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4:39:13

한대앞역

일리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와 가까운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한양대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향후 개통될 신안산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신안산선/한양대 정거장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폐역 고잔 - [ruby(성두, ruby=1937~1970?)] - 일리
한대앞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중 앙
1.6 ㎞ →
수인·분당선
(K251)
역명 표기
안산선 한대앞
Hanyang Univ. at Ansan
漢大앞 / 汉阳大学(安山) / [ruby(漢大, ruby=ハンデ)]アプ
수인선
4호선
수인·분당선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337 (이동 211-5)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1]
(안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안산선 한국철도공사
수인선
개업일
수인선 1937년 8월 5일[2]
~1995년 12월 31일
2020년 9월 12일
안산선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1988년 10월 25일
~2003년 4월 30일
4호선 1994년 4월 1일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colbgcolor=#fff,#191919>
금정 방면
상록수
← 1.5 ㎞
안산선
한대앞
중 앙
1.6 ㎞ →
수원 방면
사 리
← 2.2 ㎞
수인선
한대앞

1. 개요2. 역 정보
2.1. 협궤철도 수인선 일리역2.2. 안산선 개통과 역명 개정2.3. 역무시설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1/3번 출구 방면6.2. 2번 출구 방면
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한대앞역 스탬프.jpg
한대앞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3]
수도권 전철 4호선 449번,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51번.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337 (이동 211-5) 소재.
1937년 수인선 협궤열차 역사인 일리역이 전신
2020년 부터 수인선과 안산선 분기역으로 역할
한대앞역은 1937년 8월 수인선의 협궤열차 역사인 일리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명은 주변 지역명인 일리에서 따온 것이다. 1988년 안산선이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다시 태어난 한대앞역은 역사가 일리에서 이리로 신축, 이전되면서 인근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를 고려하여 역명을 변경하였다. 한대앞역은 1994년 수인선의 송도구간이 폐선되며 수인선 종점으로 역할하다 1996년 수인선이 영업 중지되며 전철만 운행하였으나 2020년 9월 수인선이 새롭게 시작하며 다시 수인선과 안산선의 분기역으로 역할하게 되었다. 역사는 603㎡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171.2㎡ 규모의 적벽돌 2층 슬라브 건물로 2001년 고잔신도시로 통하는 2번 출입구를 신설한 후 학생들의 접근성이 매우 높아졌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파일:한대앞역.jpg
현 역사 (1988년 준공)
파일:역안내도_한대앞.png
역 안내도 크게 보기

2.1. 협궤철도 수인선 일리역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수인선 (협궤철도)
수 원 방면
사 리
← 2.2 km
일 리
남인천 방면
고 잔
3.9 km →
1994년 9월 1일 부로 폐선된 수인선 전체 노선도는 수인선/폐역 목록에서 참조하십시오.
파일:1000004621Ilri1968.jpg 파일:일리역.jpg
<rowcolor=#fff> 1968년의 타는곳의 모습 바로 옆에 4호선 열차가 있는 것을 보면 과천선 개통 후인 1994년 4월 이후의 풍경이다. 수인·분당선 연장 공사 전 모습은(여기서 확인)

1937년 8월 5일일리역으로 개업했으나, 1976년 7월 10일에 화물취급이 중지되고[4], 1977년 9월 1일에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된다.[5] 보통역이던 일리역은 1977년 10월 24일에 역원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6] 그리고 결국은 1982년 9월 1일에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2.2. 안산선 개통과 역명 개정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으로 역 위치를 200m 서북쪽(안산/인천 방향)으로 옮겼고, 주소가 일리(현 일동)에서 이리(현 이동)로 바뀌면서 역명도 바뀔 필요가 생겼다. 안산선 공사 당시에는 매화역이라는 가칭이 쓰이기도 했으나 개통 직전에 반월출장소(현 안산시의 전신)와의 협의에 따라 인근 대학 캠퍼스인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당시 안산캠퍼스)에서 따와 한양대앞역으로 명칭이 내정되었다. 그러나 서울 지하철 2호선한양대역과 혼동을 우려했는지 이걸 다시 3글자로 줄인 한대앞역이라는 명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렇게 역명의 유래는 한양대학교 ERICA이지만, 역이름과는 달리 거리가 가까운 편이 아니라서 교내 셔틀버스가 운행중이다. 그리고 여전히 혼동의 여지가 남아 있어서,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수도권 전철 4호선 한대앞역을 헷갈려 곤란해 하는 것을 그린 웹툰도 있고 역무원에게 지하철 표를 발권받던 시절에는 역무원이 표를 잘못 주는 일도 비일비재했었다.

