하십시오. |
협궤철도 수인선 역명판 |
1980년대 중반 안산에 신도시를 계획함에 따라 수인선은 현재의 선형으로 이설되었고, 안산선 계획이 입안되면서 수인선과의 공동 정차역으로 추가 내정되었다. 이 때 도시계획과의 불일치로 인해 안산선 북쪽 바로 옆을 지나가던 중앙역 인근 수인선 협궤철로는 안산선 개통과 함께 남쪽으로 이설되었다.[2]
안산선 전철 개통과 함께 수인선도 이 역에 1면 1선의 승강장을 설치해 이 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정확히는 전철역 출입구 바로 앞에 수인선을 깔아서 취급했다. 물론 이것도 1994년 9월 1일을 끝으로 정차하지 않게 되었으나 선로와 승강장, 역명판이 오랫동안 남아 있다가 선로가 먼저 철거되었으며[3] 이후 2015년 12월 중순 쯤에 역명판도 철거되었다.[4]
2.2. 수도권 전철 4호선/수인·분당선
1980년대 중반 안산에 신도시를 계획함에 따라 안산선 계획이 입안되면서 정차역으로 내정되었다. 당시 계획도시로 준비 중이었던 안산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보니, 안산선 초기 기획 당시의 역 명칭은 반월출장소(당시 행정구역)에서 따온 반월역 혹은 안산시에서 따온 안산역이었다.[5] 하지만 이 역은 안산선의 시종착역이 아니었기에 행선지 측면에서 안산선이라는 노선 이름이 부각되지 못할 것 같다는 철도청의 판단 하에, 최초 명칭이 원곡역으로 내정되었던 원곡동에 위치한 시종착 역명을 오늘날의 안산역으로 변경했고, 대신 1980년대 중반 당시 이 역 부지의 행정동 명칭이었던 중앙동의 이름을 따서 중앙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후 반월역이라는 역명은 건건동에 있는 역의 이름이 되었고, 중앙동은 고잔1동, 고잔2동, 성포동으로 분동되었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 근처 시내를 여전히 습관적으로 '중앙동'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이 역 주변인 고잔2동을 '중앙동으로 환원하자'는 설문 조사를 하였다.[6] 설문조사 결과 중앙동으로 바꾸는 것에 대한 찬성비율이 92.9%가 나왔으며, 실제로 환원되었다. 한편 고잔1동은 그대로 고잔동이 되었다.[7][8]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이 시행되면서 '서울예술대학교'라는 부역명이 붙었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서울예술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중앙 역명만 방송한다.
4호선 일반 열차와 수인·분당선에서는 환승 안내방송이 송출되지 않지만, 4호선 급행 안내방송의 경우 얼씨구야와 함께 수인·분당선과의 환승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노선 공용 구간이고, 한대앞역에는 4호선 급행이 정차하지 않으므로 가장 가까운 환승역인 중앙역에서 송출되는 듯 하다.
2010년 1월 18일부터 안산선 급행열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다만 같은 노선의 다른 급행 정차역들과는 달리 승강장 시설이 다소 부족하다. 다른 안산선 급행 정차역은 부본선이 있지만, 중앙역과 초지역, 정왕역은 부본선이 없다. 이 역은 노반이라도 있지만, 초지역과 정왕역은 전형적인 상대식 승강장의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부본선을 설치하려면 역 외벽을 모두 뜯고 다시 공사해야 한다. 다만 초지역은 인천발 KTX 정차 때문에 부본선을 저상홈으로 설치할 계획이 있다.
4호선(급행)과 수인·분당선의 공용 구간에서 상행(불암산/왕십리 방면)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마지막 역이다. 4호선 급행의 경우 한대앞역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이 역을 마지막으로 4호선은 상록수역으로, 수인·분당선은 한대앞역으로 갈라져 나가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둘다 해당 구간에서의 배차간격이 다소 길기 때문에 이 역에서마저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운영기관 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지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방송하고 있다.
2.3.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신안산선 중앙역 조감도 |
이 역을 기준으로 성포 정거장 및 호수 정거장 양방향으로 급곡선이 생길 예정이다.
