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1:09:00

우암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원선의 북한 구간을 포함한 노선에 대한 내용은 강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부 운행이 중단된 노선입니다.

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하기 위해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서술을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노선이 폐지되면 틀을 틀:폐선으로 교체하여 주시고, 운행이 재개되면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 구간: 우암~신선대
  • 사유: 2015년 5월 28일 신선대역 화물취급 중지에 따른 우암~신선대 구간 운행중지
  • 재개일: 미정 (부산 도시철도 우암선 트램 개통에 따라 결정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화물철도 우암선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구상 중인 경전철 노선에 대한 내용은 부산 도시철도 우암감만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우암선
牛岩線 | Uam Line
파일:jLsQVdi.png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31101
노선명 동해선 우암선 (東海線 牛岩線)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영업거리 6.1㎞
궤간 1435㎜
역수 3
기점 부산진역
종점 신선대역
급전방식 비전철
신호장비 ATS, ATP[1]
선로 수 2
개업일 1945년 5월 16일
운영노선 화물열차

1. 개요2. 우암선의 역 목록3. 기타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진역남구 신선대역을 잇는 총연장 6.1km의 철도 노선으로 동해선의 지선이다. 그런데 경부선 열차가 더 많이 다니는 건 아이러니.

원래 우암선은 적기선이라는 이름으로 6.25 전쟁 당시에 미군의 물자상륙을 위해 건설되었는데, 부전역이 기점이고 우암역이 종점이었으나 부산진역 분기로 바뀌고 1995년신선대역까지 연장됐다. 과거 부전역으로 연결되었던 일부구간의 노반은 노선 변경 이후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도 부산항 유일의 군용 부두인 제8부두로 단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매년 군용 물품의 물동량만 100만 톤 이상을 처리하는 엄청난 노선이다. 부산신항이 생기기 전까지 부산항 북항의 물동량이 원체 많았다 보니 화물 전용 노선 최초로 전구간 복선화되어 있다. 전철화는 안 되어 있는데,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하는 노선이므로 전차선이 있으면 화차에 싣기 어렵기 때문에 전철화를 이루지 않은 것이다. 정확히는 사실 전차선이 있어도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지만[2] 추가장비를 요하므로[3] 전철화를 하지 않은 것이다. 비슷한 예로 광양항선 등이 있다.

현재도 구 우암선 분기지점인 모 자동차정비공장 앞에서 분기되는 구선의 흔적을 볼 수 있다.

현 우암선과의 분기지점에서 문현교차로(07-044) 버스정류장이 있는 곳까지 구 우암선 철로가 남아있었다.[4] 연탄공장이 있어 인입선으로 쓰이던 것이었는데, 2016년경 선로가 뜯기고 얼마 안가 연탄공장이 철거되었다. 지금 시점에선 연탄공장 자리에는 음식점이 들어서 있다. 동천삼거리의 2020년 이전 로드뷰를 보면 교차로를 가로지르는 구 우암선 선로를 볼 수 있다. 2019년 말에 도로가 재포장되면서 현재는 직접 볼 수 없다.

정기운행중인 화물열차, 여객열차는 없다. 다만 주한미군이 신선대부두를 독점해 사용하는 만큼 군용화물은 부정기적으로 많이 들어온다.

우암선 선로 일부구간을 재활용할 트램인 부산 도시철도 우암선을 구상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우암역신선대역은 트램 역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그러나 신선대부두를 독점하고 있는 주한미군이 화물철도로 사용하려 반대하고 있어 우암선 트램은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2. 우암선의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역명 운행계통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부산진 釜山鎭 H 동해선
경부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광역시 동구
2.4 우 암 牛 岩 부산광역시 남구
6.1 신선대 神仙臺

3. 기타

우암선으로 진입하고나서 얼마지나지 않아 또 분기되어있는 선로가 있는걸 볼 수가 있는데, 이 구간은 부산진부두선으로 우암선에서 분기 후, 좁은길과 큰길을 가로질러서 55보급창 안으로[5] 들어가게 된다.


[1] 개량사업 진행중[2] 오봉역을 보면 된다. 오봉역 구내 모든 선로는 전철화 사업을 완료했다. 컨테이너 화차를 전차대에 넣은 후 90도 돌리고 입환기를 통해 옆으로 밀어서 빼면 된다.[3] 전철화 선로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려면 전차대입환기를 요한다.[4] 이 구간은 동천삼거리에 있는 건널목에서는 재생창선이라고 표기되어 있다.[5] 로드뷰에서는 모자이크가 처리되어있는 곳이 바로 그곳이다.