허허벌판이던 시절엔 그나마 저 멀리에서라도 보이던 게 에리카 캠퍼스뿐이었지만, 세월이 흘러 2000년대 초반[7] 즈음에 고잔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아파트 단지와 상업지구가 시야를 가려 버렸고, 도로 형태마저 바뀌어 실제 통과하는 도로 거리 또한 늘어났기 때문에 '한대앞'이라는 역명이 무색해졌다.[8] 그래서 실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는 오히려 중앙역에서 도로를 따라 직진해서 쭉 가는 것이 더 편한 방법이다. 중앙역에서 걸으나 한대앞역에서 걸으나 걸리는 시간과 거리는 비슷한데 굳이 따지자면 직선으로 되어있는 중앙역이 좀 더 가깝다. 2.8km의 거리로 50분 소요되어 걷기에는 힘드니 버스환승이 필수적이다.

개통 당시 영문역명은 Handae였다가 Handaeap이었으나 지금은 Hanyang Univ. at Ansan으로 바뀌었다. 외대앞역도 Oedae, 이대역도 Idae, 교대역도 Gyodae였던 것을 생각해 보면 당시에는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를 영문 표기로도 그대로 쓰는 것이 원칙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얼마 안 가 각각 해당 학교의 영문 명칭을 그대로 써서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Ewha Womans Univ., Seoul Nat'l. Univ. of Edu.로 표기법이 변경된 외대앞역, 이대역, 교대역과 달리 한대앞역의 현행 영문 표기는 2003년에서야 개정되었다. 지금도 1번 출구 쪽에 있는 표지판은 오래된 것이라 그런지 아직도 'Handae-ap'참조이라고 적혀 있다.

이전 당시에는 역 주변 일대가 거의 황무지나 다름없었기에 역에서 눈에 띄게 인식 가능한 건물은 사실상 이곳밖에 없었다. 이전 당시에도 '이동'이라는 행정구역명이 있었는데 이걸 쓰지는 않았다. 안산시는 화성군 시절의 일리(一里), 이리(二里), 사리(四里) 같은 단지 숫자를 붙인 단순한 이름을 시 승격 후 변경할 계획이 있었고, 한양대학교가 위치한 사동 중 일부를 대학동으로 변경하려 하였다.[9][10] 실제로 대학동이라는 명칭도 일부 시설[11]에 사용된다.

2.3. 역무시설

한대앞역은 안산선 개통 이래 수인선 협궤철도와 안산선이 나뉘는 분기역이었으며, 협궤철도 폐선 이후 단일역으로 존재하다가, 2020년 수인선 광역전철 완전 개통으로 다시 수인선안산선의 분기역이 되었다.

한대앞역이라지만 정작 개통 당시 출입구는 역 동북쪽에 나 있는 1번 출구 하나밖에 없었고, 선상역인데도 대합실이 1번 출구 쪽에 치우쳐 있는 형태였다. 그 때문에 정작 한양대 에리카로 가기는 불편한 구조였다. 한양대학교에서 교통편의를 위해 전철역까지 무료로 운행하는 셔틀버스도 초기에는 이 역이 아니라 교통이 비교적 편리한 상록수역을 기점으로 해서 운행했다고 한다.[12] 그러다가 1990년대 말 역 서남쪽에 고잔신도시가 들어서자 2001년경 고잔신도시로 통하는 2번 출구를 신설했으며, 2001년부터 셔틀버스도 한대앞역을 기점으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관련 문서. 그 후 한대앞역의 이용객 수가 대폭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라 9시 30분 첫 수업 시간에 맞추기 위해 아침부터 서울에서 온 학생들로 장사진을 이뤘고, 심한 경우 2번 출구 계단까지 줄이 이어질 정도였다.

그 후 2007년에는 맞이방에서 역 북동쪽 길 건너로 바로 통하는 육교를 개설해 새로이 3번 출입구[13]를 개설했고, 2009년에는 기존에 있던 가파르고 굽어지고 부실해보였던 2번 출입구 대신 새로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2번 출입구를 개설하였다.[14] 기존에 있던 2번 출구는 폐지. 그리고 2번 출입구에서 맞이방으로 통하는 선상통로 위에 바로 승강장과 통하는 장애인/노약자 전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개찰구 다 있으니 여기서 부정승차할 생각은 말자.