2.4. 민자역사 계획
안산선 중앙역사가 노후화되고 철도 이용 고객의 편의시설도 턱없이 부족하여 지난 2004년부터 중앙역 민자역사 개발을 추진해왔다. 안산선 지하화를 염두에 두고 전혀 지장이 없도록 민자역사 설계 단계에서부터 반영한다는 계획이었다.[9]
하지만 사업 주관사를 선정한 지 6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인허가 협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해 제자리 걸음을 했다. 민자역사 논의 때문에 안산선 역사에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설치 작업을 할 때 중앙역만 설치되지 않았고, 민자역사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면서 뒤늦게 엘리베이터만 설치되었고, 지금은 스크린도어까지 설치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근처 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부역명)가 있으며 도보 2분 거리에 직업전문학교인 한국호텔관광전문학교가 있다. 그리고 한양대학교 ERICA는 한대앞역에서보다 이곳에서 가는 것이 차량 이동이나 도보 이동시에 직선이라 더 빠르다. 버스는 62번과 80C번을 타면 된다. 다만 셔틀버스는 한대앞역에 있고 62번·80C번은 조금 돌아서 가기 때문에 한대앞역에서 내리는 게 속은 편하다.역 남쪽으로 2000년대 들어 새로 조성된 아파트단지가 있는 호수동과 몇몇 주택가가 있으며, 역 북쪽으로는 안산의 역사와 함께 해 온 상업지구(CGV 안산 등)가 밀집되어 있어 유동인구가 많다. 안산 시민들이 안산 시내에서 마시고 놀고 싶을 때 모이는 곳이 이 역 근처이다. 또한 안산종합버스터미널이 걸어서 약 10분 거리에 있다.
한대앞역 방향인 동쪽으로 가다 보면 안산천이 있는데 유명한 철새 도래지인 시화호로 들어가는 하천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시기를 잘 잡으면 이곳에서도 물질하러 올라온 소수의 철새를 구경할 수 있다. 그리고 고잔역 방향인 서쪽으로는 멸종위기종인 금개구리가 서식하는 습지가 있다. 이 습지는 개발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견된 서식지이다. 지금은 서식지 보전사업과 환경 공원 조성을 하고 있다. 이외에 동쪽에 롯데마트 안산점이 있다.
중앙역 출구를 나가면 중앙대로를 가로지르는 지하도가 있는데 그 지하도를 건너서 오른쪽 계단으로 나가면 버거킹이 있다.
3.1. 출구 정보
중앙(서울예술대학교)역 출구 정보 | |
1 | 서울예술대학교 중앙동우체국 성포동우체국 주공아파트 안산시민방위교육장 안산광덕초등학교 성포중학교 삼일초등학교 안산중앙초등학교 안산중앙중학교 로데오거리 상록구노인종합복지관 고잔지구대 |
2 | 송호중학교 송호초등학교(경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경기서부지사 중앙역환승주차장 전통공예문화협회 한국창작종이문화원 고잔고등학교 양지중학교 안산양지초등학교 호수동우체국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color=#fff> 연도 ||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88년 | 6,100명 | |||
1989년 | 7,123명 | ||||
1990년 | 12,072명 | ||||
1991년 | 13,990명 | ||||
1992년 | 11,657명 | ||||
1993년 | 11,228명 | ||||
1994년 | 13,207명 | ||||
1995년 | 16,040명 | ||||
1996년 | 16,561명 | ||||
1997년 | 18,294명 | ||||
1998년 | 17,571명 | ||||
1999년 | 16,507명 | ||||
2000년 | 16,104명 | 비고 | |||
2001년 | 21,870명 | ||||
2002년 | 27,479명 | ||||
2003년 | 29,571명 | ||||
2004년 | 23,594명 | [10] | |||
2005년 | 24,288명 | ||||
2006년 | 24,623명 | ||||
2007년 | 25,543명 | ||||
2008년 | 26,860명 | ||||
2009년 | 27,254명 | }}}}}}}}} | |||
2010년 | 29,267명 | ||||
2011년 | 31,113명 | ||||
2012년 | 32,302명 | ||||
2013년 | 34,759명 | ||||
2014년 | 36,524명 | ||||