2015년 10월부터 2번 출구 앞의 버스 정류소 및 주차 공간이 사라지고, 한대앞역 2번 출구에 전체적으로 광장이 조성되었다.[15] 공사 전 모습만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보면, 여기가 이렇게 넓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이다. 또한 공사로 인해 한양대 에리카 셔틀버스 정류장은 2번 출구에서 쭉 직진해서 도로와 만나는 곳으로 변경되었고, 택시 승강장과 버스 정류장은 한양대 에리카 셔틀버스 정류장에서 오른쪽으로 30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되었다.

파일:한대앞역 4호선 수인선 교행.jpg
2017년 11월 한대앞역 부근에서 수인선 직결 공사가 시작되어 2020년 9월 12일 모든 공사를 끝내고 수인선 3단계 구간이 개통하였다. 2019년 1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선로용량 폭발을 우려해서, 한대앞역의 중앙역 방면에 인상선을 설치해서 4호선 열차의 절반을 한대앞역에서 중간종착하는 것을 계획했었다. #[16] 그런데 이 방안이 평면교차를 만들어서 교차지장으로 선로용량을 과중시키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이 동인천역 형태 Y선식 배선을 제안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20년 9월 수인·분당선 직결 개통 시점에서는 위에 언급된 인상선이 설치되지 않아 4호선은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고 한대앞행 중간종착 열차는 없다. 기존 4호선 이용객들의 환승저항 문제가 크게 걸린 것으로 보인다. 대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수요 감소와 겹쳐 수인·분당선의 한대앞 ↔ 수원 구간의 배차간격이 엄청나게 늘어난 채로 개통하여 운행에 들어갔다.

한때 수인선 협궤철로의 흔적인 수인선 승강장과 선로 종점이 오이도 방면 승강장에 남아 있었다. 오이도 방면 승강장의 열차가 들어오는 방면 끝에 선로 노반으로 내려가는, 당고개행 승강장의 철제 계단과는 이질적인 콘크리트 계단이 있는데, 이 계단이 과거에 수인선 승강장으로 통하는 계단이었다. 계단 아래의 노반에는 빨간색 보도블록이 깔린 1면 1선의 승강장이 있었는데, 역명판은 철거되었고, 보도블록은 일부가 흩어진 상태였다. 여름이 되면 풀숲이 되어서 알아보기 어려웠지만, 겨울에는 알아보기 쉬웠다. 하지만 수인선 직결 공사로 인해 2017년 12월에 승강장은 철거되고 계단만 남았다. 한편, 선로 종점은 2012년에 그 후로는 자갈과 침목 몇 개 등 흔적만 남아 있었다가 수인선 직결 공사로 인해 그조차도 사라졌다. 더 예전에는 협궤철로도 남아 있었는데, 2000년대 후반에 철거되었다.

안산선 공사 당시부터 수인선의 복선전철화와 표준궤화 계획이 장기 계획으로 있었기 때문에, 상록수역과 한대앞역 사이의 안산선은 수인선 복선전철의 입체교차를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수인선 수원 방면 표준궤 전철 선로가 하부로 지나갈 교량도 만들어두었다. 2013년 착공 이전 모습 이 시설은 장장 32년간 잠들어있다가 202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4호선(완행)과 수인·분당선의 공용 구간에서 상행(불암산/왕십리 방면)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마지막 역이다. 이 역을 마지막으로 4호선은 상록수역으로, 수인·분당선은 사리역으로 갈라져 나가며, 두 노선 모두 해당 구간에서의 배차간격이 다소 길기 때문에 이 역에서마저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17] 이를 운영기관 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지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방송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1번 출구 근처에 안산농수산물도매시장이 있다. 2번 출구에는 한대앞역 로데오거리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한대앞역 광장에서 한양대 ERICA 셔틀버스를 탈 수 있다.