2015년 | 36,044명 | ||||
2016년 | 36,008명 | ||||
2017년 | 35,828명 | ||||
2018년 | 36,322명 | ||||
2019년 | 37,283명 | ||||
2020년 | 27,213명 | [11] | |||
2021년 | 30,341명 | ||||
2022년 | 34,650명 | ||||
2023년 | 37,251명 | ||||
2024년 | 37,605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안산선 전 구간에서 승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한국철도공사 4호선 구간에서는 3위, 4호선의 전 범위로 넓혀도 17위로 중상위권에 있다. 안산시의 상업/업무 중심지인 곳이지만 2000년에는 그렇게 이용객이 많지 않았다. 하루에 승하차객이 2만 명도 되지 않았는데, 아직 고잔신도시가 한창 공사 중이던 때라 고잔2동 및 성포동 등 철길 북쪽에 역세권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0~2003년 사이에 고잔신도시 입주가 진행되고 역세권이 확장되면서 중앙역을 찾는 이용객들이 큰 폭으로 늘었다. 그리하여 2000년대에는 2만 명대 중반 선에서 꾸준히 이용객이 늘고 있다.
-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앙역을 하루에 찾는 이용객이 3만 명을 돌파하였고 이러한 증가세는 2014년까지 이어졌다. 3만 6천 명까지 상승하였다가 조금씩 내려가는 추세이지만 중앙역 번화가 뒤쪽의 주공아파트 재건축이 완료되는 2018년부터는 다시 승객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또한 2018년부터 입주가 시작되고 있는 송산그린시티에서 10번 버스를 통해 연계되는 제일 가까운 전철역이라는 것도 이용객 증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때문에 2019년에는 이용객 수가 큰 폭으로 올랐다. 게다가 서해선 국제테마파크역, 서화성역이 개통하더라도 이는 변하지 않을 전망이다. 왜냐하면 10번 버스가 들어가는 새솔동은 여전히 10번 버스를 통해 연계되는 중앙역이 제일 가깝기 때문이다. 다만 신안산선 한양대 정거장이 개통한다면 광역수요가 대거 이탈할 것으로 전망된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직결 이후 코로나 펜데믹에도 불구하고 승하차량을 서서히 회복하더니, 상록수역을 제치고 안산선 전 구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 되었다.
- 전국 모든 도시철도 역 중에서 타지 방문객 수요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주민 이용객 수요 비율이 가장 높은 역이다.
- 주 이용객층은 고잔신도시와 반월신도시 인근 주민이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4호선 및 수인·분당선
승강장 | 철거 전의 한대앞 방향 타는 곳 안내와 역명판 |
↑ 한대앞 | |||||||
1 | ㅣ | ㅣ | 2 | ||||
고잔 ↓ |
1 | 수도권 전철 4호선 | 상록수·금정·명동·불암산 방면 |
1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서현·선정릉·청량리 방면 |
2 | 수도권 전철 4호선 | 초지·안산·신길온천·오이도 방면 |
2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신길온천·인천논현·연수·인천 방면 |
이 역 또한 초지역이나 고잔역처럼 2면 4선식 확장을 대비하여 설계되었는데, 두 역과는 달리 고가 구조물까지 이미 만들어져 있다.
역 지붕이 전철 기준 3번 칸 ~ 8번 칸인 6량에 맞춰져 있다. 그래서 기상 상황이 나쁜 날에는 1, 2, 9, 10번 칸 승하차가 불편하다. 수인·분당선의 경우 1번 칸과 2번 칸만 피한다면 비를 피할 수 있다.
5.2.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미개통)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신안산선 중앙역 조감도 |
↑ 성포 정거장 | |||
상 | ㅣ | ㅣ | 하 |
호수 정거장 ↓ |
6. 연계 교통
- 이 역은 고잔역과 마찬가지로 양방향으로 가는 버스가 섞여서 들어온다. 하단의 표에 행선지가 적혀 있지 않은 노선의 경우 양방향 모두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이다.