상록수역(사리역) 방면에 임시도로가 있었다. 협궤열차 시절 수인선이 폐선되고 수인선 복선 공사가 계획중이었는데 IMF 외환위기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그로 인해 이동(정확히는 한대앞역 북쪽에 있는 이동의 일부)과 사동 간의 교통이 불편해졌는데, 이 때문에 임시도로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티스푼 공사로 인해 공사가 지지부진하게 이어져 약 20년간 사실상 정식 도로 노릇을 했다. 그러다가 2017년 11월에 한대앞역까지 수인선 공사가 진척되면서 2017년 11월 15일에 임시도로가 폐쇄되고 4호선과 수인선이 만나는 지점 부근에서 사동과 본오3동을 잇는 지하차도(4차선)가 개통되었고, 임시도로가 있었던 자리엔 지하차도(1차선)와 지하보도가 개통되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역 출구 정보
1안산농수산물도매시장
2상록수119안전센터
성안중학교
성안초학교
경기도안산교육지원청
푸른마을아파트
늘푸른아파트
고향마을아파트
헌혈의 집 한대앞역센터
로데오거리
3안산농수산물도매시장
이동행정복지센터
매화초등학교
구룡공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88년 1,428명
1989년 1,307명
1990년 1,783명
1991년 2,833명
1992년 2,506명
1993년 2,073명
1994년 2,615명
1995년 3,260명
1996년 3,516명
1997년 3,922명
1998년 4,801명
1999년 5,092명
2000년 6,632명 비고
2001년 14,288명
2002년 19,608명
2003년 22,104명
2004년 16,761명 [18]
2005년 16,566명
2006년 16,268명
2007년 16,488명
2008년 17,340명
2009년 16,887명 }}}}}}}}}
2010년 17,466명
2011년 19,049명
2012년 19,695명
2013년 20,557명
2014년 20,879명
2015년 19,819명
2016년 19,321명
2017년 18,758명
2018년 18,103명
2019년 17,811명
2020년 12,825명 [19]
2021년 15,093명
2022년 17,688명
2023년 18,644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파일:한대앞역 승강장.jpg 파일:한대앞역 역명판.jpg
역명판[21]
사리 상록수 사리
1 2 3 4
중앙
1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서현·왕십리 방면
<colbgcolor=#00a4e3> 2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상록수·금정·불암산 방면
3 중앙·안산·오이도 방면
4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신길온천·인천논현·인천 방면
이 역에서 청량리[22]·왕십리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오른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29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복정역이다.[23]

승강장은 한대앞역 개통 당시부터 수인선 복선전철을 고려해 2면 4선을 수용 가능하도록 했으나 실제로는 2면 2선으로 운영되었고, 2010년대 말에 수인선 복선전철 공사가 시작되면서 양측에 수인선 선로를 가설해 2면 4선 구조로 전환하였다.

6. 연계 교통

1번 출구와 3번 출구는 충장로 상에, 2번 출구는 광덕1로와 광덕4로 방향으로 있다. 2번 출구에서 길을 건너가야 하는 정류장은 연두색 처리.

6.1. 1/3번 출구 방면

출구 정류장명 번호 경유지
1번 한대앞역
1번출구
(17127)
11 일동ㆍ상록수역ㆍ본오동ㆍ팔곡동ㆍ반월동ㆍ당수동ㆍ입북동ㆍ서수원터미널ㆍ수원역ㆍ팔달문ㆍ광교신도시 방면
23 일동ㆍ상록수역ㆍ본오동 방면
52 상록수역ㆍ본오동 방면
80A 일동ㆍ상록수역ㆍ본오동ㆍ사리역ㆍ명휘원ㆍ그랑시티자이 방면
101 상록수역ㆍ본오동 방면
125 일동ㆍ상록수역ㆍ본오동 방면
3번 한대앞역
3번출구
(17130)
11 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원시역 방면
23 시외버스터미널/홈플러스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오이도역ㆍ월곶지구ㆍ월곶역 방면
52 시외버스터미널/홈플러스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66 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80B 시외버스터미널ㆍ중앙역ㆍ안산문화광장ㆍ경기테크노파크ㆍ그랑시티자이 방면
101 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동ㆍ와동ㆍ선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125 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동ㆍ선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 방면

6.2. 2번 출구 방면

도로명 정류장명 번호/방향
광덕4로 셔틀버스 정류장 한양대 ERICA 셔틀버스
한대앞역2번출구.
고향마을1단지(17125)
76 (거모동행)
80C (본오A행)
한대앞역2번출구(17293) 4-1 (본오A행)
80C (본오A행)
한대앞역2번출구건너편(17407) 4-1 (푸른마을A행)
80C (상록수역행)
고향마을1단지(17126) 76 (본오동행)
80C (상록수역행)
광덕1로 로데오거리(17108) 76 (거모동행)
로데오거리(17114) 76 (본오동행)
2번 출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야 하는 정류장들
노선 방향 경유지
4-1 한대앞역2번출구건너편 → 푸른마을.주공5단지 → 한대앞역2번출구 →
성안중학교ㆍ상록구청ㆍ사동ㆍ본오A 방면
76 거모동행 한대앞역2번출구.고향마을1단지 → 로데오거리 →
중앙역ㆍ호수동ㆍ초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신길동ㆍ군자동ㆍ거모동 방면
본오동행 로데오거리 → 고향마을1단지 →
일동ㆍ상록수역ㆍ본오동 방면
80C 상록수역행 한대앞역2번출구건너편 → 고향마을1단지 →
동안산세무서.본오지구대ㆍ상록수역 방면
본오A행 한대앞역2번출구.고향마을1단지 → 한대앞역2번출구 →
중앙역안산문화광장안산호수공원ㆍ그랑시티자이ㆍ본오A 방면

7. 여담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e3> 진접선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 - 상계 - 파일:Seoulmetro7_icon.svg 노원 - 파일:Seoulmetro1_icon.svg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파일:UiLine_icon.svg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대문 -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파일:Seoulmetro3_icon.svg 충무로 - 명동 - 회현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 - 숙대입구 - 파일:Seoulmetro6_icon.svg 삼각지 - 신용산 - 파일:GJLine_icon.svg 이촌 - 파일:Seoulmetro9_icon.svg 동작 - 파일:Seoulmetro7_icon.svg 총신대입구(이수) - 파일:Seoulmetro2_icon.svg 사당 - 남태령
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안산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 - 파일:SBLine_icon.svg 중앙 - 파일:SBLine_icon.svg 고잔 -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초지 - 파일:SBLine_icon.svg 안산 - 파일:SBLine_icon.svg 신길온천 - 파일:SBLine_icon.svg 정왕 - 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be00>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구성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안산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수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

[1]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 업무위탁역에서 직영역으로 승격하였다.[2] 일리역으로 개업[3] 그림은 ERICA캠 본관과 한양대의 상징동물인 사자상이다.[4] 철도청고시 제15호[5] #[6] 철도청고시 제33호[7] 캠퍼스가 들어선 것이 1979년이고 안산선이 완전개통한 것이 1988년이나 그 일대가 택지개발되어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것은 그로부터 10년 이상 지난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의 일이다.[8] 직선거리로는 한대앞역이 더 가깝고 실제로 택지 조성 전에는 논뚝방길을 이용하면 일단 거리상으로는 한양대에서 제일 가까운 전철역이었다. 그러나 그 시절에도 포장도로만를 이용하려면 중앙역에서 오는 것이 제일 가까웠고 어느 방법이나 걸어서 갈만한 거리는 아니다.[9] 화성군 반월면 시절이던 1983년 한양대학교 신문 광고에서도 반월캠퍼스(ERICA캠퍼스의 당시 명칭) 주소를 사리(현 사동)가 아닌 대학동으로 썼다.[10] 참고로 현재 한양대학교가 있는 행정동 이름은 해양동이다. 2017년 사3동에서 변경.[11] 예를 들어 대학동성당 등.[12] 기점은 상록수역이지만 한대앞역이나 중앙역에서도 정차한 일이 있다.[13] 2007년 개설 당시에는 1-2번이었으나, 개정되었다.[14] 옛 2번 출구는 층계를 오르내리면 진동이 느껴질 정도였다.[15] 「안산시, 한대앞역 주변에 시민공원 신설」, 2015-09-10, 시사포커스 구글 지도 참조[16] 기존 안산행이 한대앞행으로 단축될 가능성이 높았다.[17] 만약 잘못 내렸다면, 상록수역-사리역 사이를 안산 버스 16(사리역 1번 출구), 안산 버스 52, 안산 버스 80, 안산 버스 301(일반좌석버스)을 이용하여 이동하면 된다.[18]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19] 9월 12일에 개통된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4호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20] 복정역, 수서역.[21] 현재는 철거되었다.[22] 평일기준 왕복 8회[23] 고색행이나 죽전행은 중간중간 오른쪽 문이 열리는 경우가 있다.[24] 2016년 당시 철도 동호인계에서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의 영문 앞글자인 S 뒤에 차를 붙였다. 한국철도공사 차량은 영문 앞글자인 K 뒤에 차를 붙여서 K차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