- 전 정류장 정차의 경우 안산터미널 → 중앙역 → 고잔신도시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이며, 1번 출구 건너편 → 1번 출구 → 2번 출구 순으로 정차한다. 반대 방향의 경우 1번 출구에만 정차한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f2023><color=#373a3c,#ddd> 전 정류장 정차 ||
중앙역1번출구(18362) 종착(회차) → 1번출구건너편 출발 |
중앙역1번출구(18362) 종착(회차) → 2번출구 |
2번출구 → 중앙역1번출구(18362) 종착(회차) → 안산터미널 방면 |
중앙역2번출구(18361) 종착(회차) ⇄ 1번출구 |
중앙역1번출구(18362) |
중앙역1번출구건너편(18355) |
중앙역2번출구(18361)[14] |
7. 사건 사고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는 투신 자살 사고가 많았다. 2017년에만 세 차례의 자살 사고가 발생했다.
- 2015년 12월 18일 금요일, 투신 자살 사고 발생
- 2017년 8월 2일 수요일 오전 8시, 투신 자살 사고 발생
- 2017년 8월 31일 목요일 오전 11시 45분, 투신 자살 사고 발생
이 사고 발생으로 인해 50분간 4호선 양방향 운행이 중지되었다. - 2017년 12월 4일 월요일 오전 7시, 투신 자살 사고 발생
8. 기타
- 영화 시월애에 나왔던 적이 있다. 또한 정이현의 소설 <너는 모른다>에도 이 역이 묘사되어 있다. 작중 인물인 '유지'가 온라인에서 알게된 '하울카'와 만나는 곳이다.
* 플랫폼에 많은 비둘기들이 상주하고 있다.[15] 이 때문에 비둘기들에게 먹이를 주지 말 것을 권고하는 안내판이 부착되어 있다.
[1] 실제로는 쌍섬식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나 현재 부본선에는 노반만 있다.[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4]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5] 실제로 이 근처에 안산시청(이전에는 반월출장소 청사)이 있다.[6]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7] 「안산시, 동 명칭 변경사업 '주춤'…"주민의견 수렴 중"」, 뉴시스, 2016-09-22[8] 「안산시 해양동, 중앙동, 백운동 등 행정복지센터 현판식… 본격 업무 돌입」, 경인일보, 2017-07-06[9] 「“민자역사로 … 새롭게 태어난다”」, 반월신문, 2010-06-17[10]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11] 9월 12일에 개통된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4호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순환] 순환노선의 인가상 회차점으로, 실제로는 대기 없이 출발한다.[순환] [14] 7번, 62번, 80C번을 제외하면 모두 중앙역1번출구에 정차 후 이곳으로 들어온다.[15] 얼마나 많냐면, 가까이 다가가도 유유히 걸어가는 수준이며, 운이 안좋으면 가는 길마다 비둘기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9.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e3> 진접선 |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
서울 지하철 4호선 | 불암산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 |
과천선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 |
안산선 |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abe00> | |
서울숲 - 압구정로데오 - 강남구청 - 선정릉 - 선릉 - 한티 - 도곡 - 구룡 - 개포동 - 대모산입구 - 복정 - 가천대 - 태평 - 모란 - 야탑 - 이매 - 서현 - 수내 - 정자 - 미금 - 오리 - 죽전 - 보정 - 구성 - ## 구성 - 신갈 - 기흥 - 상갈 - 청명 - 영통 - 망포 - 매탄권선 - 수원시청 - 매교 - | ||
수원 - 고색 - 오목천 - 어천 - 야목 - 사리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달월 - 월곶 - 소래포구 - 인천논현 - 호구포 - 남동인더스파크 - 원인재 - 연수 - 송도 - 인하대 - 숭의 - 신포 -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안산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수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04938> | ''' 영등포 - 신풍 - 구로디지털단지 - 독산 정거장 - 석수 - 목감 정거장 - 성포 정거장 - 호수 정거장 - ''' |
''' | ||
''' 시흥능곡 - 달미 - 선부 - 시우 - 원시 - 국제테마파크 - 서화성 - 화성시청 -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